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심봉사, 또 사기를 당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2004년에는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리차드 액설 교수와 프레드허치슨 암연구센터 린다 벅 연구원이 이런 후각수용체를 서로 다른 모양으로 만드는 유전자가 사람의 몸에 약 1000가지 있다는 연구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기도 했지요.각 냄새 분자는 자기의 모양새와 꼭 맞는 후각수용체와 결합해요. ... ...
- 변신의 달인, 장난감 한계를 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 [기획] 장난감의 변신! 다양성의 시대 ★ 도움 및 사진 윤용수(일본 규슈대학교 의학연구원 보건학부문 조교수), 정규영(조선대학교 아랍어과 교수), 김종일(키니스장난감병원 활동가), Rita Ebel(Die Lego Oma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9화. 어느 수학자의 덕질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수학자의 삶’을 1인칭 시점으로 보여줘야 하는 수학 로그지만, 리버풀 FC(이하 리버풀)가 30년 만에 우승하는 대참사를 보고 나니 차마 축구 이야기를 쓰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이번엔 1인칭 시점에 정말 충실하달까요? 2019-20시즌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이하 EPL)에는 어떤 재밌는 일들이 있었 ... ...
- ‘꿈틀’ 깔따구 유충 나온 수돗물, 정수 과정에서 대체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7월 31일 진행한 온라인 포럼에서 채선하 한국수자원공사 케이워터연구원 수석연구원은 “깔따구 유충은 염소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 잔류염소 농도가 50mg/L인 물에서 48시간 동안 생존할 수 있다는 연구가 있다”고 설명했다.이에 대해 구 교수는 “그렇다고 필요 이상으로 약품을 처리할 필요는 ... ...
- 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슬기로운 벌집 생활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나선형 외에 다른 패턴의 벌집도 형성될 수 있음을 수학적으로 입증했다. 카트라이트 연구원은 “꿀벌에게는 이런 수학적 규칙이 유전적으로 입력돼 있어 종마다 살기 적합한 구조의 벌집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꿀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한다? 집단생활을 하는 벌들은 ... ...
- [꽃가루의 변신1] 탐정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수사식물학의 도움을 받기로 했다. 의뢰를 받은 미국 세관국경보호국 앤드류 로렌스 연구원은 아이의 옷과 담요에서 200~300개의 꽃가루 입자를 얻어냈고, 아이가 하버드대학교 근처에 살았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분석 결과 레바논 삼나무의 꽃가루가 붙어 있었는데, 이 나무는 미국 북동부의 추운 ... ...
- [기획] 장난감이 무시무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놀이의 의미가 달라진 것으로 봤답니다. _ 인터뷰윤용수(일본 규슈대학교 의학연구원 보건학부문 조교수) “길버트 장난감은 지금으로선 상상도 못 하죠.” 방사선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물질을 투과하는 능력을 갖고 있어요. 우리 몸은 방사선에 노출되면, 인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물이 ... ...
- [한 장의 과학] 세상에서 가장 세밀한 원자 3D 증명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나노입자를 원자 수준으로 촬영한 거예요. 공 하나가 원자 하나지요. 지난 3일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박정원 연구위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물질을 원자 수준에서 3차원으로 촬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물질의 원자 구조를 0.02nm까지 관찰할 수 있는 분석기법이지요 ... ...
- #TMI 김 기자의 슬기로운 홈트 생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요즘 집에서 운동하는 홈트레이닝(이하 홈트)으로 건강을 관리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일한다는 핑계로 앉아서 먹기만 하고, 코로나19 핑계로 운동도 안 하다가 결국 10kg 가까이 쪄버린 저 역시 홈트에 관심이 많아요. 그런데 자세가 중요한 근력 운동을 혼자 영상만 보고 따라하면 동작이 바른지 ...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단계여서 아라온호에 정기적으로 제작해 배포하지는 않고 있다. 앞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공동으로 북극해 해빙 지도를 주기적으로 제작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아리랑 위성으로 촬영한 극지 영상은 국내 연구기관이나 교육기관이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