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빌딩
건축물
건조물
집
사옥
옥사
구조물
d라이브러리
"
건물
"(으)로 총 2,119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 과학혁명의 산실, 칭화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지원하는 등 정책적인 뒷받침도 있다. 연구 환경은 보다시피 최첨단 시설을 갖춘
건물
들이 속속 들어서고 있다.문 칭화대는 기업뿐 아니라 지방 정부와도 협력이 활발한 것으로 알고 있다. 대학이 이런 역할까지 해야하나?답 : 물론이다. 중국에서는 대학이 연구개발의 중심지로 그 결과를 전국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규모가 작지만 만만치 않은 피해를 내기도 한다. 첫 지진의 충격으로 무너지기 직전인
건물
들을 ‘확인사살’하기 때문이다.이번의 울진 해상 지진도 3차례의 여진이 따랐다. 첫 지진이 발생하고 약 9시간 반 뒤인 5월 30일 오전 4시 45분 울진 남동쪽 70km 해역에서 리히터 규모 2.0의 지진이, 이날 오후 ... ...
시뮬레이션으로 나노 세계 비밀 푼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성능을 보유했다는 점에서 당시 상당한 화제가 됐다.“슈퍼컴퓨터는 몇 블록 떨어진 옆
건물
에 있어요. 저는 여기서 슈퍼컴퓨터를 원격 제어하기만 하면 됩니다.” 강 교수가 이끄는 나노재료 및 공정 전산모사 센터에서는 슈퍼컴퓨터를 통해 물질의 구조를 밝히고 제조 공정을 계산하는 시뮬레이션 ... ...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미관과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된다. 각종 동식물의 먹이사슬을 보호할 수 있다는 점 외에도
건물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도심의 공기 정화 기능을 하는 등 여러면에서 유용한 측면이 많다. 최근 오존 방출이 문제가 됐던 플라터너스 한그루도 하루평균 3kg 내외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2.6kg의 산소를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거의 다다를 즈음 할 박사는 고기압 태풍의 중심을 만난다. 태풍의 중심에 놓인 맨해튼의
건물
들은 꼭대기에서부터 순식간에 바닥까지 얼어붙는다. 다행히도 샘은 불이 있어 살아남는다. 아들을 구출한 할 박사는 구조에 나선 헬기를 타고 멕시코의 미 난민촌으로 남하한다. 헬기에서 바라본 뉴욕은 ... ...
HOT ISSUE 2. 숱한 증명실험 통과한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년 미 하버드대 물리학자 로버트 파운드와 글렌 레브카가 한 실험이었다. 그들은 대학 내
건물
의 엘리베이터 통로를 활용했다. 22m 높이의 엘리베이터 바닥에는 고에너지의 감마선 발사장치를 놓고 천장에는 센서를 장착했다. 그런 다음 감마선을 천장의 센서로 향해 쏘았다. 감마선이 지구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열적외선 영역은 감지할 수 있지만 투과성이 좋지 않아
건물
이나 지하에 있는 사람을 감지해내기란 쉽지 않다. 첩보위성은 그 대신 투과성이 강한 레이더 파장영역을 이용한다. 반면 인물의 성별 구분은 현재 기술력으로 충분히 가능하다. 공격 목표의 신원을 ... ...
위성이 안전 착륙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전에 전리층과 대류층을 통과하면서 약간 지연돼 발생하는 오차다. 또 안테나 주변에
건물
같은 방해물이 있어도 위성신호가 반사돼 오차가 생길 수 있고, 수신기의 하드웨어에서 발생하는 측정오차도 있을 수 있다.하지만 항공기가 안전하게 착륙하기에는 20m 오차도 크다. 따라서 착륙을 최대한 ... ...
창의력과 끼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일” 이라고 말한다.학문간 융합은 시대적 대세 바이오시스템학과의 또다른 비밀병기는
건물
지하에 자리잡고 있다. 청정도 99.9% 이상의 깔끔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70평 규모의 클린룸(청정실)이 바로 그것이다. 클린룸에서는 수십nm(나노미터, 1nm=${10}^{-9}$m) 크기의 미세 센서와 기계를 제작한다. ... ...
태양건축 에너지 완전자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통해 건축기술과 에너지기술이 조화를 이룬 최적의 설계안을 끌어냈다. 또 지어질
건물
모델과 에너지 절약 기술을 토대로 에너지 자립도도 예측해냈다. 지금까지 서로 알력관계에 있던 건축가와 에너지 전문가가 조화를 이뤄 만든 합작품인 셈이다. 이는 21세기 건축이 지향해야 할 큰 방향이다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