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빌딩
건축물
건조물
집
사옥
옥사
구조물
d라이브러리
"
건물
"(으)로 총 2,119건 검색되었습니다.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목적지를 찾아간다. 미국이 이라크를 상대로 벌인 전쟁에서 보여줬듯 미사일이 목표
건물
에 정확히 명중하는 것도 GPS를 이용해 미사일을 원격조정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다리를 건설할 때도 GPS를 이용한다. GPS를 이용해 강 건너편 다리가 연결될 지점에 정확히 공사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긴 ... ...
BMW 속도 무제한의 비결은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것이다. 비록 시범연출이었지만 SF영화에서 봄직한 장면이었다.프로젝트 빌딩의 옆
건물
로 자리를 옮기자 ‘청정에너지’(Clean Energy)라고 쓰여 있는 자동차가 눈에 들어왔다. 놀랍게도 지난해 9월 19일 프랑스 미라마스 시험장에서 최고 시속 302.4km의 속도를 기록한 수소 자동차였다. 세계 최초의 ... ...
별박사 이태형 별따기 다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같은 행성도 어른 손톱 만큼 작게 만들 수 있답니다.손톱만 한 곳에 지구의 모든 사람과
건물
, 자동차들이 모여 있다고 생각해 봐요. 그것을 잡고 있는 중력은 얼마나 클까요?! 그것이 바로 블랙홀입니다! 블랙홀은 아주 무거운 별의 시체입니다. 즉, 태양 보다 질량이 30배 이상 되는 무거운 별이 ... ...
초음파 가습기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따뜻한
건물
안, 그러나 왠지 가슴은 답답하다. 주범은 실내의 너무 낮은 습도 때문. 피부는 물론 눈이나 코, 입의 점막이 마르면서 불쾌감을 더한다. 그뿐만이 아니다. 건조한 공기는 실내 온도를 실제보다 더 차게 느껴지게 하거나 목재 마루나 가구를 손상시킨다. 이쯤 되면 습도를 일정하게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일어나면 다른
건물
로 대피하는 방식이다. 일본에서 구상한 에어로폴리스2001도 4개의
건물
이 연합한 형태다.초고층
건물
의 한계는 없다왜 사람들은 초고층
건물
을 지으려고 할까. 바벨탑 신화에서 볼 수 있듯 인간은 하늘을 향한 상승욕구를 갖고 있다. 특히 더 이상 팽창하기 힘든 거대 도시에서는 ... ...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해서 광공해 문제가 말끔히 해결되지는 않을 것이다. 가로등이 사라진 밤에도 여전히
건물
의 실내조명과 네온사인들은 그대로일 테니까. 또 밤에도 바쁘게 돌아가야 하는 도시에서 밤하늘의 낭만을 위해 가로등을 모조리 없애는 일은 불가능한 상상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가로등의 밝기를 낮추고 ... ...
2080년 '초강력 태풍' 출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현재 최대 위력의 태풍은 5등급으로 초속 69m 이상의 바람과 5.5m 이상의 해일을 동반하며
건물
도 무너뜨릴 수 있을 정도의 위력을 갖추고 있다. 5.5등급 허리케인은 태풍 주위의 폭우가 5등급보다 20% 심해지는 등 더 강력해진다. 연구자들은 지구온난화 때문에 태풍 횟수가 더 늘어날지는 아직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여기는 다임러크라이슬러
건물
내부입니다. 가상현실을 이용하면 가상공간에서 미리
건물
을 설계해 내부 구조까지 둘러 본 후 가장 적합한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죠.” 안드레아 코페키 박사의 설명이다. 이밖에도 가상현실은 자동차 구조 시험이나 온도 변화 시스템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인간이 ... ...
KIST 폭발물 제거 로봇 이라크 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때 원격 조정을 통해 폭발물을 해체한다. 자이툰 부대는 롭해즈에 물포총을 달아 도로나
건물
주변에 설치된 폭발물을 해체한다.롭해즈는 KIST 지능로봇연구센터 강성철 박사팀이 개발한 것으로 길이 74cm, 너비 47cm, 높이 29cm로 라면박스 정도 크기의 작은 로봇이다. 경사가 45도에 달하는 계단이나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나노조립라인이고 DNA를 복제하는 중합효소는 복사기에 해당한다. 단백질분해효소는
건물
해체현장의 불도저와 같고 세포막에 있는 이온채널은 출입카드로 열리는 문을 연상시킨다.따라서 바이오테크놀로지가 도약하기 위해서는 개별 생체분자의 구조와 움직임을 정확히 알아야만 한다. 이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