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기술이 여는 식도락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나노입자를 이용해 칼로리를 낮추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미국 텍사스 주에 위치한 소
규모
식품업체인 RBC 라이프 사이언시스는 ‘슬림 셰이크(Slim Shake)’라는 다이어트용 코코넛 분말을인터넷에서 팔고 있다. 이 제품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다이어트용이지만 맛이 전혀 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 ...
part3, 즐겁게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폭이 훨씬 더 넓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때에는 과학 신문이나 과학 잡지 같은 좀 더
규모
있는 글쓰기에 도전할 수 있다. 마음 맞는 친구들과 함께 동아리를 구성하고, CA시간이나 방과 후 시간을 이용해 월 또는 격월 단위로 신문을 내거나, 연간 2회 정도로 과학 잡지를 발간하는 계획을 짜보자. ... ...
무시무시한 공룡 멸종의 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뚫렸지요. 이 때의 충격으로 지난 달 칠레에서 일어난 지진보다 수십~수백 배나 강한
규모
11의 지진이 발생했고, 수천㎞ 떨어진 곳까지 쓰나미의 피해를 입었어요. 또한 운석의 파편이 하늘로 올라가 산성비와 어둠, 추위가 찾아오고 생태계가 끊어지면서 결국 공룡 등 생물이 멸종했다고 하네요 ... ...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명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애플의 창업자 스티브 잡스와 스티브 워즈니악,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 회장은 학생 발명가에겐 신화나 다름없다. 재학시절 컴퓨터에 빠진 뒤 다니던 ... 함께 오늘날 페이스북의 초기 버전을 개발했다. 페이스북은 2010년 3월 현재 세계에서
규모
가 가장 큰 SNS로 자리를 잡았다 ... ...
지진과 쓰나미 속에서 살아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지진! 칠레 지진 직전엔 일본 남부 바다에서
규모
7.0의 지진이, 지난 3월 4일엔 대만에서
규모
6.4의 지진이 일어나는 등 지구촌 곳곳에 강진이 잇따르고 있어요. 이처럼 계속되는 지진에 전세계가 걱정하고 있답니다. 하지만 평소에 준비를 잘 한다면 분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거예요. 우리나라는 ... ...
520일간 떠나는 모의 화성 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러시아 모스크바 북서쪽에 자리한 IBMP에 약 550m3
규모
로 조성됐다. 대형 고층 건물 한 층
규모
가 채 안 되는 면적이다. 격리공간은 기능이 서로 다른 5개 모듈로 이뤄진다. 실험 참가자들은 거주 모듈과 기계 모듈, 의료 모듈에 머물며 장시간 격리생활에서 오는 신체변화를 측정하고 각자 맡은 실험 ... ...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방류할 수 있는 물의 양이 1만 5862t이에요. 소양강 댐의 3배죠.”새만금 방조제의 엄청난
규모
를 다시 한 번 실감하는 순간이었다. 배수갑문 한쪽에는 문이 또 있었다. 오 소장은 배가 드나드는 ‘통선문식어도’라고 설명했다. 통선문식어도에는 방조제의 안쪽과 바깥쪽에 수위 차가 생길 것을 ... ...
리더십은 봉사활동으로 드러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활용한 봉사활동을 제안했다. “주위에 악기를 다룰 수 있는 친구들을 모아서 소
규모
관현악단을 만들어보면 어떨까. 그래서 연주회도 열고 그렇게 얻은 수익으로 네가 빵을 배달해주는 장애인들을 위해 쓰면 더 좋은 일이 될 것 같구나.” 관현악단을 모집하고 모집된 팀원들의 의견을 조율하고 또 ... ...
천둥 구름은 입자가속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대기층을 거쳐 지구 중력이 미치는 가장 먼 곳까지 올라간다. 이때 발생한 전자빔은 작은
규모
의 원자력발전소가 생산하는 전력만큼이나 에너지가 크다. 이에 대해 플레크러그 교수는 “우주에서 높은 에너지의 우주선 입자가 쏟아지고 동시에 강한 번개가 칠 때 입자가속기와 유사한 환경이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발굴 방법부터 유골을 다루는 방법까지 하나하나 배워야 했습니다. 지금은 역사와
규모
가 우리보다 앞선 미국 합동전쟁포로실종자확인사령부(JPAC)와 어깨를 견줄 만큼 발굴과 감식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박 단장은 좀 더 많은 전사자 유해가 가족 품에 돌아가기 위해서는 ‘자료 축적’이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