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는 균이 필요하다..유산균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나뉜다. 장까지 도달하는 것이 유산균 생존력의 핵심이라면 캡슐형 제품이 더 좋을까. 안 연구원은 “큰 차이는 없다”고 말했다. 캡슐 제품도 대부분 위에서 분해되기 때문에 가루 제품과 효과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최근에는 위에서 분해되지 않고 장에서 풀리는 ‘장용성 캡슐’ 기술도 ... ...
- 과학난제 2. 기후변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바꾸는 ‘인공광합성’ 기술이 꼽혀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오형석 박사는 “석유 대신 이산화탄소에서 연료를 얻으면 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죠. 여기서 촉매는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바꾸는 일종의 공장 역할을 해요. 촉매 안으로 이산화탄소를 ... ...
- [한장의 과학] 겨울나기 위해 새끼를 먹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더 버틸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답니다.연구에 참여한 토마스 라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은 “빗해파리가 새끼를 먹는 것은 먹이가 부족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그렇습니다. 인버전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은 엔트로피입니다. KAIST 시간역행반사연구단 연구원이 직접 해설해드립니다. ‘게임’ ‘연구’ ‘AI’… 구름 위에서 할 수 있는 모든 것 (58p)☞바로가기 ‘클라우드 게임’ 해보셨나요?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해서 즐기는 게임인데, 게임을 ... ...
- ‘테넷’ 시간 역행, 현실에서 따라잡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이무성 KAIST 물리학과 시간역행반사연구단 및 의광학 연구실에서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고해상도 현미경 기술 개발, 광학 집게를 이용한 세포 역학 연구 등 의광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lkaamo@kaist.ac.kr 용어정리* 공간광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영상이나 패턴을 표시하기 위해 빛을 ... ...
- [융복합 파트너 @ DGIST] 로봇공학전공, 피부에 '착' 전자 피부로 실시간 건강 진단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질환을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뇌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함께 영장류를 대상으로 전임상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스마트 목줄로 반려견 돌본다전자 피부 기술은 반려동물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실제로 장 교수팀은 2020년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손톱 크기의 ... ...
- 과학으로 즐기는 슬기로운 비대면 생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친구들 안녕! 요즘 어떻게 지내고 있니? 나는 생활 속 거리두기를 실천하기 위해 VR기기로 세계 여행을 하고, 앱으로 주문한 음식을 먹고 있어. 초등학생은 20일부터 차례로 등교 ... 단장), 오주현(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 연구원), 김원준(한국과학기술 연구원 기술경영학부 교수), ... ...
- [변화1] 가상 공간에서 오감을 느낀다! 확장 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방향을 바꾸자, 전기장판에 손을 댄 듯 손가락에서 따뜻한 열이 느껴졌답니다. 이진우 연구원은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거라고 설명했어요.“전자(음전하)가 많은 반도체 물질과 정공(양전하)이 많은 반도체 물질을 나란하게 놓고, 두 반도체 물질의 양쪽 끝을 필름 형태의 구리 배선으로 ... ...
- [과학뉴스] “음식이 상했어!”라고 알려주는 스티커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배송 중에 식품이 상하진 않을까 걱정한 친구들도 있을 거예요.지난 4월, 한국화학연구원 황성연 교수팀은 식품이 상온에 몇 시간 노출됐는지 확인할 수 있는 ‘콜드체인* 안심 스티커’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10℃ 이상의 상온에 두면, 스티커 뒷면에 새긴 이미지가 선명해지도록 만들었거든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심봉사, 또 사기를 당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2004년에는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리차드 액설 교수와 프레드허치슨 암연구센터 린다 벅 연구원이 이런 후각수용체를 서로 다른 모양으로 만드는 유전자가 사람의 몸에 약 1000가지 있다는 연구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기도 했지요.각 냄새 분자는 자기의 모양새와 꼭 맞는 후각수용체와 결합해요.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