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너무 커EGF든 FGF든 성장인자는 모두 단백질이다. 단백질은 크기가 크다. 하지만 우리 피부
세포
를 통과할 수 있는 입자의 최대 크기는 500Da(달톤, 1달톤은 수소 원자 1개의 무게로 단백질의 크기를 표현할 때 이용됨.)정도다. 6.2kDa인 EGF는 피부를 통과하기엔 턱없이 큰 물질이다. 심동섭 이노진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진화시켰다. 바로
세포
호흡이다. 현재 지구상의 거의 모든 생명체는 산소를 이용한
세포
호흡을 통해 에너지를 얻고 있다. 시대에 따라 변한 대기의 산소 농도는 생물 진화를 좌지우지한 가장 중요한 원동력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생명이 지구의 환경을 바꿨고, 그 환경은 다시 생명의 진화에 ... ...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가해졌을 때 우리 몸을 방어하기 위해 분비되는 물질이에요. 피부 진피층에 있는 ‘비만
세포
’가 활성화 되면 그 안에서 분비되지요. 우리 몸은 나쁜 세균이나 물질이 들어오면 백혈구가 나와 이를 없애 주는 면역체계를 갖추고 있어요. 이때 히스타민이 혈관을 확장시켜 백혈구가 쉽게 이동할 수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에 깔려 있는 원리를 밝혀낼 겁니다. 대표적으로 뇌와 신경
세포
망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자라면서 신체 기관이 어떻게 발달하는지, 그리고 생태계는 어떻게 유지되는지의 3가지를 들수 있습니다. 생명을 이해하고 질병 문제를 해결하거나 멸종위기에 놓인 생명체들을 보호하는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살아있는
세포
에 200nm 크기의 작은 구멍을 뚫을 수 있을 정도입니다. 이렇게 되면
세포
를 죽이지 않고 수술을 할 수 있죠. 머지않은 미래엔 몸속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할 때도 펨토초 레이저를 활용할 겁니다. 펨토초 레이저는 다양한 파장의 빛들을 포함합니다. 즉 몸에 쪼이면 각각의 빛이 피부에 ... ...
당(糖, sugar)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특히 과당은 그 해악이 에탄올에 버금간다고 해서 큰 화제가 됐다. 포도당과 달리 간
세포
에서 처리돼 간에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혹시 눈치 챘는가? 단맛 소주는 에탄올만큼 나쁜 과당에 에탄올을 더한 식품인 셈이다). 그뿐인가.과잉 섭취한 과당은 간에서 대부분 지방으로 바뀐다. 지방간을 ... ...
[Life & Tech] 혀를 중독시킨 붉은 마약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더해진 ‘합성된 맛’이다. 그런데 매운맛은 느끼는 방식이 전혀 다르다. 50~100여 개의 맛
세포
가 들어 있는 미뢰는 TRPV1이라고 하는 통각 수용체에 둘러싸여 있다. 이 통각 수용체에 매운맛 물질(고추라면 캡사이신, 마늘이라면 알리신)이 달라붙으면 통증을 느끼고 이것이 뇌에 전해져 매운맛으로 ... ...
아플 때 입맛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논문을 ‘뇌·행동·면역’ 4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면역
세포
중 감염을 막는 조절 단백질인 종양괴사인자(TNF) 유전자가 없는 쥐와 있는 쥐의 ‘입맛’을 비교했다. 그 결과 TNF를 만들어낼 수 있는 정상 쥐가 쓴맛에 훨씬 더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프면 감염을 막기 위해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동력 문제를 극복했다. 박테리아가 특정 물질(혈관형성촉진인자 등)을 쫓아 특정 위치(암
세포
등)까지 로봇을 이동시키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역시 뇌의 정확한 부위로 로봇을 조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이상윤 부경대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는 “목표 뉴런에 정확히 도달하기 위해선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과학이 주는 즐거움 때문이다. 그는 요즘 의학에서 새로운 연구주제를 찾아나가고 있다.
세포
의 물질 전달을 조절하는 것은 거의 모든 질병 치료의 기본이다. 실제로 그가 주로 연구하는 효모는 백신과 같은 의료용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는 숙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셰크먼 교수는 이런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