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롱다리 신인 거미 납시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관심도 한몸에 받고 있네요. 요즘 걱정이 없겠어요.휴~, 아니에요. 제가 발견된 지역이 대
규모
개발을 앞두고 있거든요. 매일 포크레인으로 모래를 퍼가는 통에 땅 속에 숨어 있다가 놀라 도망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예요. 다른 동식물들도 마찬가지죠. 우리 모두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다고요! 아! ... ...
수학이라면 지진도 문제 없어!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규모
가 3.0 이상인 지진이며 큰 피해를 주는 지진은 대개
규모
가 6.0이상이다. 지진의
규모
가 한 단위 증가할 때 에너지는 32배 증가한다.진원의 깊이지구의 표면 밑에 있는 진원의 깊이를 말한다 ... ...
빌딩만 한 파도도 피할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영화처럼 해운대에 큰 지진해일이 일어날 가능성은 희박해요. 쓰시마 주변에서 큰
규모
의 지진이 일어난 적이 없을 뿐 아니라 지진이 발생해도 쓰시마가 수평단층대에 놓여 있어 가라앉지 않고 양 옆으로 움직이는 정도에 그칠 것이기 때문이죠.물론 쓰시마에 대폭발 사건으로 커다란 산사태가 나면 ... ...
식품으로 마음의 평화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현재 우리는 이런 효과가 일어나는 메커니즘과 혈액 내 영양소 수치를 조사하기 위한 대
규모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이 연구는 영양소 섭취가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국제 식이 표준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심신의 웰빙 가져오는 식단 찾아야이런 결과는 우리가 먹는 음식에 좀 더 ... ...
'조명'받는 LED 조명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적색광의 비율을 3 : 1로 했을 때 식물 생장이 가장 효과적이었다고. 이 회사는 현재 100m2
규모
의 LED조명 식물공장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는데, 4월쯤 시범생산이 이뤄질 거라고 밝혔다. 폭 99m 초대형 캔버스 장식1977년 준공된 이래 한국경제의 고도성장을 상징한 대우빌딩이 1년여의 리모델링 공사를 ... ...
탄소 다이어트 집에서 따라하기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정부 차원에서 마련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 가정을 대표하는 67~99m2
규모
의 일반아파트에 사는 4인 가족을 기준으로 마련된 이 가이드라인은 일반 가정 1000개와 저배출 가정 79개의 탄소 배출 패턴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 가정이 매월 난방과 취사, 전기, 수도,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찾아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집트 사막지역에서 아직 알려지지 않았던 대
규모
의 화석군을 발견한 것이다. 이 지역에서 발견된 화석을 분석한 결과 아시아에서 아프리카로 이동한 것으로 알려진 고생물이 이집트지역을 거쳐 아프리카로 전파된 것도 추론할 수 있었다.모바일시대의 필수 아이템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시작했다."앞으로의 현미경은 살아 있는 세포의 단백질 하나, 분자 하나까지 나노
규모
(1nm=10-9m)로 볼 수 있어야 합니다. 또 그 장면을 3차원으로 이미지화하거나 실시간 영상으로 제공해야 하고요. 우린 이 세가지 목적을 만족시키는 현미경을 만들고 있어요.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 ...
거대한 소용돌이가 전하는 공포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항해하는 뱃사람들 사이에서 위험한 소용돌이로 여겨져 왔다. 항해술이 발달하고 배의
규모
가 커진 오늘날에도 ‘노르웨이 북서쪽 및 북쪽 연안 항해 지침’에서는 소용돌이가 이는 동안에는 어떤 선박도 그 곳을 지나가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이러한 소용돌이는 노르웨이뿐 아니라 타 ... ...
지구의 붉은 눈물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천지 주변의 지층이 7cm 이상 솟아나는 현상도 발견됐다.1000년 전 백두산에는 세계 최대
규모
의 화산활동이 일어났다. 당시 화산분출물은 하늘 높이 25km까지 올라갔으며 일본까지 날아가 일본 동북부에 5cm가 넘는 높이의 화산재 지층을 남겼다. 1215년의 폭발로 산꼭대기가 날아가고 남은 구멍에 물이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