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d라이브러리
"
인식
"(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입을 모았다. 비록 이들이 아직까지는 사람들에게 동물원에나 가둬야 하는 야수로
인식
되고 있지만 말이다. 야생동물과 사람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 이제껏 지상 최고의 제왕으로 군림해 온 우리의 태도를 반성한다면 답은 금세 나온다.한반도에 다시 야생호랑이가 뛰어다닐 ... ...
살아 있는 입체 사진을 찍는다 파인픽스 리얼3D W1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입체로
인식
한다. 두 눈 사이에 간격이 있어 동일한 사물을 바라봐도 똑같은 형태로
인식
하지 않는 것이다. 만에 하나 한 눈을 감고 다른 한쪽 눈으로만 보면 거리도 부피도 제대로 알기 힘들다. 이 카메라도 사람 눈처럼 ‘눈’이 두 개다. 하나의 몸체에 렌즈와 전하결합소자(CCD)가 두 개씩 들어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집중시킬 수 있는 인조 잠자리 눈이 탄생한 것. 인조 잠자리 눈은 극미량의 물질을 바로
인식
하기 때문에 초고감도 센서로 활용할 수 있다.이 연구 결과는 2009년‘어드밴스트 머티리얼즈’ 10월호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고, ‘네이처 포토닉스’에 주목할 만한 연구로 소개됐다. 연구단은 앞으로도 ... ...
과학관이 살아 있다는 걸 보여주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과학관이 살아 있다’를 찍으려고 하는 데도 일반 국민에게 과학관이 재밌는 곳이라는
인식
을 심어주려는 의도가 숨어 있다. 그는 나름대로 영화 시나리오에 대한 아이디어도 펼쳐보였다. “외계인이 지구를 침공하는데, 과학관의 첨단장비를 살아 움직이게 해 인간을 공격하는 겁니다. 인간도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4가지 선호 경향(외향적, 내향적/감각적, 직관적/사고적, 감정적/판단적,
인식
적)에서 각각 한 가지씩 뽑아 짝을 지어 성격 유형을 모두 16가지로 나누고 있다. 외향적(E)이고 감각적(S)이며 사고적(T)이고 판단적(J)인 성향은 'ESTJ'형으로 행정가 타입이다. 여기서 순서를 바꾼 경우, 즉 ESTJ나 SJTE는 서로 ... ...
타임머신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지나갈수록 단면은 점점 커져 원이 됩니다. 2차원의 세계에 사는 사람은 구를 원으로
인식
합니다. 원은 점점 커지다가 다시 작아지면서 점이 되고, 마침내사라져 버립니다. 2차원의 세계에 사는 사람들은 어디선가 갑자기 점이 나타나 원이 되고 다시 사라지는 모습을 보는 거죠. 그들은 시간에 따라 ... ...
파리의 눈으로 로봇의 눈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빠르게 날아다니며 장애물을 피하는 능력이 있어요. 이 능력을 로봇에 응용하면 공간
인식
능력이 뛰어난 로봇을 만들 수 있죠. 그래서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의 신경생물학자들은 파리를 영상장치 앞에 묶어 두고 여러 가지 장면을 보여 주면서 눈과 뇌의 반응을 연구한다고 해요.이 사진은 실험 ... ...
가상현실 속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4호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보면 가구가 보여(오른쪽 사진의 화살표). 컴퓨터가 마커를
인식
해서 가구를 합성한 거지. 가구를 움직일 수도 있어서 실제로 움직이지 않고도 가구 배치를 미리 해 볼 수 있단다.가상현실 체험이 어땠어? 아직은 현실과 완전히 똑같지는 않지만 가상의 물체를 만지고 움직일 수 ... ...
“뇌파로 강아지와 대화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못해도 사람이 어떤 질문을 하면 그에 따른 특정한 뇌파를 내보냅니다. BMI로 이 뇌파를
인식
한 뒤 컴퓨터로 분석해 음성으로 만들면 강아지도 말을 하게 되는 것이죠. 실제로 2008년 말 한림대 의대 신형철 교수 연구팀은 닥스훈트종 강아지와 대화를 나누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름을 물으면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기억한다. 한편 다람쥐원숭이는 사람이 구분하지 못하는 펜촌이란 냄새 분자를 다르게
인식
한다. 이처럼 사람의 냄새 식별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사실은 진화과정에서 시각에 점점 더 의존하면서 후각이 퇴화한 결과로 여겨진다.미각도 비슷하다. 단백질을 이루는 L-아미노산은 별맛이 없는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