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3장. 더 정확한 1kg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대의 키블 저울을 만들며 성능을 높여왔죠. 우리는 지금 만든 저울이 처음이라 개선할 점이 많아요. 올해 하반기부터는 키블 저울 2호기의 구조를 차근차근 만들어 보려고요 ... ...
- [특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비행한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밤에 사용하고요.”배재성 교수의 설명처럼 한 번 뜨면 수십 시간의 비행이 가능하다는 점 덕분에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어요. 넓은 지역을 샅샅이 돌아다니며 비행기에 설치된 카메라로 지도 제작에 필요한 사진과 영상을 촬영하거나, 한 곳을 집중적으로 비행하면서 ... ...
- [헷갈린 과학] 잎과 줄기로 구분해! 무궁화 vs 부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무궁화는 9월까지 여름 내내 줄기마다 꽃을 피워 이러한 이름을 갖게 됐어요. 특이한 점은 새벽이슬을 머금고 피어나 오후가 되면 꽃이 오므라들고, 해 질 무렵 생을 다하며 떨어지는 거예요. 하루에 약 20~50여 개의 꽃이 약 100일간 매일 피고 지니까 한 해 여름동안 한 그루의 나무에서 2000~5000여 개의 ... ...
- [가상인터뷰] 화성 ‘두더지’, 땅속으로 들어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한계가 있었어. 그래도 과학자들이 추정만 하던 화성 지진을 직접 확인했다는 점에선 굉장한 의미가 있지. 또 화성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독일 우주항공센터가 만든 ‘HP3’ 굴착 장비로 땅속 5m 깊이까지 뚫고 들어가려고 노력했어.Q 화성 내부 온도를 잰다고?일명 ‘두더지(mole)’라 불리는 HP3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웅녀, 사기꾼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않아요. 게다가 DNA를 교정하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요!”꿀록 탐정의 말에 상점에 모인 동물들이 웅성대기 시작했어요. 웅녀에 대한 성토가 빗발치자 웅녀가 짐을 잽싸게 싸고 소리쳤어요.“안녕히 계세요, 여러분! 저는 이 세상의 모든 굴레와 속박을 벗어 던지고 제 행복을 찾아서 떠납니다. ... ...
- [질문하면 답해 ZOOM] 껌 씹을 때 찬물을 마시면 왜 딱딱해지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않아요. 그래서 열을 가하면 결합력이 약한 부분부터 끊어지며 점차 녹지요. 이렇게 점차 말랑해지는 걸 ‘연화’된다고 표현한답니다. 껌이 말랑말랑해지는 이유도 약하게 결합하고 있던 부분이 입안 온도로 끊어졌기 때문이에요. 반대로, 찬물을 마시면 일시적으로 입안 온도가 내려가 입자들이 ... ...
- [헷갈린 과학] 비숑프리제 VS. 몰티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겉털이 모두 있는 비숑 프리제와 달리 몰티즈는 속털이 없어 털이 차분한 것이 차이점이랍니다.몰티즈의 기원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어요. 하지만 지중해 몰타(Malta)섬에서 유래해 ‘몰티즈’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어요. 몰티즈는 온순한 성격에 나이가 들어서도 다른 개들에 비해 활동성이 ... ...
- [기획] 폴리매스를 떠들썩하게 만든 사람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가장 많이 받은 최나윤 회원입니다. 박 회원은 기사에 필요한 그림을 직접 그린 점이 인상 깊었으며, 최 회원은 9월에 진행한 ‘실시간 데이터 요리쇼’에 참여한 뒤 곧바로 기사를 작성해 올려 행사에 참여하지 못한 독자들의 아쉬움을 달래줬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기사 부탁해요! 헝가리 수학자 ... ...
- 학교가 끝나고 나면 수학 선생님의 은밀한 잡생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작곡할 때는 ‘음악적 감각’이 중요한데, 강 선생님은 스스로 전문 음악가에 비해 이 점이 부족하다고 생각해 화음의 법칙을 다루는 화성학을 공부하고 박자를 수학적으로 계산하면서 보완한다고 합니다. 안슬기 선생님도 “수학할 때 쓰는 논리적, 합리적 사고가 영화를 만들 때 큰 도움이 ...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전 핵융합 에너지가 반드시 실현돼야 하는 이유입니다. 핵융합 에너지의 상용화 시점을 30년 뒤인 2050년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현재의 핵융합 연구자를 대표해 미래의 핵융합 연구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무엇인가요? 지금까지 핵융합 에너지는 ‘꿈의 에너지’라고 불려왔습니다.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