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인류 매머드는 소중한 자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중 하나였어요. 털매머드는 구석기 인류에게 좋은 사냥감이었거든요. 거대한 몸집 덕분에 한 마리만 사냥해도 약 25명이 한 달 동안 고기를 먹을 수 있는데다, 몸의 다른 부분들도 버릴 곳이 없었어요. 털매머드의 가죽은 옷감으로, 뼈와 상아는 연료나 집 재료로 쓰였으니까요.실제로 털매머드 ... ...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직책을 뜻했습니다. 대부분 여성으로 구성돼 있던 ‘휴먼 컴퓨터’들이 뒷받침한 덕분에, NASA 프로젝트가 성공할 수 있었죠.영화는 아주 감동적인 한편, 아픕니다. (스포일러 주의) 천재성을 인정 받아 백인 남성 과학자들만 가득한 연구실에 입성했으면서도 일부 건물에만 있는 유색인 전용 ...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따름이다.마찬가지로, 세렝게티 초원의 사자가 식사 후 며칠간 깊은 잠에 빠져드는 덕분에 초식 동물들이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고 해도 이는 어디까지나 부수적인 효과다. 사자의 수면 행동이 초식 동물들을 배려하게끔 정교하게 설계됐다는 증거는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사자가 식후에 아무 ... ...
- [Career] 한옥의 매력에 푹 빠진 건축학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모든 부재들의 수치를 모두 잰 뒤, 부재들 간의 관계를 함수 식으로 만들었죠.” 그 덕분에 한옥을 설계하는 일이 훨씬 수월해졌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2015년에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선정하는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꼽혔다. 3537개의 부재로 이뤄진 한옥조립모형전 교수의 열정은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살아 있는 화석 산양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잦아진 것도 산양을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로 보고 있어요. 산양은 고무 같이 차진 발굽 덕분에 가파른 절벽에서도 미끄러지지 않고 자유롭게 다닐 수 있지요. 하지만 다리가 짧아 눈이 30cm 이상 쌓이면 눈 속에 갇혀 고립된 채 죽는 경우가 많답니다.산을 오르다 홀로 있는 아기 산양을 발견했을 때, ...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잘 맞는 곳에 산다. 바다에는 물 속성인 잉어킹과 고라파덕이 잔뜩이다. 이는 지리통계학 덕분이다. 나이앤틱이 활용하는 지도에는 어디가 주택가이고 어디가 하천인지와 같은 지리 정보가 있다.나이앤틱은 “공공적으로 접근 가능한” 한국지도를 사용했다고 밝혔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건 오픈 ... ...
- [Origin] 소리를 지배한 파충류, 지구를 접수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사지를 사방으로 내뻗는 것보다 더 빨리 달릴 수 있다.바로 설 수 있도록 진화한 사지 뼈 덕분에 더 무거운 몸무게도 지탱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지배파충류는 몸집을 더 키워 새로운 생태적 지위를 차지할 수 있었다. 더 다양한 형태로도 진화했다. 예를 들어, 목이 긴 초식동물인 용각류 공룡 같은, ... ...
- [Culture] 유미의 연인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시작했을 때는 여느 커플이 그렇듯 이틀을 만나지 못해도 몸살이 날 것처럼 굴었다. 덕분에 몇 개월 지나지 않아 둘은 함께 살기 시작했다. 오랜 시간 동안 함께 있었다. 물론 싸우기도 많이 싸웠고, 어느 밤은 나란히 등 돌리고 누워 한참을 흐느끼기도 했다.다시는 오지 않으려고 했는데. 정훈은 ... ...
- [과학뉴스] 빨리 마르는 19세기 물감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아래 그림은 19세기 영국 화가 윌리엄 터너의 라는 작품이에요. 그는 빛과 색채를 아름답게 표현하기 위해 새로 ... 역할도 했어요.연구를 이끈 로렌스 드 비거리 박사는 “여러 번 덧칠해도 빨리 마르는 물감 덕분에 터너는 안개를 잘 묘사할 수 있었다”고 말했어요 ... ...
- [가상인터뷰] 벌새의 특별한 비행 능력, 뇌에 답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주지 않을래? 제 뛰어난 비행 기술은 모든 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특별한 뉴런 덕분이에요. 다른 새들이 따라하기는 어려워요. 연구를 주도한 안드레아 H. 기드 연구원은 “앞으로 벌새의 뉴런이 공중 정지 비행에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저는 이제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