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조류
진행
경향
유입
유통
형국
d라이브러리
"
흐름
"(으)로 총 2,209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켓 닮은 신발 뒤축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공기순환을 활용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DMX가 공기의
흐름
만을 이용하는 반면 헬리오스는 공기순환과 함께 뒤축에 교각 모양의 폴리우레탄 기둥을 사용한다.충격을 흡수하는 소재로 잘 알려진 것은 아식스 젤과 아디다스의 아디프렌이다. 아식스 젤은 실리콘을 기본으로 한 ... ...
냄새의 신비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흘러 다니면서 감각세포로 침투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각기관을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
이 차단되면 달콤한 포도주를 마셔도 냉수를 들이키는 듯, 시큼한 사과를 먹어도 생감자를 씹는 듯 느낄 수 있다.실제로 유명한 후각연구기관인 필라델피아의 모넬 화학감각센터의 뉴스레터인 ‘모넬 ... ...
알레르기 한겨울에도 기승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겨울이 되면 건조한 생활이 지속된다. 난방을 위해서 온도를 높이는데다, 외부와의 공기
흐름
이 차단돼 공기 중의 수분이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이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가 감기에 걸리지 않았는데도 기침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는 것이다. 날씨가 추워져서 공기가 차가워지면 더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흔들리는 것은 탁구공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즉 공기의
흐름
이 빠른 지점일수록 그 부분의 압력이 작아져(베르누이의 정리) 반대쪽의 큰 압력을 받아 압력이 작은 쪽으로 움직이는 것이다.바람의 방향을 바꿔도 탁구공이 떨어지지 않는 것은 뜨는 힘이 발생해 ... ...
썩는 플라스틱 생산하는 대장균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미생물이 흡수하거나 분비하는 대사산물을 정량화 해, 미생물 내부의 대사회로의
흐름
을 예측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비효율적인 대사회로의 인식과 새로운 대체 대사회로를 찾아낼 수 있다.역대사회로 분석은 대사회로 분석과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미생물내부의 특정 대사회로를 증폭시키거나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순수물리 아성 깬 '응용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반도체는 실리콘 반도체와 달리 빛을 발할 수도 있고, 이종접합구조를 이용하면 전자의
흐름
을 더욱 원활하게 만들 수 있는 등 여러가지 물리적 특성을 인위적으로 좋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종접합구조를 처음으로 제안하고 응용한 사람이 다름 아닌 금년 노벨물리학상 ... ...
디지털 시대의 메모방식 보이스 레코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바뀌려면 생각과 습관이 바뀌어야 한다. 21세기는 디지털 혁명의 정보화시대, 이런 시대
흐름
에 맞는 새로운 메모 방법이 필요하지 않을까.음악이 없는 공간을 생각하지 못할 정도로 기록된 소리를 듣는 것은 너무나 익숙하다. 이 소리를 저장하는 녹음 기술은 약 1백20년전인 1877년에 발명왕 에디슨에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내부에 들어가면 공기 중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계속 그 안에서 반사를 반복해 물의
흐름
에 따라 휘어지는 것이다.여기에서의 물줄기는 광통신의 광섬유와 역할이 같다. 공기에 비해 광섬유의 굴절률이 크기 때문에 빛이 작은 굴절룰은 가지는 밖으로 나가지 않고, 그 경계에서 전반사하면서 ... ...
입는 컴퓨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컴퓨터과학과 한탁돈 교수는 “우리나라에서는 전문가들조차 입는 컴퓨터 산업의
흐름
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컴퓨터 산업의 관점으로만 한정해서 바라보기 때문에 입는 컴퓨터와 관련된 심포지엄도 철저히 외면받고 있는 실정이다”며 아쉬움을 표시했다.또한 그는 “입는 컴퓨터는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현재의 수준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고 봅니다. 전자기파로 공기분자를 조절해 대기의
흐름
을 제어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니까요.존 만일 1950년대 이런 뛰어난 비행이 가능한 비행체가 목격됐다면 어떻게 설명하시겠습니까? 1955년 6월 미국 뉴욕주의 유티카 근처 1km 상공을 비행하던 DC-3기의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