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는 금 주사기로 DNA 맞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망가지지 않고 DNA가 정확하게 전달됐다는 뜻이지요. 연구팀은 금 주사기를 이용해
유전
자를 치료하거나 약물을 세포에 정확히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 ...
과학으로 아기 키웠던 네안데르탈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2호
게놈 지도가 완성되면서 밝혀진 사실이랍니다.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의
유전
적 차이는 0.3%에 불과하지요.그럼 이제 너희에 대해서는 다 알아낸 거네?과학자들 사이에서 우리가 얼마나 인기가 좋다고요! 아직 알아내지 못한 것들이 많아요. 최근에는 네안데르탈인의 모유 수유 방법이 현대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보통 여자 어린이가 비슷한 나이의 남자 어린이보다 말을 잘하는데, 그 이유가
유전
자에 있었던 거예요.잠깐! 사람언어를 사용하는 동물이 있다고?앵무새나 구관조는 말을 잘하는 동물로 유명하다. 혀의 모양이 사람과 비슷하고 흉내 내기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앵무새나 구관조가 아닌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박사후연구원 생활을 시작한 쥐트호프는 혈관에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데 필요한
유전
자를 발견하게 된다. 이 성과를 포함해 콜레스테롤 대사조절에 대한 연구로 그의 지도교수였던 마이클 브라운과 조셉 골드스타인은 앞서 말한대로 1985년 노벨상을 받게 된다. 27년이 지나 이번엔 쥐트호프가 ... ...
70억 인류 정말 한가족일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연계론(다지역 진화론)’입니다.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가 서로 교류했다는 최근의
유전
학 연구 결과는 이런 생각을 조금씩 확인시켜주고 있습니다.우리는 지금껏 멀고 가까운 여러 친척 인류의 삶과 죽음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그런데 정작우리 자신이 속한 종의 시작이 어땠는지에 대해서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것이다. 이 중 두 번째는 우리 건강과 매우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당신의
유전
자 타입이 A이기 때문에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인구집단에서 얼마 정도 된다고 알려주는 것이다. 안젤리나 졸리가 유방 절제 수술을 한 것도 이런 게놈 분석에서 비롯된 것이다. 지식산업 상품으로는 컴퓨터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데이터를 이리저리 가공하면서 재미있는 연구를 해볼 수 있다. 암 세포 정보를 넣으면 암
유전
자를 찾을 수도 있고, 피부에 사는 미생물이 무엇인지도 추적할 수도 있다. 천랩은 한창 성장 중이다. 천 교수는 천랩이 사람으로 치면 이제 초등학교 고학년 정도 되는 나이라고 말한다. “회사도 사람과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날숨은 길게사람의 입에는 어떤 특징이 있어서 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걸까.
유전
자와 뇌의 변화 이외에 입의 해부학적인 변화도 언어 구사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사람의 입은 가장 가까운 동물인 침팬지 같은 영장류와도 많이 다르다. 전부터 다른 영장류에게 사람의 언어를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응용과학자로 전환한 스타일이다.의사가 아닌 기초과학자로서 동물을 복제하고,
유전
자의 기능을 살펴보고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연구하다가, 차병원에 들어가 임상의들과 연구하면서 자신이 연구해왔던 조그만 지식들이 실제 불임환자들에게 아기를 안겨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그들이 흘리는 ... ...
소년이여, 네 멋대로 해라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말한다. 이 관장이 대학에 들어갈 때는 생물학 그러면 미생물학이나 분자생물학, 생화학,
유전
학 같은 첨단 학문을 해야 했다. 정작 야외에 가서 동물이나 식물을 직접 볼 필요가 없었다. 그런데 직접 야외에 나갔던 분류학 전공자는 지금 보니까 일자리가 생각보다 많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