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2억 명의 사람들이 말라리아 걱정 없이 생활할 수 있게 됐답니다.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한 일본의 오무라 사토시 교수와 아일랜드의 윌리엄 캠벨 연구원은 기생충 질병을 치료하는 ‘아버멕틴’을 개발해 상을 받았어요. 두 연구원은 박테리아에서 항생제 물질을 뽑아 약으로 개발했는데,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漢(한)字(자) 과학 (科學)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10월 12일 뉴스 기사 중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대 공동 연구팀이 사람보다 냄새를 더 잘 맡는 전자 코를 개발했다. 기존의 전자 코는 한 종류로 한 가지 냄새밖에 맡지 못했다. 하지만 연구팀은 사람의 후각 수용체를 이용해 공기 중에 떠 있는 여러 냄새 물질을 한 번에 ... ...
- 변신 로봇이 뚝딱! 종이접기 과학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있답니다.배에서 비행기로, 스스로 변신한다!저를 비롯한 MIT 과학자들과 하버드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스스로 접히고 변신하는 종이를 개발했어요. 가로 세로 약 5cm의 유리 섬유가 무서가 개발한 기차 접는 원리처럼 가로와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반복해서 접힐 수 있도록 만들었어요. 그리고 니켈 ... ...
- 생체모방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그런데 지난달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조규진 교수와 생명과학부 이상임 교수 등 공동연구팀이 무게가 68mg인 아주 작은 소금쟁이로봇을 만드는 데 성공해 유명 과학학술지에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소금쟁이로봇은 실제 소금쟁이처럼 가늘고 긴 다리에 얇고 긴 몸체를 갖고 있어요. ...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프로젝트 공동연구원) 친구들 반가워요. 뉴호라이즌호 프로젝트 공동연구원인 마이클 서머스예요.지금까지 자세한 정보가 밝혀진 태양계 행성은 특징에 따라 세 종류로 나눌 수 있어요. 첫 번째는 지구처럼 딱딱한 암석으로 이루어진 행성들, 두 번째는 목성처럼 가스로 이루어진 ... ...
- 제9회 향수옥천 포도·복숭아 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지난해 3월 미국 워싱턴주립대학교 식품과학자들과 텍사스A&M대학교 연구소가 공동으로 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복숭아에 들어 있는 폴리페놀 성분이 유방암이 다른 곳에 퍼지는 것을 막는다는 걸 발견했거든요. 맛도 좋고 몸에도 좋은 포도와 복숭아, 여름 대표 과일이라 불릴 만하죠 ... ...
- 킁킁~, 비 냄새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느껴지는 이유”라고 설명했어요. 지난 3월, 미국 하버드대학교와 샌디아 국립연구소 공동연구팀은 40억 년 전의 비에서 흙냄새가 아닌 철냄새가 가득 풍겼을 거라고 발표했어요. 낡은 철봉을 잡았을 때 나는 조금 비릿한 냄새 말이에요. 왜냐하면 이 시기의 비는 철이 가득한 ‘철비’였기 ... ...
- “술˙담배 잦은 한국인, 햄˙소시지 발암위험 더 높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두 배로, 조사대상 190개국 중 15위다.담배도 많이 피운다. 미국 워싱턴대와 호주 멜버른대 공동 연구진은 세계 187개국을 대상으로 1980년에서 2012년까지 세계 흡연율을 조사해 ‘미국의학협회저널(JAMA)’ 2014년 1월 8일자에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2012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흡연자 비율은 23.9%에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불만족과 불필요한 경제적․시간적 손실을 일으킨다”면서 “대학이라는 학문 공동체와 사회에도 문제가 되므로 시급히 개선돼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현재 일부 대학과 일부 학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랩 로테이션(연구실을 돌아가며 체험하는 제도)이나 인턴제도도 정보공개 효과가 있긴 하다. ... ...
- 알츠하이머 예측하는 3D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환자는 신경세포가 점차 사라져 뇌의 부피가 줄어든다. 특히 기억을 담당하는 부위인 해마가 작아지는 현상이 뚜렷하다. 해마의 부피를 측정하면 알츠하이머병을 예측하거나 진단할 수 있다. 하지만 자기공명영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