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원칙적으로 안전하다는 것이 입증될 때까지는 충분한 연구와 규제를 해야 한다는것이
유전
자 변형에 대한 기본 방향이에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자신만의 생각을과학특별시 토론방에서 맘껏 펼쳐 보세요 ... ...
Bridge. 사람이 일으키는 대유행 전염병, 바이오테러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뜻이다.비슷한 바이러스끼리의 재조합이 아니라, 서로 다른 종에 속한 바이러스끼리
유전
자를 합치는 것은 기술적으로 훨씬 더 어렵고 성사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크다. 하지만 누가 알랴. 막대한 자본과 뛰어난 연구 인력의 투입으로 어느 은밀한 곳에서 사상최악의 바이러스가 만들어지고 있을지 ... ...
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더 쉽다”고 밝혔다.염기서열 분석결과, 신종 H7N9은 저병원성 AI 바이러스 3종류의
유전
자가 재조합된 것으로 밝혀졌다. 포유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닮은 점이 많아 몇 종류의 돌연변이만 더 일어나면 사람간 감염이 쉽게 일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됐다. 다행인점은 PB1-F2라는 단백질에서 특정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분석하면 과거의 바이러스가 어떤
유전
정보를 가졌는지 알 수 있다. 또 여러 생물들의
유전
정보를 분석하면 바이러스가 어떤 숙주들을 감염시키며 진화해왔는지도 추적할 수 있다. 열역학 제2법칙에너지 전달에는 거스를 수 없는 일정한 방향이 있다는 법칙. 열이 더운곳에서 찬 곳으로 이동하는 ... ...
의학 - 물리학자가 암 정복에 도전을?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유전
자가 훗날 다시 암 속에서 활성화된다” 고 말했다.이들은 현재 암 표본에서 추출한
유전
자와 16억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생물의 계통수를 비교하고 있다. 이 이론이 옳다면 암 치료에도 새로운 방법을 도입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들의 주장은 ‘피직스 월드’ 7월호에 실렸다 ... ...
중세 시신에서 찾은 천 년 ‘세균 족보’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그 결과 마이코박테리아는 지난 1000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유전
자의 변이를 바탕으로 종 사이의 친척 관계를 따져본 결과 아메리카 대륙에 건너간 세균과 중세 유럽에 유행한 세균은 근원이 중동지역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세균의 ‘족보’가 밝혀진 셈이다.연구팀은 ... ...
바이러스로 암 잡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안 교수는 “이번 연구는 체내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독성이 암을 유발하는
유전
자를 분해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라며 “앞으로 이 바이러스의 염기서열을 자유자재로 조작해 암이나 다른 난치성 질환을 일으키는 마이크로RNA를 선별적으로 제거하는 ... ...
네안데르탈 학당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그런데 연구 결과는 학자들을 한번 더 충격에 빠뜨렸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의 FOXP2
유전
자는 현생인류와 똑같았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은 정말 말을 했던 것일까요.학자들은 다른 연구에 돌입했습니다. 현생인류는 대뇌가 좌우 비대칭입니다. 이것은 언어가 특히 좌뇌와 관련이 많기 때문입니다. ... ...
한우 배 안에 메탄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미생물자원센터 김병찬 선임연구원팀은 한우의 장에서 사는 메탄균을 발견하고
유전
자 분석도 마쳤어요. 메탄균은 산소가 전혀 없는 환경에서 사는데, 연구실에서 이런 환경을 마련하기는 매우 어려웠지요. 연구팀은 산소가 없는 미생물 배양 시스템을 만들고, 메탄균을 분리해 배양하는데 ... ...
30 어린이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유전
지도도 완성했답니다. 저희 조상이 중동의 야생 비둘기이며, 수백 종의 비둘기들이
유전
적으로 비슷하다는 사실도 연구팀이 알아낸 결과지요. 연구팀이 찍은 비둘기의 당당한 자태는 ‘사이언스’ 3월 1일자 표지에 실리기도 했답니다.길거리 비둘기도 그렇게 아름다우면 더 좋을 텐데….거리의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