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메탄하이드레이트 추출과 CCS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온도 T(x) =0+25x 지표에서 x만큼 깊은 곳에서의 압력을 구하기 위해서 단면적이 A(km )이고,
높이
가 x(km)인 지각 기둥을 가정하자. 이 기둥의 무게는 다음과 같다. . 지표에서 x만큼 깊은 곳에서의 압력은 다음과 같다. P(x)=1+300x (∵대기압 = 1bar) 온도와 압력이 각각 임계 조건 이상의 값을 만족하는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탈락한 아이가 오히려 퀴즈 영웅이 된 것도 결과보다 동기에 충실했던 아이의 마음이
높이
평가됐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동기를 중요시하는 마음은 어디서 비롯된 걸까.미국 매세추세츠공대(MIT)의 인지신경과학자인 레베카 색스 교수팀은 경두개자기자극법을 써서 뇌의 오른쪽 측두정엽(RTPJ)의 ... ...
도로 사용설명서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여기에 적힌 숫자는 자칫 각도로 오해하기 쉽다. 하지만 경사도는 수평거리에 대 한 수직
높이
의 비율을 %로 나타낸다. 그림처럼 수평으로 d 거리만큼갈 동안 h 만큼 올라가는 도로라면 경사도는 (h÷d)×100(%)다. 예를 들어 수평으로 100m 가는 동안 10m 높아지는 도로의 경사도는 10%다. 우리나라 도로의 ... ...
야구장은 도형의 집합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때문에 ‘녹색 괴물(그린 몬스터)’이라는 별명도 붙었다. 광주 무등구장도 가운데 담장
높이
가 6.9m다.야구장 방향의 비밀본루에서 투수판을 지나 2루로 향하는 직선은 동북동(북쪽을 기준으로 67.5°)을 향한다. 이 방향으로 경기장을 지으면 우리나라와 같이 북반구 중위도 지역에서 오후 늦게 야구 ... ...
퍼레이드의 여왕과 함께 놀이동산으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네? 에너지요?높은 곳에 올라간 물체는 가만 두면 낮은곳으로 저절로 떨어져. 그건
높이
올라간 물체가 낮은 곳으로 움직일 수 있는 에너지를 가졌다는 뜻이야. 그게 ‘위치에너지’지. 위치에너지는 가장 높은 곳에 있을 때 가장 크고, 낮은 곳으로 떨어지면서 점점 작아진단다.그럼 사라진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4개월 만인 2009년 7월 문루를 떠받치는 기초시설인 육축(陸築)을 시공했다.석조건축 위에
높이
13m의 목조 누각을 쌓아 올리는 일은 신응수 대목장이 지휘했다. 8t 트럭 96대 분량의 국산 금강소나무가 사용됐다. 가장 튼튼하고 오래가는 수종으로 알려져 있지만 나무를 구하는 일이 쉽지 않았다. 강원 ... ...
중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이 원자를 담은 실험 장치를 독일 ‘응용 우주과학 마이크로 중력 센터’에 있는 140m
높이
의 탑에서 180차례나 떨어뜨렸다.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실험과 비슷한 셈이다.실험 결과는 아인슈타인의 승리다. 그렇다고 해서 미시세계에서 아인슈타인의 중력이론이 완전히 검증된 것은 아니다. 그러니 ... ...
[지구과학] 편서풍 파동과 서안 강화 현상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고위도 지방으로 비스듬히 불어 들어가면, 행성 와도의 크기가 증가한다. 공기 기둥의
높이
변화 없이 포텐셜 와도가 보존되기 위해 상대 와도의 크기가 감소해 음의 상대 와도가 되면, 시계 방향의 회전을 보이며 최초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관성에 의해 처음 위치보다 더 낮은 위도까지 내려간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머리 위로 11.9cm나 되는 균열이 발견됐다. 그들은 화판이 뒤틀려 있음도 발견했다. 화판
높이
가 0.5mm 달라질 때마다 등고선으로 표시하고 높아질수록 파란색에서 빨간색으로 변하는 지도를 만들었다. 모나리자의 왼쪽 어깨가 다른 부위보다 12mm가량 튀어나와 있었다. 다행히 화판이 변형된 후에도 ... ...
Part 3. 한가위의 달이 대보름달일까?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이유를 찾으려고 노력했어. 그 결과 발견한 것이 ‘거리착시’야. 보통 우리는 하늘
높이
떠 있는 보름달을 보는 경우가 많아. 하지만 한가위 때는 이른 저녁부터 보름달이 뜨길 기다리지. 그러다가 저 멀리 지평선 너머로 보름달이 떠오르는 걸 지켜보면서 소원을 빌어. 바로 여기서 거리착시가 생겨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