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순간"(으)로 총 4,46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세상의 마지막 촛불이 꺼지는 순간과학동아 l2016년 04호
- 3월 9일 오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일부 지역에서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개기일식의 장관이 펼쳐졌다.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는 지역의 폭은 155km에 불과했다. 안타깝게도 서울에서는 오전 10시 10분부터 1시간 9분 가량 태양의 3.5%가 가려지는 부분일식밖에 볼 수 없었다.개기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와중에도 중앙을 향해 나갔다. 특히 흑73은 왼쪽 아래의 백에 거의 포로로 잡혔던 돌들이 순간 중앙으로 진출할 수 있는 두터운 수가 됐다. 2국은 결국 중앙에서 알파고가 큰 이득을 취하며 승리했다.그래도 체면을 구긴 맛과 달리, 두터움의 중요성은 알파고가 인정한 셈이다. 바둑도 알파고의 도움을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책 두 권이 동시에 나왔다. 각각 물리학과, 화학•생물학의 위대한 업적을 훑는다.‘모든 순간의 물리학’은 이탈리아의 양자중력 연구자인 카를로 로벨리가 이탈리아 일간지 ‘솔레 24 오레’의 부록에 시리즈로 발표한 기고문을 엮은 책이다.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양자중력 등 20세기 물리학을 ... ...
- [기자단 소식]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벨루가, 바다사자, 물범 등 해양 생물의 특징과 환경에 대해 알려 주셨지요. 또 벨루가의 순간이동이라는 주사위 마술도 재미있게 배웠습니다.귀여운 흰 고래 벨루가도 만났는데, 벨루가는 대체로 몸이 흰색이며 북극에 살고 있습니다. 등지느러미가 없는 것이 특징인데, 북극의 수많은 빙산에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황북기 교수님의 따끈따끈 실험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전류가 흘러요. 이 전기를 ‘맴돌이 전류’라고 한답니다. 구리관에 자석을 떨어뜨린 순간, 구리관에 생겨난 맴돌이 전류가 자석의 움직임을 방해한 거지요. 아래로 떨어지던 자이로드롭을 멈추게 하는 힘도 바로 맴돌이 전류예요. 자이로드롭의 좌석 밑에는 자석이 붙어 있어요. 이 자석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먹자!”파부르의 말에 배고팠던 친구들이 모두 젓가락을 들고 냄비로 달려들었어요. 그 순간! 갑자기 식당이 크게 흔들리더니 방이 좁아지기 시작했어요.“끝난줄 알았지? 열의 이동에 대해 정확히 설명하라. 그렇지 않으면 납작한 쥐포 신세가 되고 말걸?” 비주얼 과학 개념 이해하기열 : 온도가 ... ...
- [과학뉴스] 당신이 5분마다 한숨을 쉬는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근심이 있거나 안도를 하는 등의 감정을 느끼는 순간 외에도 5분에 한번씩 한숨을 쉰다. 숨을 길게 내쉬면서 폐의 기능을 건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인데 정확한 조절 원리는 밝혀진 바가 없었다. 그런데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마크 크라스노우 교수팀이 쥐 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한숨을 조절하는 ... ...
- Intro. 알파고 쇼크, 그 후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그날 불쾌한 골짜기에 첫발을 디뎠다. 이세돌 9단이 알파고에게 패배한 순간, 안타까움을 넘어 불안과 불쾌함이 엄습했다. 불쾌한 골짜기는 일본의 로봇공학자 모리 마사히로가 처음 제안한 것으로, 간단한 자동화 로봇이나 영화 ‘그녀’ 속 사만다 같은 완벽한 인공지능에는 불쾌함을 느끼지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색깔은 어느 순간 실재가 되는 걸까? 4광년 떨어진 곳에서 파란색이라고 알게 되는 그 순간 지구의 알약도 빨간색이 된다는 것이 양자역학의 표준해석이다.우주에선 어떤 정보도 빛보다 빨리 이동할 수 없다. 그렇다면 파란색이라는 관측 결과가 지구로 도달하는 4년 동안 지구의 알약은 빨간색과 ...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핵융합 플라스마가 전혀 관계없어 보이는 자연현상과 깊이 연결돼 있음이 드러나는 순간이 좋은 예일 것이다. 가까운 미래에는 이런 비밀들이 더 많이 밝혀져 핵융합을 실현시키고자 하는 우리의 도전에 빛을 던져주길 희망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플라스마 엔지니어링Part 1.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