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6,151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 나의 죽음은 어디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206
[‘쇠고기 섭취가 조기 사망확률을 18~20% 증가시킨다’ 보다는 ‘85g의 쇠고기가 30
분
의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표현이 대중들에게 더 쉽게 다가간다.]보이지 않는 죽음의 모습을 드러내다85g의 쇠고기 = 1마이크로라이프스피글할터 교수는 마이크로라이프를 이용해 하버드대 공중보건대학원의 최신 ... ...
금성의 '미니일식'을 만나자! 태양일식 관측기
과학동아
l
201206
일생에 단 한번 만날 수 있는 진귀한 기회다. 우리나라에서는 오전 7시 9
분
부터 오후 1시 49
분
까지 볼 수 있다.우주쇼를 제대로 관찰하려면 전용 관측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맨눈으로 태양을 오래 쳐다보면 실명 위험이 있으므로 조심하자. 과학동아키트에서 출시한 ‘태양일식관측기’는 유럽 ... ...
"나는 초신성 박씨"
과학동아
l
201206
다른 원소는 작고 큰 별들이 주었다. 특히 산소보다 무거운 원소들은 거의 대부
분
태양이 태어나기 전 그러니까 약 46억 년 전 어느 날, 이 근처에서 살다가 초신성폭발과 함께 생을 마감한 이름모를 어느 거대한 별에 의해 만들어졌을 것이다. 70억 지구인은 모두 한 별의 흔적을 공유하고 있는 ... ...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1206
그냥 지켜보고 있어서는 안 된다. 화장실에서 손을 닦기 위해 무심코 사용한 휴지, 무
분
별하게 낭비하는 종이를 줄이고 사용한 종이들을 다시 재활용하는 지혜를 발휘하자. 또한 나무를 심고 정성껏 가꾸며 우리와 함께 살고 있는 다른 생명체들을 생각하는 넓은 마음을 가져야 할 때다 ... ...
국어도 만화도 쑥쑥 ~ 조주희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5
가지고 있겠지!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어디 보자, 하나로 묶은 머리에 안경…. 저
분
이 바로 조주희 작가로군. 마치 젊은 시절의 나를 보는 것처럼 미모가 아주 뛰어나. 오잉? 그런데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네! 엥? 국어 선생님이라고? 어떻게 된거야? 미령이 네가 가서 좀 알아봐!과학뉴스에서 재밌는 ... ...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
과학동아
l
201205
않으니까요. 하지만 모르는 일입니다. 언젠가 지구에 다시 산소가 풍족해지면 지금 여러
분
주위에 있는 곤충들이 다시 거대해질지도 모르는 일이거든요 ... ...
세균만 골라 죽이는 휴대용 플라스마 손전등
과학동아
l
201205
뒤 5mm 떨어진 곳에서 약 5
분
간 플라스마를 쏴줬다. 두꺼운 생체막 속에 있는 세균은 대부
분
파괴됐지만 세포는 손상되지 않았다. 코스타 오스트리코브 연방과학원 교수는 “플라스마는 세균이나 박테리아의 DNA를 파괴해 제거한다”며 “플라스마를 이용해 세균을 파괴하면 내성이 생기지 않아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05
파동함수 등 ‘물리적 우주’와 ‘수학’ 사이의 차이를 명확히 밝히기 어렵다. 굳이 구
분
하자면, 물리적 우주가 있고 이를 ‘설명하기 위해’ 수학을 동원했다고 볼지, 반대로 수학이 있고 이것에 대응하는 물리적 우주가 있는지의 차이 정도다.등장 상상 가능한 모든 우주를 만든다.두 가지 입장 ... ...
x-ray 숨은 그림을 찾다
과학동아
l
201205
인형의 집이 아니라 실제 집을 담을 순 없을까. 비행기와 기차는 어떻게 찍을까. 그는 부
분
적으로 찍은 다음, 사진들을 이어 붙여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하는 방법을 생각해냈다.그는 비행기 한 대를 찍기 위해 수백 번이나 X선을 쏘았다. 500개가 넘는 부품을 하나하나 찍어 붙여야만 정교한 내부를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05
에너지양은 1.8MJ의 10
분
의 1에 불과한 200KJ 이하로 줄어든다. 이번에 사용한 에너지의 10
분
의 1로도 핵융합 발전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에 두 개의 인공태양이 뜰까영국, 프랑스, 스페인 등 유럽 7개국은 실험용 레이저 핵융합 발전 시설인 ‘하이퍼(HiPER)’의 건설을 제안했다. 하이퍼는 고속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