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지난해 어메이징파크를 열 수 있었답니다. 앞으로 여러분들이 과학을 체험하고 즐
길
수 있는 세계 최대의 과학월드를 만들 거예요. 가족들과 함께 이곳에서 자연을 느끼고 과학도 마음껏 체험하세요.Q 사람에게 해가 되는 나쁜 기계도 있나요?기계는 좋은 기계와 나쁜 기계로 구분되지 않아요.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요트는 마치 모터를 켠 것처럼 끊임없이 앞으로 나아갔다. 게다가 기자가 탄 요트는 앞뒤
길
이가 약 12m, 높이가 약 19m였다. 그만한 요트를 앞으로 보낼만큼 큰 돛과 돛을 연결한 활대를 움직이는 일은 성인 남자에게도 버거워 보였다. 활대는 아주 빠르게 방향을 바꾸는데, 기자가 앉자마자 활대가 ... ...
신나는 지사탐 활동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지구사랑탐사대 3기지구사랑탐사대 3기 발대식이 4월 25일 토요일 오후,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에서 열렸어요. 210여 명의 탐사대원들이 참여해 재미있는 강연도 듣고 ... 차례로 이어질 예정이에요. 전국 방방곡곡에서 지사탐의 활발한 탐사 소식이 들려오
길
함께 기대해 주세요!협찬 : K ... ...
[과학뉴스] 짠물에 버티는 식물, 식량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더딘 것을 확인했다. 퍼슨 교수는 “식품 생산의 큰 걸림돌이었던 염분을 극복할 수 있는
길
이 열렸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셀’ 9월 4일자에 실렸다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자질들을 탄탄하게 키울 수 있다고 생각해요. 여러분도 기본에 충실하
길
바랍니다.”# 어? 내 모자가 점점 희미해지고 있어! 호모 에렉투스 최고의 요리사라고 자만하던 내게 이 모자는 요리에 대한 많은 깨우침을 줬어. 내가 살던 시대로 돌아가면 사람들에게 맛있는 음식을 해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주효했다. 우리나라의 유일한 풀벌레 전문가인 김 연구사는 “남들이 가지 않는
길
을 선택하는 게 좋다”고 했다. 어리여치는 풀벌레 중에서도 가장 연구가 안 돼 있는 분류군이다.“이름에 여치가 들어있지만 여치와는 습성이 완전히 달라요. 꽃가루를 옮겨서 수분시키는 녀석도 있어요. 이것 ... ...
[Photo] 기후변화가 만든 미래의 고고학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영감을 얻었다. 그는 “기후변화가 앞으로도 계속된다면 몽골의 유목 문화 역시 이런
길
을 걷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사막화를 부추기는 인간사막화 현상의 직접적인 원인은 기후변화다. 하지만 과도한 벌목이나 채굴 사업 역시 사막화를 부추기는 중요한 원인이다. 특히 목축업으로 사육 가축 ... ...
[Knowledge] 자존감에 집착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행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존감이 높으면 주위 환경에 주눅이 들지 않고 자신만의
길
을 추구할 수 있기 때문에 무엇이든 잘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그러나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심리학과 로이 바움에이스터 교수는 자존감이 행복의 만능열쇠는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는 실험 참가자들의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엄밀히 말해 양자전기역학을 다른 형태로 이해하는 것에 그쳤고, 통일이론으로 가는
길
은 멀어 보였다.1950년대에 예상치 못한 일이 일어났다. 1956년 양첸닝과 로버트 밀즈는 서로 독립적으로 포크와 론돈102의 이론을 확장해 양자전기역학뿐 아니라 약한 핵력이나 강한 핵력과 같은 힘들을 서술할 수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수영 실력을 뽐냈던 강민주 양(경기 고양 백석고 1)은 해삼을 건져 올리기도 했다. 호두를
길
게 늘인 것처럼 생긴 해삼은 두 손을 한 가득 메울 만큼 컸고, 예상과 달리 딱딱했다. 강 양은 얌전한 말투로 “너무 예쁘다”며 “사람 뇌를 떼어 놓은 것처럼 생겼다”고 말해 기자를 경악케(!) 했다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