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ㅣ인간복제 찬성ㅣ 과학발달하면 윤리문제 없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불임부부 못지 않게 아기에게 큰 신체적 피해나 질병을 물려주게 될 유전자를 부모 중
한쪽
이 지니고 있을 경우에도 인간복제는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이런 부부가 정상적인 방법을 통해 질병을 갖고 있는 아기를 가질 경우는 부모뿐만 아니라 태어날 자녀도 불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 ...
ㅣ인간복제 반대ㅣ 인간존엄성 정면 도전하는 인간복제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유전체는 체세포를 제공한 개체와 동일하다. 일반적인 수정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부모
한쪽
의 유전체만 물려받는 단성생식이다. 단성생식이 인간에게 어떤 문제를 안겨줄 지는 아직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지 않다.하지만 태어날 개체가 부모의 생식세포가 분열하고 결합하면서 유전체가 선택적으로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화학 - 거울대칭 두 물질에서 유용한 쪽만 합성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보통의 방법으로 합성하면 이 두 이성질체가 1:1의 혼합물로 얻어지며, 이들을 분리해
한쪽
광학이성질체만 얻는 일이 쉽지 않다. 또한 나머지 반은 버리게 되니 비경제적이기도 하다. 실로 바람직한 방법은 두 광학이성질체 중 원하는 쪽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일이며, 이런 방법을 ‘비대칭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생리·의학 - 특정 질병에 특정 치료법, 최초이자 최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나라에서 최대의 건강문제였던 감염성 질병들을,
한쪽
에서는 예방백신의 개발, 다른
한쪽
에서는 이들을 치료하는 항생물질의 개발로 인해 완전히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진 것이다.21세기가 시작된 지금 이런 기대는 결국 헛된 것으로 판명됐다. 즉 항생물질의 사용은 병원균의 진화를 ... ...
2 활용 : ③ DNA 임무수행 동영상으로 즐긴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SPM을 이용해 실제로 측정했다.어떻게 가능한 일일까. 우선 단백질의 긴 체인의
한쪽
을 시료의 기판 위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반대편 끝을 AFM의 탐침에 고정시킨다. 여기에는 쉽지 않은 나노조작 기술이 필요하다. 그런 후 탐침을 시료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여간다. 이때 단백질을 ... ...
이승엽 vs 호세 홈런 경쟁 누가 이길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그러나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변화구에 약하다는 것. 외다리 타법을 구사하는 타자는
한쪽
다리를 들었다가 내리면서 방망이를 휘두르는 타이밍을 맞춘다. 대개 타이밍을 직구에 맞추기 때문에 느리게 오는 변화구를 제대로 칠 수 없다. 그러나 이승엽은 외다리 타법의 이 단점을 극복해서 성공한 ... ...
Ⅱ 투수 메이저리그 투수로 살아남는 전략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크게 원을 그리면서 타석을 향해 공을 던진다. 이때
한쪽
발은 땅에 고정시킨 채 다른
한쪽
발을 들어올려 공과 함께 몸을 회전시킨다. 즉 고정된 발은 몸이 돌아가는데 회전중심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키가 크고 팔이 긴 투수가 유리이같은 투구자세가 ‘오버핸드스로’(overhand throw). ... ...
역사 속 과학자들의 기괴한 행동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그는 평생 독신으로 살면서 대학 실험실에서 살다시피 했다. 실험실 폭발사고로
한쪽
눈을 잃으면서도, 비소중독으로 생명의 고비를 겨우 넘기면서도 말이다. 그는 유기화학분야에서도 업적을 많이 남겼는데, 그가 연구하던 화합물인 카코딜(cacodyl)은 냄새가 상당히 지독하다. 참기 어려운 고약한 ... ...
물리학자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다른 쪽은 바로 그 시간에 반B이기 때문이다.결국 이 두가지 붕괴 사이에 시간분포가
한쪽
이 B인 경우와 반B인 경우를 나눠서 측정한 후 그 분포가 비대칭인지를 확인하면 된다. 벨 실험에서 측정한 시간 분포를 살펴보면 두 경우에 분포가 비대칭이라는 것을 한눈에 알 수 있다 ... ...
Ⅰ 안타 잘 맞는 방망이의 타격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타자들이 고려해야 할 방망이의 또다른 위치가 있다. 볼펜 한자루를 바닥에 놓고 어느
한쪽
끝을 툭 밀어보자. 이때 순간적으로 볼펜이 어느 한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을 한다. 회전의 중심은 힘을 준 부위의 반대편에서 볼 수 있다.방망이에도 공이 맞았을 때 그 반대편에 회전중심이 생긴다. 만약 이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