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과학뉴스] 과학자가 말하는 과학의 아름다움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연구원은 수정란이 착상하기 직전의 찰나를 포착했다(➋). 사진 속 파란 세포는 태아로 발달할 내배엽이며, 바깥 부분은 태반과 합쳐지는 외배엽 부분이다.설명 없이는 도무지 정체를 알 수 없는 사진도 있다. 하얗게 핀 예쁜 꽃은 사실 누룩곰팡이의 포자다(➌). 곽현정 세계김치연구소 연구원의 ... ...
-
- [과학뉴스] 위험감수 vs 안정지향, 도파민이 결정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것이다. 연구팀은 위험을 감수하도록 만드는 신경세포 2개를 새롭게 알아냈다. 이 신경세포들은 식량 변화를 감지했을 때 활성화돼 도파민 방출을 유도했다. 살라사니 교수는 “도파민과 위험감수 행동과의 관계를 정확히 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도파민의 불균형으로 생기는 질환을 ... ...
-
- [Life & Tech] 100년을 속인 가짜 혀 지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그렇다면 짠맛은 무엇이 필요해서 느끼는 걸까요. 나트륨 이온입니다. 우리 몸의 신경세포가 작동하려면 나트륨이 꼭 필요합니다. 반면 쓴맛과 신맛은 위험을 경고하는 맛입니다. 쓴맛은 독을, 신맛은 부패를 경고하지요. 최낙언 이사는 “쓴맛의 수용체는 무려 25가지인데 우리는 한 가지 맛으로 ... ...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할 것인가 비침습형으로 할 것인가. 침습형 BMI는 조종사의 뇌에 직접 센서를 심어 신경세포의 전기신호를 모으는 방법이다. 뇌수술이 필요해 부담스럽지만 인간의 의지를 정확히 로봇에 전달할 수 있다(에바 용어로는 ‘싱크로율이 높다’). 비침습형 BMI는 수술을 하지 않고 두피에 센서를 붙여 ... ...
-
- [과학뉴스] 호암재단, 5월에 노벨상 수상자 초청 강연회 열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밝혀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셰크먼 교수는 이날 강연회에서 ‘췌장 섬세포 생물학과 당뇨’라는 의학계의 중요 이슈와 함께, 과학 분야에서 창조적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해 이야기할 예정이다.서울시교육청·성균관대·호암재단이 공동주최하는 이번 강연회는 한국 ... ...
-
- [Hot Issue] 뇌진탕 위험으로부터 미식축구 선수를 구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높아진다. 타우 단백질은 알츠하이머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덩어리를 이뤄 주변 신경세포를 죽인다. CTE와 알츠하이머는 눈에 보이는 증상도 비슷하다. 악몽, 기억력 저하, 우울증, 공격성 증가 등이다. 이는 목숨을 끊은 미식축구 선수들이 보인 증상과 동일하다.정말로 무서운 점은 현재로서는 어떤 ... ...
-
- [지식] 냄새를 보는 행렬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세포는 약 500만 개예요. 사람보다 후각이 발달한 개는 후각 세포가 2억개가 넘어요. 후각 세포에서 향기 분자와 결합하는 후각 수용체는 300~400종류예요. 후각 수용체의 모양에 따라 결합하는 향기 분자가 다르대요. 예를 들어, 달콤한 향기를 내는 분자와 기름 향기를 내는 분자는 서로 다른 후각 ... ...
-
- [Knowledge] 유로파를 향해 떠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인공장기를 만들었다. 우주에서 제작된 나노로봇에 암을 추적하는 암표적 DNA를 붙여, 암세포만 죽일 수 있는 ‘나노 항암수류탄’ 기술도 개발됐다.2020년대 말 한반도에는 큰 위기가 있었다. 경제적으로나 군사적으로 한계에 이른 북한이 핵무기 개발을 들고 나오며 위협 수위를 높여 갔다. 그러나 ... ...
-
- 현미경으로 들여다본 아주 작은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벼룩의 입을 현미경으로 관찰해서 찍었지요. 과학자들은 아주 작은 곤충이나 미생물,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부위별로 쉽게 구분하기 위해 색을 입혀요. 그래서 실제보다 훨씬 화려하고 아름다운 작품으로 탄생하지요. 과학자들이 예술로 탄생시킨 조그마한 세상을 함께 감상해 볼까요?※ ... ...
-
- 바다 민달팽이 광합성의 비밀은 ‘먹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먹어서 이 유전자를 가지게 된 거예요. 놀랍게도 이 유전자는 유전자 조작을 이용해 동물 세포에 삽입한다고 해도 절대로 발현하지 않아요. 오직 바다 민달팽이만이 이 유전자를 가지고 엽록체를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답니다.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학교 시드니 피어스 교수는 “서로 다른 종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