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잎과 줄기로 구분해! 무궁화 vs 부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무궁화는 9월까지 여름 내내 줄기마다 꽃을 피워 이러한 이름을 갖게 됐어요. 특이한 점은 새벽이슬을 머금고 피어나 오후가 되면 꽃이 오므라들고, 해 질 무렵 생을 다하며 떨어지는 거예요. 하루에 약 20~50여 개의 꽃이 약 100일간 매일 피고 지니까 한 해 여름동안 한 그루의 나무에서 2000~5000여 개의 ...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전염병에 대한 대책을 빠르고 정확하게 마련할 수 있답니다. Q 박쥐 연구가 특별한 점이 있을까요?박쥐는 야행성 동물이라 해가 져야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할 수 있어요. 주 서식지인 동굴을 찾아서 연구하기도 하는데, 그럴 땐 박쥐의 배설물이 눈으로 들어가지 않게 조심하지요. 외국에 서식하는 ... ...
- [기획] 3장. 더 정확한 1kg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대의 키블 저울을 만들며 성능을 높여왔죠. 우리는 지금 만든 저울이 처음이라 개선할 점이 많아요. 올해 하반기부터는 키블 저울 2호기의 구조를 차근차근 만들어 보려고요 ... ...
- [가상인터뷰] 화성 ‘두더지’, 땅속으로 들어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한계가 있었어. 그래도 과학자들이 추정만 하던 화성 지진을 직접 확인했다는 점에선 굉장한 의미가 있지. 또 화성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독일 우주항공센터가 만든 ‘HP3’ 굴착 장비로 땅속 5m 깊이까지 뚫고 들어가려고 노력했어.Q 화성 내부 온도를 잰다고?일명 ‘두더지(mole)’라 불리는 HP3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웅녀, 사기꾼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않아요. 게다가 DNA를 교정하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요!”꿀록 탐정의 말에 상점에 모인 동물들이 웅성대기 시작했어요. 웅녀에 대한 성토가 빗발치자 웅녀가 짐을 잽싸게 싸고 소리쳤어요.“안녕히 계세요, 여러분! 저는 이 세상의 모든 굴레와 속박을 벗어 던지고 제 행복을 찾아서 떠납니다. ... ...
- [질문하면 답해 ZOOM] 껌 씹을 때 찬물을 마시면 왜 딱딱해지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않아요. 그래서 열을 가하면 결합력이 약한 부분부터 끊어지며 점차 녹지요. 이렇게 점차 말랑해지는 걸 ‘연화’된다고 표현한답니다. 껌이 말랑말랑해지는 이유도 약하게 결합하고 있던 부분이 입안 온도로 끊어졌기 때문이에요. 반대로, 찬물을 마시면 일시적으로 입안 온도가 내려가 입자들이 ... ...
- [헥!헥! 핵물리학자] 과장은 없다! 이게 바로 광속...‘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1초마다 최대 4천만 번씩 충돌이 일어나지요. 그 결과 여러 입자들이 나오면, 충돌 지점 주변에 있는 ‘검출기’가 입자의 에너지 등을 측정해요. 검출기는 매우 작은 입자들의 특징을 어떻게 잡아낼까요? 7월 15일 자에 실릴 3화에서 알아봐요! *용어정리전하 : 물체가 띠고 있는 정전기. 물체가 ... ...
- [특집] 직접 만들면 전율! 미궁 게임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수업인만큼 아쉬운 점도 있었는데, 정규 수업의 학습 목표가 온전히 녹아있지 않았다는 점이다. 송 선생님은 “학생들의 참여 유도가 목적이어서 학습 목표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했다”며, “다음 번엔 교육과정에 맞는 미궁 게임을 제작해보고 싶다”고 밝혔다. 해보면 알 텐데~마성의 미궁 ... ...
- [기획] 폴리매스를 떠들썩하게 만든 사람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가장 많이 받은 최나윤 회원입니다. 박 회원은 기사에 필요한 그림을 직접 그린 점이 인상 깊었으며, 최 회원은 9월에 진행한 ‘실시간 데이터 요리쇼’에 참여한 뒤 곧바로 기사를 작성해 올려 행사에 참여하지 못한 독자들의 아쉬움을 달래줬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기사 부탁해요! 헝가리 수학자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핵융합 에너지와 크게 관계없어 보이는 기술들이 모두 융합돼 핵융합 발전을 완성한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유두호 디자이너가 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인포그래픽으로 제작했으니, 미래 에너지 연구자를 꿈꾸는 독자가 참고한다면 앞으로 어떤 연구를 해나가야 할지 계획하는 데 많은 도움을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