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조류
진행
경향
유입
유통
형국
d라이브러리
"
흐름
"(으)로 총 2,209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켓 닮은 신발 뒤축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공기순환을 활용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DMX가 공기의
흐름
만을 이용하는 반면 헬리오스는 공기순환과 함께 뒤축에 교각 모양의 폴리우레탄 기둥을 사용한다.충격을 흡수하는 소재로 잘 알려진 것은 아식스 젤과 아디다스의 아디프렌이다. 아식스 젤은 실리콘을 기본으로 한 ... ...
냄새의 신비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흘러 다니면서 감각세포로 침투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각기관을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
이 차단되면 달콤한 포도주를 마셔도 냉수를 들이키는 듯, 시큼한 사과를 먹어도 생감자를 씹는 듯 느낄 수 있다.실제로 유명한 후각연구기관인 필라델피아의 모넬 화학감각센터의 뉴스레터인 ‘모넬 ... ...
최첨단 컴퓨터 기술의 경연장 컴덱스 2000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1세기 정보통신기술(IT)의 첫
흐름
을 보여준 ‘추계 컴덱스 2000’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11월 13일부터 17일까지 총 5일간 개최됐다. 정보통신기술의 새로운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전시회답게 정보가전, 디지털 출판소프트웨어, 홈네트워킹, 와이파이(Wi-Fi, 고성능무선기술), 블루투스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흔들리는 것은 탁구공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즉 공기의
흐름
이 빠른 지점일수록 그 부분의 압력이 작아져(베르누이의 정리) 반대쪽의 큰 압력을 받아 압력이 작은 쪽으로 움직이는 것이다.바람의 방향을 바꿔도 탁구공이 떨어지지 않는 것은 뜨는 힘이 발생해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순수물리 아성 깬 '응용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반도체는 실리콘 반도체와 달리 빛을 발할 수도 있고, 이종접합구조를 이용하면 전자의
흐름
을 더욱 원활하게 만들 수 있는 등 여러가지 물리적 특성을 인위적으로 좋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종접합구조를 처음으로 제안하고 응용한 사람이 다름 아닌 금년 노벨물리학상 ... ...
Ⅱ. 한국과학자가 계기 마련한 올해화학상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교수는 우리나라 이학박사 1호인 이태규 교수와 오랫동안 공동연구를 벌여왔다. 유체의
흐름
을 기술한 ‘리-아이링 이론’을 비롯해 두사람은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와 속도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1969년 두사람이 공동으로 노벨상 후보에 올랐지만 수상까지는 이어지지 못했다. 독실한 ... ...
디지털 시대의 메모방식 보이스 레코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바뀌려면 생각과 습관이 바뀌어야 한다. 21세기는 디지털 혁명의 정보화시대, 이런 시대
흐름
에 맞는 새로운 메모 방법이 필요하지 않을까.음악이 없는 공간을 생각하지 못할 정도로 기록된 소리를 듣는 것은 너무나 익숙하다. 이 소리를 저장하는 녹음 기술은 약 1백20년전인 1877년에 발명왕 에디슨에 ... ...
골프공 최고 시속 3백km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한다. 하지만 공의 속도가 굉장히 빠른 경우 공의 표면이 매끈하다면 공 표면의 공기
흐름
은 공의 중간쯤부터 공에서 멀어진다. 이때 공 표면 앞뒤의 압력차가 크기 때문에 공의 속도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공은 멀리 가지 못한다.반면에 울퉁불퉁한 공이라면 공 주위에 미세한 난류가 발생한다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현재의 수준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고 봅니다. 전자기파로 공기분자를 조절해 대기의
흐름
을 제어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니까요.존 만일 1950년대 이런 뛰어난 비행이 가능한 비행체가 목격됐다면 어떻게 설명하시겠습니까? 1955년 6월 미국 뉴욕주의 유티카 근처 1km 상공을 비행하던 DC-3기의 ... ...
입는 컴퓨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컴퓨터과학과 한탁돈 교수는 “우리나라에서는 전문가들조차 입는 컴퓨터 산업의
흐름
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컴퓨터 산업의 관점으로만 한정해서 바라보기 때문에 입는 컴퓨터와 관련된 심포지엄도 철저히 외면받고 있는 실정이다”며 아쉬움을 표시했다.또한 그는 “입는 컴퓨터는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