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전체
총체
첫머리
모든
온갖
d라이브러리
"
모두
"(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수학의 왕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8호
때 선생님이 낸 1부터 100까지 더하는 문제의 정답을 제가 단번에 알아냈거든요. 친구들은
모두
순서로 더하고 있더군요. 하지만 저는로 계산했어요. 숫자를 크기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앞에서 하나, 뒤에서 하나를 골라 합이 101이 되는 묶음을 만들어 더했지요. 101을 50번 더하는 셈이 ... ...
[몬스터를 잡아라!] 나 잡아봐라~! 변 몬스터와 오각형 몬스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8호
참가자부터 게임판 위의 점 5개를 골라 칠해 오각형을 그려요.점5개를골라연결했다고
모두
오각형이되는건아니에요.도형안에180°보다큰각이 있거나 점 3개가 같은 줄에 있으면 오각형이 아니거든요. 이 점을 주의해서 오각형을 만들어요. 더는 오각형을 그리지 못하는 참가자가 게임에서 져요 ... ...
[특집] 건강한 숲 비결은 다양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다양한 연령대의 나무가 골고루 심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숲은 나무가
모두
같은 시기에 심어져 나이뿐만 아니라 종 다양성도 떨어지는데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숲을 가꾸면 탄소중립에 효과적!“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습니다”지난해 10월 문재인 대통령이 선언한 ... ...
[쇼킹 사이언스] 머리를 잘라내도 살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몸 안에 물벼룩 같은 기생 갑각류가 발견됐어요. 목을 자른 달팽이 42마리의 몸에는
모두
물벼룩이 있었지요. 이를 통해 연구팀은 몸 안의 기생충 때문에 갯민숭달팽이가 몸을 자른다고 추측했어요.미토 연구원은 “목의 잘린 부위에 줄기세포가 분포해 몸을 자르는 것 같다”며 “달팽이의 ... ...
[특집] 일상으로 들어온 메타버스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배달의 민족’ 역시 거울 세계라고 볼 수 있죠. 앱에서 주문할 수 있는 페이지들은
모두
실제 음식점과 연결되고 배달의 민족이라는 거울 세계에서는 평점이나 특징, 고객 후기 같은 더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니까요. 거울 세계를 통해 우리는 실제로 가보거나 경험해보지 않고도 다양한 ... ...
[기획] 발자국 화석으로 살펴본 공룡의 모습은?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화석에 관한 연구 결과를 말이야. 이곳에 너무 짧은 시간 동안 있어서 화석으로 예측한 내용이
모두
맞는지 확인하진 못했지만, 한번 볼래? ▲ 고화질은 PDF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기획] 묻고 더블로 가? 공룡 대멸종, 소행성 이중 충돌로 일어났다?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가설은 거짓으로 밝혀졌습니다. 칙술루브 대충돌이 일어난지 65만 년 후에는 이미 공룡이
모두
사라졌을 시점이기 때문이죠. 대신 기후를 불안정하게 해 지구의 회복을 방해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다만 이정현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동위원소를 이용한 ... ...
[수담수담] 수학 원리를 꿰뚫는 공부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적분 값이 구의 부피가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나무가 자라는 현상과 구의 부피는
모두
미분과 적분이라는 수학 개념으로 연결돼 있다는 겁니다. 현재 교육과정에서 구와 같은 입체 도형의 성질과 부피 공식은 중학교 1~2학년 때 배우며, 미분과 적분의 개념은 고등학교 때 배우고 있는데요. 조 ... ...
수소차, 논쟁 딛고 첫 시동걸다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대표적이다. 수소탱크에 플러그가 잘못 조립돼 발생했다. 한국과 노르웨이의 사례
모두
사람의 실수로 벌어진 인재다.수소는 가볍고 빠르게 흩어지는 특성 때문에 실제 폭발 위험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19년 발표한 ‘수소 안전관리 종합대책’에서 공기 무게의 14분의 1 ... ...
인류를 자동차 사고에서 해방시키다 │ 서승우 서울대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장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스누버(비공식 명칭은 스누버5)를 비교하면 얼마나 진화했나?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모두
획기적으로 발전했다. 스누버1은 차 지붕 위에 사람 머리 크기만 한 라이다(LiDAR)가 탑재됐다. 비싸고 무거웠다. 이후 어른 주먹만 한 라이다가 등장했고 지금은 그보다 작은 라이다를 쓰고 있다. 감지의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