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서로를 지지하며, 배려하고, 연대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테러로부터 우리를 지키는 길은 공동체를 이루는 것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디지털 시대의 종말, 5세대 컴퓨터Patr1. 폰노이만 vs 비(非)폰노이만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 ...
- [과학뉴스] 술과 설탕 내뿜는 혜성?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산하 우주연구 및 천체 물리 계측 연구소(LESIA)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이 포함된 국제공동연구팀은 ‘러브조이 혜성(학명 C/2014 Q2)’의 대기를 분석했다. 러브조이는 작년 8월 호주의 아마추어 천문가 테리 러브조이가 발견한 혜성으로, 올해 1월 30일께 8000년 만에 태양 근처를 지나며 우리에게 ... ...
- [Knowledge] 백제시대엔 철 어떻게 만들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문화재’와 ‘실험’은 어쩐지 잘 어울리지 않는 단어 같습니다. 하지만 이 연재를 꾸준히 읽은 분들은 두 단어가 결코 먼 단어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 것입니다. 문화재의 훼손을 조사할 때에도, 보존처리를 할 때에도 최적의 조건을 찾기 위해 실험을 동반한 연구를 하기 때문입니다. 고고학 분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현재는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5%만을 통제하고 있지만, 모든 나라가 지구 온난화에 공동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인식을 심어줬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큰 협약이다.파리에서 열리는 제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는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새로운 협약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4년 전 ... ...
- 생물 피해로부터 천 년 문화재 지키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최근 갔던 국내 여행을 떠올려 보세요. 그곳에서 만난 문화재나 전통건축 중 상당수는 나무로 지어졌을 것입니다. 나무는 아름답고 튼튼한 재료입니다만, 몇 가지 피해에 취약하기도 합니다. 특히 해충이나 곰팡이 등 생물에 의한 피해는 금속이나 석조 문화재에 비해 목조 문화재에서 특히 많이 발 ... ...
- WMO 한국 본선 ‘2015 CMDF’수학동아 l2015년 12호
- ‘2015 CMDF(창의적 수학토론대회)’가 열렸다. 2015 CMDF는 WMO위원회와 소년조선일보가 공동 주최한 대회다. 팀원과 함께 하는 토론과 퍼즐, 수학 게임을 통해 개개인의 수학 실력보다 팀원 간의 의사소통능력과 협동심, 문제해결 력을 평가한다. 이번 대회에는 전국에서 예선을 거쳐 뽑힌 초등학교 ... ...
- [창의] 모바일과 블록을 잇다, 모블로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블록을 쌓아 작품을 만들면 이를 디지털 콘텐츠로 저장할 수도 있다. 현재 KAIST 연구팀과 공동으로 소형로봇과 모블로를 합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모블로는 현재까지 총 일곱 가지 콘텐츠를 갖췄다. 대표 콘텐츠인 ‘블록메이커’는 컴퓨터 화면 속 그림과 똑같이 블록을 쌓는 게임이다. 3D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빛을 멈추기로 마음먹었다.투명한 빛은 느리다1999년 미국 하버드대와 스탠퍼드대 공동연구진은 파장이 780nm인 근적외선 레이저를 매질에 통과시켜 초속 17m까지 늦추는 데 성공했다. 진공에서 잰 속도보다 천만 배나 느렸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이 빛을 ‘느린 빛(slow light)’이라고 불렀다. 연구팀이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여기에 들어갈 에너지를 다른 곳에 투자하면 생존력을 더 높일 수 있다. 슈나이더 교수와 공동연구를 한 송경한 미국 스탠퍼드대 미생물면역학과 박사는 “숙주의 건강은 저항과 관용이라는 두메커니즘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결과”라고 말했다.에리스와 슈나이더 교수는 관용을 잘 이해하면 ...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하는지를 조사해 경제 분야 이그노벨상을 수상했다.의학상 : 하지메 키마타 교수팀과 공동수상한 슬로바키아 코메니우스대 나탈리아 카모디오 박사팀은 키스를 하고 난 뒤 10분에서 최대 60분 이내로 침의 DNA를 조사하면 키스 상대의 DNA 일부를 찾을 수 있다고 ‘국제법과학지’에 발표했다.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