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촌의 단짝친구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친근한 이름에 비해 찾아내기는 어려운 편이다. 친화수의 개수가 유한한지는 아직 밝혀
지지
않았다. 제2코스 마술을 부리는 수, 2이번에는 2가 부리는 마술에 대해 살펴보자. 마술사가 몇 번의 질문만으로, 참가자가 속으로만 생각한 숫자를 귀신 같이 알아맞히는 마술을 본 적 있을 것이다. 이 마술 ... ...
휴대전화 발열 잡는 기술 등장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왜 더 작아
지지
못할까. 여러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열 때문이다. 휴대전화에서 나는 열을 잘 배출하지 못하면 열에 약한 전자부품이 망가지기 쉽다. 따라서 휴대전화처럼 작은 전자기기를 만드는 기업은 열을 잡는 것이 언제나 숙제였다. 답 중 하나가 바로 방열판이다. 방열판은 전자부품에서 ... ...
[2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담배통제센터가 건강에 문제가 없는 30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다. 원인은 아직 밝혀
지지
않았다. 전자담배는 타르, 일산화탄소 등 수천 가지 유해물질이 있는 기존 담배와 달리 순수하게 니코틴만 흡입할 수 있어 건강에 덜 해롭다고 알려져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자담배를 규제하고 있지 ... ...
인공지구야 돌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부피가 작아지고 밀도가 높아진 액체 나트륨은 원심력 때문에 바깥쪽으로 끌어당겨
지지
. 결국 내핵은 중심에 있지만 대류에 필요한 중력 역할을 하는 원심력은 바깥쪽으로 향하는 ‘뒤집힌’ 구조가 돼(중력이 바깥 방향으로 작용하는 셈이야). 이것이 바로 열을 만드는 적외선램프가 구의 중심이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주며 적극 지원하고 있다. 그 결과 2007년 강진, 담양 등 8개 시군에서 12개밖에 만들어
지지
않았던 인공 둠벙이 2009년 이후 매년 수십 개씩 늘어났다. 2010년까지 모두 177개가 새로 생겼다.농업기술원에서는 인공 둠벙이 자연 둠벙에 비해 생물의 종다양성과 수질이 얼마나 다른지를 조사했다. 이미 200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꺼
지지
않는 불꽃’ 원전은 인간의 통제력을 벗어난 괴물이 돼 버린 것이다.‘꺼
지지
않는 불꽃’ 시대는 끝났다‘잘 안 타는 불쏘시개이기 때문에 안전하다’는 주장은 얼핏 궤변 같다. ‘돌은 석탄처럼 탈 수 없기 때문에 산불을 낼 위험도 없다’는 것과 같은 논리로 들린다.적어도 토륨을 ... ...
[시사] 수학으로 보글보글~! 꽃미남 라면가게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가짓수는 25으로 32가지! 그 중에는 모두 묵을 내는 경우처럼 3명이나 2명으로 팀이 나눠
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그러니 전체 경우의 수 중에서 반드시 3명과 2명으로 팀이 나눠지는 경우만 생각해야 해.그러려면 다섯 명 중에서 묵 또는 찌를 낸 사람은 반드시 3명 또는 2명이어야 해. 다섯 명 중 묵을 낸 ... ...
신나게 꿈꾸고, 치열하게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일단 언어와 외국어 두 영역이라도 확실히 공부하자. 희망하는 학교에 따라서 달라
지지
만 조금 점수대가 낮은 학교는 모든 영역을 보지는 않아. 두 영역을 보거나 영역별 가산점이 달라. 수학은 단시간에 해결되는 것이 아니니까 일단 이 두 영역을 파도록 해보렴. 그리고 대학에 입학해서는 학점을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1억 8960만 명으로 28.2%가 슬럼 거주민이다. 가축의 밀집 사육 현황 역시 별반 나아
지지
않았다. 언제 치명적인 전염병이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로서는 인구 감소 확률이 가장 높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 70억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Part 2. 시간 1000명에서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두 번째 레이어를 만든다. 액체에 잠기는 과정에서 망가질 수 있기 때문에 레이어마다
지지
대를 달아준다. 마지막에는 완성품을 액체에서 꺼내면 된다. 3차원 프린터에 들어가는 실은 플라스틱을 길게 뽑아 낸 것이다. 실타래처럼 둘둘 말아놨다가 한 줄을 뽑아 프린터 헤드에 달린 노즐로 내보낸다.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