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d라이브러리
"
한쪽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구조가 다른 물질)로만 구성돼 있다. 그 이유는 생명체의 모든 효소가 광학적으로 어느
한쪽
만 인식하기 때문이다. 우리 인체도 마찬가지다. 물질들 중에는 R과 S형태의 광학이성질체가 존재하지만 생체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이중 어느 하나의 광학이성질체와만 이뤄진다. 바로 효소의 입체특이성 ... ...
서양의 오리온은 발목 삔 아가씨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라고 부르는데, 이 별들이 동생의 삔 다리이다. 동생은 다친 다리가 아파서 치마 밖으로
한쪽
다리를 내놓고 있고, 또 가운데 별이 뿌연 이유는 다친 발목이 부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망원경으로 찍은 사진을 보면 이 자리가 피멍이 든 것처럼 붉게 보이는데 바로 오리온대성운이 나타나는 위치인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선명한 화질의 디스플레이를 만드는데 널리 쓰일 전망이다. 연구자들은 5년 안에 거실의
한쪽
벽을 가득 채우는 대형 디스플레이가 선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이것은 기존의 제품보다 더 싸고 얇으며 모양이 다양한 장점을 가질 것이다.사투리 알아듣는 컴퓨터미국 영화감독 스탠리 큐브릭의 1968년 ... ...
휴전선 국기 높이 달기 경쟁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인공기를, 남측에서는 태극기를 상대방보다 더 높게 올리는 경쟁이 일어난 것이다.
한쪽
에서 10cm를 올리면 다음날 반대쪽에서 10cm를 더 올렸다고 광고하는 것이 일과였다. 국기를 높이 올리는 것은 양측에서 사활을 건 기술과 아이디어의 싸움이 됐다.문제는 철근 콘크리트와 같은 건축공법을 사용해 ... ...
'아이다호'에 나타난 슬픈 질병, 기면 발작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결혼하고 엄청난 재산을 물려받는다. 공교롭게도 스코트 아버지의 장례식이 치러지던 날
한쪽
에서는 부랑자들의 대부 밥의 초라한 장례식이 치러진다. 위선과 거짓된 사랑으로 가득 찬 스코트 아버지의 장례식과 난장판이지만 진실한 애도의 정이 드러나는 밥의 장례식. 판이하게 대비되는 장례식 ... ...
아인슈타인이 이발사에게 들려준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아인슈타인이 프린스턴대에서 연구하고 있을 때. 어느날 젊은 기자가 노트를 손에 들고 와서 물었다. “교수님, 요즘 새롭게 발견된 거라 ... 왜 위로 치솟는 걸까, 비료를 이용해서 폭탄을 만들 수 있다는데, 알루미늄 포일의
한쪽
면은 반짝이는데 다른 면은 그렇지 않은 이유 등을 담고있다 ... ...
3. 국내 감성공학 연구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의미다.사람 눈에 따라 움직이는 카메라은행과 주차장에 설치된 감시카메라는 정해진
한쪽
만을 보여준다. 그래서 영화 속에서는 이 감시카메라 방향을 피해서 도둑이 침입한다. 하지만 연세대 전기전자공학과 김재희 교수팀이 개발한 시스템을 이용하면 감시카메라로 현장을 감시하고 있는 사람이 ... ...
쇼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헤집고 다니며 이런저런 상품을 집어 카트에 넣는다. 쇼핑이 다 끝나면 카트를 밀고 매장
한쪽
에 계산대가 주욱 늘어선 곳으로 가서 상품 값을 지불하고 매장을 나선다. 아주 간단하다.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면 재미있는 점이 발견된다. 바로 이 매장의 설계다. 손님들은 잘 느끼지 못하겠지만 그 큰 ... ...
리프킨의 엔트로피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이는 뜨거운 물과 차가운 물을 섞으면 미지근한 물이 되지만, 미지근한 물이 저절로
한쪽
은 뜨겁고 다른 쪽은 차갑게 되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다.과학 개념으로 사회현상 해석결국 열역학 제2법칙은 물리 현상에 방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뜻한다. 리프킨은 이러한 엔트로피 개념을 바탕으로 ... ...
왜 양자이론이 암호연구에 이용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사실이 어떻게 광자가 동시에 두 경로를 간다는 사실을 입증해준다는 것일까. 이번에는
한쪽
경로에 흡수판을 놓아보자(그림3). 그러면 두개의 광검출기에 각각 50%의 확률로 광자가 기록된다. 따라서 광자가 두 경로를 동시에 지난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즉 두 빛살 가르개 사이에서 광자는 반사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