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우주정거장을 건설할 경우 어느 쪽으로도 당겨지지 않고 고정된다. 정지된 상태로 한 위치에 머물 수 있단 의미다. 2017년 10월 러시아는 미국의 심우주 게이트웨이 건설에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ISS에 이어 미국과 러시아가 다시 한번 달 궤도에서 우주 개발 협력을 진행하는 광경을 목격하게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조사를 마친 뒤에는 부재에 전자태그(RFID)를 달고 수장고에 배치한다. 부재 종류, 현황, 위치 등의 정보로 부재를 검색할 수 있는 셈이다. 문득 이곳이 거대한 도서관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의 첫 부재 수장고그동안 우리나라에는 전통 건축 부재를 보존할 수 있는 장소가 없었다. 그나마 ... ...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위해 1태양일을 1년에 걸쳐 평균을 낸 ‘평균 태양시’를 쓴다. 균시차는 실제 태양의 위치로 잰 시각인 ‘진태양시’에서 평균태양시를 뺀 값이다. 균시차는 타원 방정식과 원 방정식이 들어있는 복잡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셀레스티아의 제작자는 3년 동안 23가지 추가 기능을 구현할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DESY는 1세대 방사광가속기가 있는 독일의 유서 깊은 연구소로, E-XFEL보다 북쪽에 위치해 있다. 길게 이어진 가속관은 4세대 방사광가속기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다. 3세대 방사광가속기에도 선형가속기가 있지만, 핵심 장치는 거대한 원형의 저장링이다. 3세대 방사광가속기는 전자총에서 발사된 ...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개발해 세포가 자리 잡고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세포를 정확한 위치에 주입할 수 있도록 ‘세포 정밀 패터닝 장치(Guide Slit)’도 고안했다. 신 연구원은 “바이오칩 같은 실험 도구를 직접 개발한 경험이 없었던 만큼 시행착오를 수 없이 겪었다”며 “그럴 때마다 재현성을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고등학교 과학 활동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관측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천문 캠프는 빛 공해가 적은 지역에 위치한 천문대를 직접 방문해 늦은 시간까지 많은 별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됩니다. 지질 답사는 한탄강이나 시화호, 변산반도, 제주도 등지에서 실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 지역에 특색 있는 지질 ... ...
- Intro. 수학, 미래를 보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거라고 예측한다. 알 수 없지만 알고 싶은 미래. 카를 가우스가 수학을 이용해 소행성의 위치를 예측한 것처럼, 수학이 미래의 모습을 보여주진 않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 미래를 보다Part 1. 전자화폐 시대가 온다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Part 3. 역사의 흐름을 ... ...
- Part 3. 반 고흐의 그림을 추적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해와 달의 위치를 계산했어요. 그 결과, 1889년 5월 16일과 7월 13일에 그림과 똑같은 위치에 보름달이 뜬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둘 중 정답을 찾는 일은 어렵지 않았어요. 그림 앞부분에 수확한 노란 밀들이 쌓여 있었거든요. 5월은 밀이 아직 덜 익어서 초록빛을 띠는 시기로, 밀 수확은 주로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후학을 양성하는 내 미래의 모습이 머리를 스쳐 지나갔다. 이것이 2018년 현재 베이징에 위치한 칭화대에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하게 된 계기다. 필자는 연세대에서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1992년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에 입사했다. 지금 보면 드라마 ‘응답하라’의 향수를 자극하는 옛날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는 58만 년에 1초가 변하는 정도의 차이다. 아주 작은 차이 같지만 일상생활에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이 이 정도 오차를 가질 경우 전혀 엉뚱한 길로 안내할 수 있다. 현재 표준연은 이터븀 광격자 시계의 불확도를 10-17 수준까지 끌어올렸다. 롯데월드타워에서 시간차를 측정하기에는 충분한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