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프라모델 놀이터 셈스게임즈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즐길 수 있는 프라모델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몰두했다. 집안의 반대는 상상을 초월했고, 주위 사람들은 무모한 도전이라고 쓴소리만 했다. 하지만 안 대표에게는 성공할 거라는 확신이 있었다.“2010년 애플이 내놓은 아이폰4와 아이패드를 보면서 이 정도 기술력이면 스마트기기에서 프라모델을 ... ...
- [Knowledge] 최고를 향해 달리는 기술, 슈퍼카 사이언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중형 차량의 3분의 2정도에 불과한 999kg이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에 도달하기까지 2.5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세스토 엘레멘토라는 이름도 주기율표에서 탄소의 위치인 ‘6번째 원소’를 스페인어로 쓴 것이다.하지만 가볍다고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다. 고속으로 달리는 자동차가 가벼우면 ... ...
- Part 1. 유럽 최고 드론업체 ‘패럿’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와이파이 송신기가 장착돼 있다. 이것들은 2.4GHz와 5GHz 두 가지 대역의 와이파이를 이용해 초당 30프레임의 720p 해상도를 가진 동영상을 헤드셋에 스트리밍한다. 패럿의 일부 드론은 드론, 스마트폰, 헤드셋에 하나씩 있는 안테나를 두 개씩으로 늘린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통신방식도 ...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하지만 적응하지 못하고 다치거나 죽은 채 발견되기만 했답니다. 그러다 올해 초 방사된 여우가 처음으로 야생에서 새끼를 낳은 게 발견된 거예요.게다가 최근에 자연으로 돌아간 돌고래 삼팔이와 복원 중인 따오기의 자연번식 소식까지 들려왔어요. 장이권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는 “복원된 ... ...
- [Editor’s Note] 화성 몽상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아닌지, 현재의 우주 공학 기술과 거주지 건설 기술을 중심으로 짚어봤다.매년 10월 초가 되면 과학계가 들썩인다. 노벨상 발표 때문이다. 올해는 꽤 어려운 분야인 응집물리와 위상물질, 분자기계 등이 주인공이 되면서 화제가 됐다. 어려운 개념을 돌파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은 국내외 최고의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인류의 미래를 바꿀지도 모르는 분자 기계의 태동으로 이어졌다. 이것이 우리 사회가 기초과학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하는 이유다.분자 단위의 기계는 쓰일 곳이 매우 많다. SF 영화에 나오는 것처럼 몸속에 들어가서 암세포를 찾아 파괴하는 나노로봇을 비롯해, 지금보다 훨씬 ... ...
- [포커스 뉴스] 4세대 방사광가속기과학동아 l2016년 11호
- 100경 배 밝다. 파장의 폭도 짧아서 나노미터 단위(100만분의 1mm)로 작은 물질을 펨토초 단위(1000조분의 1초)로 분석할 수 있다. 말하자면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분자나 원자가 움직이는 현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나뭇잎에서 광합성이 일어나는 과정이나, 바이러스가 세포막을 뚫고 들어가는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실험을 한 결과, 카드를 맞히는 건 능력이 아니라 단순한 확률일 뿐이라고 저서 ‘초감각적 지각’에서 밝혔다. 왠지 오늘은 새 구두를 신으면 후회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낡은 운동화를 신었는데, 일기예보에 나오지 않은 소나기가 내렸고 온통 진흙투성인 길을 몇 십 분이나 걸어야 했다. ... ...
- [Tech & Fun] 러시아 과학원 레베데프 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걸어서 15분 거리에 있습니다. 본관 건물이 연구소답지 않게(?) 고색창연한데요. 1900년대 초에 지어진 건물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신식 연구시설들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다른 건물들에 둘러싸여 있습니다.연구원들은 대부분 지하철을 이용해 출퇴근합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전기 저항이 0에 가까워지는 현상이다. 전기를 흘려 주면 끝없이 흐른다. 그래서 초전도체로 전선을 만들면 아무 손실 없이 전기를 먼 곳까지 보낼 수 있다.[첫 번째 연구] - 2차원 물질의 상태 변화를 위상수학으로 풀다사울리스 교수와 코스털리츠 교수는 위상수학을 이용해 2차원 물질의 상태가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