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기자단] 지니와 함께 KT AI 코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여러 개 들어 있어 훨씬 재밌고, 직접 코딩으로 로봇이 음성을 인식하고 합성할 수 있는 점이 흥미로웠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오예슬 주임님은 “자신이 생각하는 사물과 프로그램을 직접 만들어 보면서 AI와 코딩 기술을 자연스럽게 접하고 익히는 시간이 됐길 바란다”며 독자 기자들과 인사를 ... ...
- 베토벤, 내가 제일 잘 나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작품에서 코드워드의 변화가 얼마나 비슷한지를 평가했지요. 연구팀은 작곡가를 하나의 점으로 표현하고 코드워드의 변화가 유사한 작곡가를 선으로 이은 뒤, 선이 가장 많이 연결된 사람을 찾아냈어요. 연결되는 선이 많으면 영향력이 크다고 봤지요.그 결과, 1778년 활동을 시작한 베토벤은 서양 ... ...
- [우주화장실] 어디에 앉아 볼까? 기상천외 달 화장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화장실’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요?쓰기 쉽고 편하다는 것이 큰 장점이고요, 단점은 통에 모인 용변을 주기적으로 갈아줘야 한다는 거예요. 진공 상태의 우주 공간으로 용변을 바로 내보낼 수도 있겠지만, 오류가 발생해서 비행사가 진공에 노출되면 위험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어요. 목숨을 잃을 ... ...
- [쇼킹 사이언스] 페루에서 길이 37m 그림 발견! 2000년 된 고양이라옹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연구팀은 다양한 지상화를 볼 수 있는 ‘미라도르 자연 전망대’를 보수하다 언덕 비탈에서 사라질 뻔한 고양이 지상화를 발견했다 10월 15일, 페 ... 드론을 이용해 새로운 지상화 백여 점을 더 발견했지요. 연구원들은 이곳에서 지상화 천여 점을 더 찾을 수 있을 거라 기대하고 있답니다 ... ...
- [이달의 과학사] 섭씨 온도를 만든 셀시우스 태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유지되었거든요. 그런데 재미있는 사실은 셀시우스는 처음에 물의 끓는점을 0℃, 어는점을 100℃로 정했다는 거예요. 차가워질수록 온도계의 숫자는 올라가는 것이죠. 왜 이렇게 썼을까요? 역사학자들은 셀시우스가 추운 스웨덴에 살아서 영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가 더 잦아서 그랬다고 추정해요 ... ...
- 노벨생리의학상│ 바이러스 사냥꾼들, C형 간염의 범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이뤄지지 않는 것도 문제”라고 말했어요.다행인 것은 진단법과 치료제가 개발됐다는 점이에요. 이는 과학자들이 C형 간염 바이러스를 찾아냈기 때문이에요. 이번에 노벨상을 받은 하비 올터 부소장은 1972년 수혈을 받은 환자들이 간염을 겪는 이유를 추적하다, A형과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없다고 ... ...
- 노벨물리학상│20년간 우주 뒤져 블랙홀을 찾아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거대질량 블랙홀이 있다고 밝혀졌어요. 이들은 은하가 만들어지던 초기에 형성돼 점점 커지다 중력을 받아 중심으로 온 것으로 추정되지요. 서울대학교 우종학 교수는 “다양한 크기의 블랙홀을 찾아 블랙홀과 은하 진화의 비밀을 밝히는 데 중력파 검출기와 레이저 적응 광학이 도움이 될 ... ...
- 노벨물리학상│아인슈타인도 반대한 블랙홀, 펜로즈가 증명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2020년 노벨 물리학상은 블랙홀이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 세 명의 과학자에게 돌아갔어요. 먼저 블랙홀의 존재를 이론적으로 증명한 로저 펜 ... “특이점이 있다는 건 이 근처에서는 일반 상대성이론이 틀렸다는 뜻”이라며, “특이점을 이해할 새로운 중력 이론이 필요하다”고 말했답니다 ... ...
- 노벨화학상│생명과학에 혁명을!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tracrRNA’를 발견했어요. tracrRNA의 독특한 점은 크리스퍼의 일부와 똑같이 생겼다는 점이었어요. 1987년 발견된 ‘크리스퍼’는 세균과 고세균에서 발견되는 유전체 중 일부예요. 특정한 모양의 유전자가 반복되고 그 사이에 독특한 유전자가 끼인 형태를 통틀어 ‘크리스퍼’라 부르지요. 훗날 ... ...
- 생각을 읽는 기술? 돼지 머리에 기기를 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기기를 심는 기술을 비교적 간단하고 대중화된 시력 교정술 ‘라식 수술’에 비유한 점이 재미있었어요. Q뇌공학자로서 어린이 독자들에게 하시고 싶으신 말씀은?1926년, 미국 발명가인 니콜라 테슬라는 미래에는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사람들이 마치 곁에 있는 것처럼 얼굴을 보며 이야기를 나눌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