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했다.그런데 이상했다. 처음에는 비슷했지만 2주가 지나자 진드기의 움직임이 느껴
지지
않았다. 오른쪽 귀의 환경이 왼쪽 귀에 비해 살기에 나쁠지 모른다는 생각에 왼쪽 귀에 다시 키웠다. 하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그렇게 로버트는 귀 진드기에 대해서도 면역력이 생긴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 ...
자폐증 위험 생후 6개월이면 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상대를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한 신경발달 장애다. 병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
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이 큰 것으로 추측된다. 실제로 자폐증을 진단받은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 다시 자폐증을 앓는 아이가 태어날 가능성은 5~10% 정도로 높다.울프 박사팀은 생후 6개월인 유아 92명의 뇌 영상을 ... ...
교차로 신호 체계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학생 대부분이 순수 수학에 대해 포트폴리오를 만드려고 노력한다. 물론 아직까지 밝혀
지지
않은 여러 가지 수학 이론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작성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의 내용도 다양하다. 하지만 중학생 수준에서 다룰 수 있을 만한 주제를 찾기란 쉽지 않다.반면, 일상 속 주제에 관심을 갖는 ... ...
화이트데이 솔로 탈출을 위한 사랑방정식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천문학자 프랭크 드레이크가 1961년에 고안했다. 드레이크 방정식의 답은 아직 밝혀
지지
않았지만, 외계인 연구의 밑바탕이 되고 있다.배커스는 드레이크 방정식의 각 변수를 자신의 이상형과 관련된 여성의 수와 비율로 바꾸었다. 예를 들면 통신이 가능한 외계인의 수를 운명의 상대가 될 가능성이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소화도 잘 안되며 생리가 멈춘다.]문제는 유방암을 일으키는 항원이 아직까진 밝혀
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항원을 모르니 예방백신을 만들 수가 없다. 다른 암도 마찬가지다. 예방백신으로는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과 자궁경부암 백신이 있다.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은 암 예방백신은 아니다. 하지만 ... ...
늦잠, 유전자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이온 통로가 수면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
지지
않았다”고 말했다.변이가 일어난 셰이커 유전자도 칼륨 이온 통로를 망가뜨린다. 하지만 ABCC9 유전자와는 반대로 수면 시간을 줄인다. 미국 위스콘신대 키아라 치렐리 박사는 초파리 9000마리의 평균 ... ...
[2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담배통제센터가 건강에 문제가 없는 30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다. 원인은 아직 밝혀
지지
않았다. 전자담배는 타르, 일산화탄소 등 수천 가지 유해물질이 있는 기존 담배와 달리 순수하게 니코틴만 흡입할 수 있어 건강에 덜 해롭다고 알려져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자담배를 규제하고 있지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주며 적극 지원하고 있다. 그 결과 2007년 강진, 담양 등 8개 시군에서 12개밖에 만들어
지지
않았던 인공 둠벙이 2009년 이후 매년 수십 개씩 늘어났다. 2010년까지 모두 177개가 새로 생겼다.농업기술원에서는 인공 둠벙이 자연 둠벙에 비해 생물의 종다양성과 수질이 얼마나 다른지를 조사했다. 이미 200 ... ...
뇌-컴퓨터 접속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것이다. 몸의 여러 곳이 동시에 가려울 때, 한 곳만 집중하면 다른 곳의 가려움은 잘 느껴
지지
않는 것도 좋은 예다. 2005년 독일 괴팅겐대의 제레미 힐 박사는 오른쪽 귀와 왼쪽 귀에 서로 다른 높낮이를 가진 소리를 반복적으로 들려주고 특정 높이의 소리에 집중할 때 발생하는 P300이라는 뇌파를 ... ...
무시무시한 독감, 수학으로 막는다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각각의 웹페이지 수를 뽑은 결과가 실제 득표율과 비슷했던 것이다. 사람들의 관심과
지지
도가 인터넷의 웹페이지 수에 반영됐기 때문이다. 이뿐만 아니라 2007년 우리나라 대통령 선거와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도 구글 검색 결과와 득표율이 비슷했다. 이 밖에도 네트워크 연구를 바탕으로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