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만났다. 너무 안타까워서 자료를 찾아보니, 복합조직이식이라는 개념이 있었다. 그
길
로 미국 최고의 손 재건수술병원으로 꼽히는 클라이넛 수부외과센터에 한국 최초로 정식 임상교수로 갔다.우리나라에서 팔 이식 사례가 있는지아직 없다. 한번도 시행되지 않은 수술을 하려면 보건복지부에 ... ...
알쏭달쏭~ 귀화식물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피는 돼지풀 꽃의 꽃가루는 알레르기성 비염을 일으키거든요.꾸준한 관찰과 관리만이 살
길
“귀화식물을 무조건 나쁘다고 하기 전에 우리나라에서 어떤 상태로 살고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 먼저예요.”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양종철 임업연구사는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귀화식물에 대한 연구가 ... ...
[수학뉴스] 개미 떼를 이끄는 리더 개미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능력이 떨어졌습니다.재미있게도 리더가 바뀌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과자 바깥에서 앞
길
을 미리 보고 온 개미가 무리에 끼어들 때였지요. 개미들은 새 리더가 이끄는 대로 순순히 힘을 합쳤습니다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구분하지 못한다”면서 “게임이나 스마트폰 같은 가상세계보다 운동처럼 현실에서 즐
길
수 있는 취미를 찾으라”고 조언했다. 그는 “혼자보다는 여럿이 함께 하는 취미를 갖는 것도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거나 벗어나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약 5km를 걸어갈 수 있다. 곤충을 모방한 이유는 다리가 여섯 개라 네발동물에 비해 비탈
길
이나 계단을 오르고 내릴 때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또 실제 곤충처럼 다리를 구부리거나 옆으로 걸을 수도 있다.치타 로봇실제 동물처럼 걷거나 빠르게 달리는 로봇미국 MIT(매사추세츠 공대) ... ...
[지식]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수 있다.영화 ‘왕의 남자’ 표절 논란2005년에 개봉한 영화 ‘왕의 남자’에는 광대 공
길
과 장생이 맹인극에서 ‘나 여기 있고 너 거기 있어?’라는 대사를 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런데 1996년에 만들어진 희곡 ‘키스’에도 ‘나 여기 있고 너 거기 있어’라는 대사가 있어 표절 여부를 두고 논란이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중력이 0이 되는 안정적인 지점이다. 뉴호라이즌스 호의 궤도그림에서 화살표의
길
이는 속력의 크기이고, 화살표의 방향은 우주선의 진행 방향이다. 목성을 통과한 뒤 뉴호라이즌스 호의 속도는 목성의 중력 영향으로 가속도가 생겨(빨간색 화살표) 방향도 바뀌고 속력도 원래보다 빨라졌다. 같은 ... ...
[참여] 게임카페 1기, 첫 번째 수업 상상력과 논리의 멋진 조화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길
을 찾아나가는 게 목적인 게임이에요. 조를 짜서 앉은 참가 독자들은 먼저
길
찾기를 소재로 한 여러 가지 게임을 직접 해봤어요. 평소에 즐기던 게임이 등장하면 반가워하기도 했고, 새로운 게임은 호기심을 갖고 해 보기도 했어요.이렇게 앞서 나온 게임이 어떤 아이디어와 규칙을 사용하고 ... ...
좋은 맛 똑똑한 맛 ➍ 나트륨 줄이기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소금, 다시 말해 나트륨 섭취는 다시 늘어나기 시작했다. 나트륨 피하는 최선의
길
은 소식짠 음식이 고혈압을 일으킨다는 것은 이제 상식이다. 나트륨이 피 속에 들어가면 삼투현상을 일으켜 수분이 늘어난다. 이렇게 되면 혈압이 높아져 고혈압은 물론 심혈관 질환이나 뇌졸중을 일으키는 것이다.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우주배경복사의 존재를 예측”한 공로를 치하했지만 말이다. 함께 만들어가는 과학의
길
역사는 언제나 최고만을 기억한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역사의 기억이 왜곡돼 있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일반상대성이론의 역사에서도 왜곡이 제법 심각하다. 새삼 덜 알려진 역사를 들춰낸다고 해서 널리 알려진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