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영국의 중심에서 수학을 외치다!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노벨상이라고 불려요.하디드가 수학갤러리 설계를 맡게 된 건 평소 수학을 좋아한
덕분
이에요. 하디드는 건축을 공부하기 전 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했어요. 하디드는 수학갤러리를 재단장한다는 소식을 듣고 본인이 직접 설계하고 싶다며 연락했어요.하디드는 더 많은 사람에게 수학의 중요성을 ... ...
Part 1. 수학으로 본 작은 세상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노올~자.”도윤이, 하윤이 남매의 집은 동네 친구들의 놀이터였다. 괴짜과학자인 부모님
덕분
에 신기한 장난감이 많았기 때문이다. 오늘도 동네 아이들이 놀러왔다.“어휴, 시끄러운 방해꾼들이 또 오셨군.”누나인 하윤이는 투덜거리며, 조용히 있을 수 있는 곳을 찾아 일어섰다. 작아 보여도 막상 ... ...
[쇼킹 사이언스] 알록달록 무지개 산이 있다?! 단하지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놓은 걸까요? 알록달록 무지개와 같은 이 장관은 수천만 년 동안 쌓이고 쌓인 암석들
덕분
이랍니다.중국 북서부 간쑤성에 있는 장계국립지질공원은 ‘단하(Danxia, 단샤)’라고 불리는 독특한 지형으로 돼 있어요. 이 지역에는 백악기 시대인 8000만 년 전부터 퇴적물이 쌓이기 시작했답니다.퇴적물의 ... ...
[과학뉴스] 빨리 마르는 19세기 물감의 비밀이 밝혀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아래 그림은 19세기 영국 화가 윌리엄 터너의 라는 작품이에요. 그는 빛과 색채를 아름답게 표현하기 위해 새로 ... 역할도 했어요.연구를 이끈 로렌스 드 비거리 박사는 “여러 번 덧칠해도 빨리 마르는 물감
덕분
에 터너는 안개를 잘 묘사할 수 있었다”고 말했어요 ... ...
[특별 인터뷰] 지사탐의 꼬마 파브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보기만 해도 오싹한 쌍살벌을 1년간 꾸준히 관찰한 친구가 있어요. 바로 지구사랑탐사대 현준서 대원이에요. 준서는 여느 곤충학자 못지않게 진지한 자세로 ‘쌍살벌의 ... 친해질 수 있는 것도요. 제가 훌륭한 곤충학자가 된다면 그건 지구사랑탐사대에서 만난 연구자분들
덕분
일 거예요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살아 있는 화석 산양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잦아진 것도 산양을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로 보고 있어요. 산양은 고무 같이 차진 발굽
덕분
에 가파른 절벽에서도 미끄러지지 않고 자유롭게 다닐 수 있지요. 하지만 다리가 짧아 눈이 30cm 이상 쌓이면 눈 속에 갇혀 고립된 채 죽는 경우가 많답니다.산을 오르다 홀로 있는 아기 산양을 발견했을 때, ... ...
Part 5. 복원 털매머드 되살리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뼈, 털 등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망가지지 않은 DNA를 쉽게 빼낼 수 있어요. 이
덕분
에 털매머드는 멸종한 동물임에도 불구하고 유전자 정보인 ‘게놈’이 거의 완벽히 분석된 상태랍니다. 게다가 가장 가까운 동물인 코끼리에게 유전자를 바꿔 넣는 과정도 비교적 간단한 편이지요.2015년 미국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스타인버그의 추측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이 5개의 꼭짓점은 4색으로 칠할 수 없습니다. 5색이 필요하지요. 평면그래프라는 조건
덕분
에 색의 수를 4가지로 줄일 수 있었던 겁니다. 4색에서 3색으로 줄일 해법은?그렇다면 조건을 더 붙여서 필요한 색의 수를 더 줄일 수는 없을까요? 많은 수학자가 이 물음에 대해 연구해 왔습니다. 그 대표적인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잘 맞는 곳에 산다. 바다에는 물 속성인 잉어킹과 고라파덕이 잔뜩이다. 이는 지리통계학
덕분
이다. 나이앤틱이 활용하는 지도에는 어디가 주택가이고 어디가 하천인지와 같은 지리 정보가 있다.나이앤틱은 “공공적으로 접근 가능한” 한국지도를 사용했다고 밝혔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건 오픈 ... ...
Part 1. 내 이름은 어디 있나요?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공식은 복소수와 삼각함수, 지수함수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해요. 제가 유도한 이 공식
덕분
에 복소함수론 같은 현대 수학이 발전할 수 있었죠.이만하면 사람들이 왜 e로 표시하고 ‘오일러 수’라고 부르는지 알겠죠?1900년대 초까지 여성은 ‘여자가 무슨 수학이냐?’는 편견 때문에 수학을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