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질"(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PICK] 올해는 너로 정했어, ‘루비 초콜릿’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수천 종을 분리했다. 연구팀은 각 종들이 카카오빈의 어떤 물질을 발효시켜 어떤 산물을 내는지 분석한 뒤 초콜릿을 만드는 데 가장 적합한 균주 몇 종을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가령 어떤 균주는 과일향을 내면서 단맛보다는 씁쓸한 맛을 내고, 어떤 균주는 쓴맛이 약하고 ... ...
- [이달의 PICK] ‘계란의 일생’ 알아야 핵심이 보인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원란을 납품받을 때부터 살모넬라와 같은 미생물 검사, 항생제와 살충제 잔류물질 검사를 통과했는지 꼼꼼하게 따진다”고 설명했다. 계란들은 셔터도 쫓아가지 못할 속도로 빠르게 세척기, 건조기, 살균기, 파각 검출기, 혈반 검출기, 마킹기 등을 거쳐 갔다. 눈 깜빡할 시간에 난각에 고유번호와 ... ...
- Part 3. FRUIT, BEER, MAKGEOLLI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초반까지는 발효가 덜 끝난 막걸리를 병에 넣어 팔다보니,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숙취물질이 날아가지 않고 남아 숙취를 유발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옛날 얘기다. 막걸리의 이유 있는 변신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 ...
- [10대의 약] 매사에 공격적이고 예민해요 ‘중2병’일까요, 우울증일까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기분 조절, 수면, 근 수축, 식욕, 기억력, 혈액 응고반응 등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전달물질로, 우울증 환자의 뇌에는 이런 세로토닌의 양이 적습니다. 플루옥세틴은 뇌의 시냅스전 세포(presynaptic cell)에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해 시냅스의 세로토닌 농도를 높여 시냅스후 수용체(postsynaptic ... ...
-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고리가 작은 위성들의 궤도와 주고받는 영향, 초기에 순수한 얼음 상태에서 외부 물질이 섞여 들어간 비율 등을 토대로 토성 고리의 나이를 다시 계산해냈다. doi:10.1126/science.aat2965 이와 같은 연구들은 행성의 고리가 언제, 어떻게 생성되고 사라지는 지에 대해 여러 가지 생각할 거리를 던져 준다.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우연이 만든 혁명 유기 태양전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특히 단분자는 고분자에 비해 용해도가 높고 합성이 쉬워 전자 주개 물질과 전자 받개 물질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전기 생산효율을 14%까지 높여 유기 태양전지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있습니다. doi:10.1002/adma.201800868 플렉서블(휘어지는) 태양전지 등 유연성 소자 연구도 진행 ... ...
- [화보] 생활 속 화학물질, 예술이 되다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길고 바깥에는 온통 얼음과 눈뿐이에요. 그래서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학물질의 결정에도 관심을 가졌지요. Q 사진 속 결정은 어떻게 만드나요? ‘구연산’을 예로 들어볼게요. 구연산 가루를 구입해 따뜻한 물에 잘 녹여 포화용액을 만들어요. 만든 용액을 유리판에 한 방울씩 ... ...
- [이달의 PICK] 새해 계획 성공하려면? 뇌가 조종하는 도파민 경로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결론을 내리는 것이다. 전전두엽에서 해로운 행동으로 판단되면 또 다른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Glutamate)’를 NAc에 보낸다. 그 행동을 멈추라고. 최종적으로 쾌락을 결정하는 NAc에서는 VTA에서 온 도파민과 전전두엽에서 온 글루타메이트의 힘겨루기가 이뤄진다. 김 교수는 “만약 ... ...
- DGIST 뇌·인지과학전공 - 뇌질환 비밀 풀 열쇠 ‘세포의 성벽’ 인지질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아니었다. 무엇보다도 인지질은 신경신호 전달의 핵심인 이온 통로와 직접 결합해 신경물질 전달을 조절하는 ‘조절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최초로 밝힌 서병창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는 “인지질의 역할을 정확히 규명하면 뇌전증, 자폐 등 신경신호 ...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필수적인 현상이다. 인간과 인간처럼 같은 종끼리도 마찬가지다. 아주 작은 양의 체내 물질에도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데, 그보다 훨씬 더 큰 신체 장기는 어떻겠는가. 그래서 다른 사람의 장기를 이식받기 위해서는 사전에 이런 면역거부반응을 억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당연히 면역거부반응은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