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벽이 튼튼해야 하고 밖으로 난 구멍은 30cm2를 넘지 말아야 한다. 또한 땅으로부터 최소 3m
높이
에 있어야 하고 구멍은 남쪽을 향해야 한다.이 과정에서 중요한 일은 수백 마리의 정찰 꿀벌들이 찾아낸 후보지들 가운데에서 어디가 가장 좋은지를 의사소통을 통해 합의를 보는 것이다. 즉 우리가 하는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노력 기울여야산에서 내려오는 길에 야영장 한쪽에 마련된 계류장을 들렀다. 넓이 400m2에
높이
3m의 망으로 둘러싸인 이곳은 지난 2~3월에 구조된 산양처럼 숲에서 다치거나 고립된 개체들을 데려다가 치료하고 보호할 목적으로 지었다. 올해 안으로 크기를 더 넓혀서 산양뿐 아니라 다른 ... ...
플랫랜드 이야기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못하는 처지가 된 것이죠.구는 주인공에게 이해하기 힘든 이야기를 들려 줍니다. 평면에
높이
까지 더해진 공간이 있으며, 주인공에게는 직선으로만 보이는 플랫랜드 사람들이 구에게는 실제 모습인 다각형으로 보인다고 하는군요. 심지어 구는 평면을 통과할 때 자기 모습이 어떻게 변하는지도 보여 ... ...
관성과 ‘친해지길 바래’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굴러 올라간다고 했다. 그리고 공이 올라가는 반대쪽 경사면의 경사를 점점 낮추면 원래
높이
에 도달하기 위해 더 멀리 굴러가고, 반대쪽 경사면이 수평이고 마찰을 무시한다면 공은 영원히 수평면을 굴러갈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경사면이 많이 기울어져 있을 때는 마찰력을 무시할 수 있는 ... ...
자연의 놀라운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움직이는 원의 지름의 4배다. 사이클로이드 비닐하우스를 만들려면 지붕의 둘레를
높이
의 4배가 되도록 만들면 된다. 다양한 움직임의 세계, 재밌었나요? 움직임에 담긴 원리를 수학으로 보면 더욱 신기하답니다. 지금 주변에 있는 대칭이나 곡선의 움직임에서 수학을 찾아보세요 ... ...
고지대 남아공월드컵에서 승리하는 비법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공인구 ‘자블라니’는 힘을 살짝만 줘도 기대 이상의 속도가 나고 다른 공보다 더
높이
튀어 오른다.한국체육과학연구원 스포츠과학연구실 송주호 박사는 “공을 찰 때는 저지대에서보다 살살 차야 하며, 패스를 할 때에는 동료에게 공을 넘기는 타이밍이나 공에 들어가는 힘을 조절해야 한다”고 ... ...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홍수에 대비해 만든 수문이라고 설명했다.“여기가 신시배수갑문입니다. 폭이 300m,
높이
는 15m나 되죠. 부안군 쪽에는 가력배수갑문이 있어서 새만금 방조제에는 배수갑문이 총 두 개입니다. 수문 두 개를 합치면 1초당 방류할 수 있는 물의 양이 1만 5862t이에요. 소양강 댐의 3배죠.”새만금 방조제의 ... ...
움직임의 지혜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그린다. 이 때 공을 가장 멀리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근육의 힘을 키워 공의 속도를
높이
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당장 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다. 결국 거리는 공을 던지는 각도에 달려 있다. 포물선의 움직임을 보면 가장 효과적인 각도를 찾을 수 있다.공을 던지는 속도는 수평 방향과 수직 ... ...
나무그늘도 수학 실력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있는 피보나치 수열을 확인하기 위해 꼭 하늘에서 내려다봐야 하는 건 아니에요. 눈
높이
로 자라는 해바라기 속에도 있거든요. 해바라기는 꽃 안쪽에 씨앗이 가득 박혀 있어요. 씨앗은 한가운데서 시작해 각각 시계방향과 시계반대방향으로 나선 모양을 그리지요. 시계방향의 나선은 총 34줄,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호기심에 사로잡혀 무모한 실험을 많이 했던 ‘호기심 소녀’였다. 5살 때 집 난간의
높이
를 재려다가 바깥뜰로 떨어져 팔이 부러졌고, 등유의 일종인 케로신을 갖고 실험을 하다 불을 낸 적도 있다. 요나트 박사는 자신이 리보솜 구조 연구를 시작한 계기도 ‘세포의 일생에서 중요한 것은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