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조류
진행
경향
유입
유통
형국
d라이브러리
"
흐름
"(으)로 총 2,209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의자로 촉발된 직류 · 교류 전쟁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계기는 아무런 전류도 나타내지 않는다. 이는 좁은 간격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전자의
흐름
임을 증명한 것으로 ‘에디슨 효과’라고 부른다.영국의 물리학자 리처드슨은 실험을 통해 에디슨 효과가 진공 상태에서 가열된 금속 필라멘트에서 전자가 튀어나오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 ...
잠버릇을 알면 건강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주기적사지운동증은 대개 자각하지 못하지만 문제가 되는 이유는 정상적인 수면의
흐름
을 방해해 불면증을 일으키고 낮에는 졸음을 유발하기 때문이다.나이가 들수록 병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져 50세 이상에서 29%, 65세 이상 노인 중에서는 44%가 주기적사지운동증에 해당된다고 하니 결코 쉽게 ... ...
Ⅰ타자 돌아온 이종범, 달라진 타법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타자가 홈런을 치는 순간 관중은 일제히 소리를 지르며 열광한다. 뿐만 아니라 감독, 코치, 선수들도 홈에서 기다렸다가 홈런을 친 타자에게 축하를 해준다. ... 없을 때보다 더 멀리 날아가고, 반대인 경우는 더 적게 날아간다. 이는 회전하는 공이 주위 공기의
흐름
에 변화를 주기 때문이다 ... ...
Ⅱ 투수 헛스윙 유도하는 주무기 변화구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증가한다.이러한 공기의
흐름
속도 차이는 결국 압력의 차이를 만든다. 주변 공기의
흐름
이 빠를수록 압력이 작다. 바로 베르누이의 원리인 것이다. 공은 압력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힘을 받으므로 공은 회전을 준 방향 쪽으로 휘어진다. 따라서 윗부분으로 공은 휘어진다.이 경우가 바로 박찬호 ... ...
에너지를 내손으로 만들자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된다. 다시 뚫려 있는 아랫부분으로 공기가 들어가 가열되고 위로 올라간다. 이런 공기의
흐름
이 계속돼 바람개비가 돌아가는 것이다. 즉 알루미늄 깡통에 흡수된 태양 에너지가 바로 바람개비를 돌리는 바람 에너지로 전환된 것이다 ... ...
3D 애니메이션이 탄생시킨 시험관아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올 여름 유난히 많은 3D 애니메이션이 개봉됐듯, 영화의
흐름
이 지금껏 우리가 알고 있는 전통적인 기법을 넘어 새로운 기술과 활발하게 만나는 시대라는 것을 말해준다.새로운 3D 애니메이션의 결론은 무엇일까. 필자는 이것이 게임과 영화가 크로스오버된 새로운 장르의 ... ...
반딧불의 비밀은 산화질소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낼 수 있다. 연구팀은“뇌에서 발생한 신경신호에 따라 산화질소가 인체 내에서 피의
흐름
, 뇌의 학습과 기억과정을 조절하는 것처럼 반딧불이에서도 뇌의 신경신호를발광체에 전달하는데 산화질소가 이용되는 것”으로 설명했다 ... ...
5인의 과학자 무인도 서바이벌 실험노트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루카스라는 이 포로는 못에 코일을 감아 만든 전자석을 이용했다. 전자석은 전류의
흐름
에 따라 맞붙여 놓은 얇은 깡통에 붙었다 떨어지면서 소리를 냈다. 안테나로는 포로수용소 주변의 철조망을 이용하거나 수용소 내의 전선을 이용했다. 밤에는 모든 전원을 차단하기 때문에 수용소 전체에 퍼져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경사를 이루는 지형이 생겨났다. 이런 화산을 순상화산이라고한다.후기에는 용암의
흐름
이 느린 화산폭발이 있었다. 이를 종상화산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한라산의 꼭대기는 화구를 중심으로 경사가 심한돔 형태의 지형이다.산방산돔 모양으로 종상화산으로 형성된 것. 산방산은 약 70만년전에 ... ...
1. 1백만달러 현상금 걸린 유체방정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나비어-스톡스 방정식은 해의 존재성은 알려져 있으나, 초음속 비행기 주위의 공기
흐름
을 표현한 오일러 방정식은 아직 해가 있는지 없는지 모르는 상태다.해가 존재하더라도 문제는 또 있다. 같은 자료에 대해 또다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다. 이를 가리켜 ‘해의 유일성’이라고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