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나"(으)로 총 1,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조류독감, 사람에게 전염되나요?동아사이언스 l2016.12.20
- 대한 스트레스와 고통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 사체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가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걱정이 많은데요, 농림축산부에 따르면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든 대형 수조(사체 250톤 정도 처리 가능)에 담아 처리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대형 수조는 지하 또는 ... ...
- [사이언스 지식IN] ③독감 걸리면 죽을 수도 있나요?동아사이언스 l2016.12.16
- 구분하는데, H형에 16종류, N형에 9종류가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올해 우리나라에서 유행하고 있는 A형 독감은 H3N2형, 조류독감은 H5N6형입니다. 단백질의 조합에 따라 숙주, 전염력, 발생증상이 모두 달라집니다. 다행히 발병 4일 만에 겨우 쾌차한 최 대리. 사람이 아프면 면역력뿐만 아니라 ... ...
- [사이언스 지식IN] ②독감 예방주사, 지금이라도 맞을까요?동아사이언스 l2016.12.15
- 방수밴드를 붙이고 하세요. GIB 제공 Q10. 그럼 무료로 독감 예방주사를 맞을 방법은 없나요? ▶ 혹시 65세 이상이신가요? 아님 혹시 1살 미만? 안타깝게도 현재는 65세 이상 노인과 6개월~12개월 사이의 영유아에게만 무료 독감 예방주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15년 10월 1일에서 2016년 6월 30일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촛불시위 승리 원동력은? ‘분노’ vs ‘자부심’?2016.12.13
- 않고 오래 싸울 수 있게 해줄 동력이 필요하다면 ‘자부심’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나와 주변 사람들 모두 자랑스럽다며 서로 등을 두들겨주는 것도 좋을 것이다. ※ 참고문헌 Tausch, N., & Becker, J. C. (2013). Emotional reactions to success and failure of collective action as predictors of future action intentions: A ... ...
- [지뇽뇽의 色수다] (ep3) 키스의 과학2016.12.11
- 성관계시의 키스 뿐 아니라 ‘평소’ 하는 키스 또한 관계만족도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Wlodarski & Dunbar, 2013). 정리하면 키스는 ‘입술을 통해서 서로의 매력도를 측정, 사랑의 감정을 증폭시키며 유지시키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상대방의 전투력 아니 매력을 측정하는 스카우터가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자기비하 그만! ‘#너그러워지기’2016.12.06
- 기본적인 인권이라는 생각을 가져보도록 하자. 다른 사람에게 요구하기 전에 나부터 나에게 좋은 친구가 되어 줄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 참고문헌 Neff, K. D. (2003).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y, 2, 85–102. Neff, K. D., Kirkpatrick, K., & Rude, S. S. (2007).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2016.12.05
-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2014)가 있고, 옮긴 책으로 『반물질』(2013), 『가슴이야기』(2014)가 있다 ... ...
- 서민이 보수정당에 투표하는 이유2016.11.30
- 강한 무엇과 친해지고 싶다고 생각하는 것도 본능적일지 모른다. 약자들과 연대하기보다 나는 쟤네들과 다르다며 선을 긋는 게 더 손쉬울지도 모르겠다. 지금까지도 그랬겠지만 앞으로의 과제는, 이런 각자도생의 길보다 연대를 선택할 유인을 주는 것, 더 쉽게 연대할 길을 열어주는 것, 약자지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2016.11.28
-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2014)가 있고, 옮긴 책으로 『반물질』(2013), 『가슴이야기』(2014)가 있다 ...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2016.11.23
-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2014)가 있고, 옮긴 책으로 『반물질』(2013), 『가슴이야기』(2014)가 있다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