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누리게 할 방법은 없다”며 “중간다리를 놓고 다시 수선하는 게 적정기술의 현실적 방향”이라고 말했다.현재 국내 대학들은 라오스(서울대)와 탄자니아(연세대), 베트남(인하대) 등의 개발도상국에서 교육과 실습을 위한 최소한의 설비를 지원하고, 직접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선별해 반복적으로 ... ...
- Part 5. 핵에서 찾은 시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지각은 외핵에 붙잡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지구 전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하는 거예요.핵의 시간은 느리게 간다? 45억 년 전, 지구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를 상상해 볼까요?가장 먼저 우주의 먼지들이 뭉쳐져 핵이 만들어지고, 다시 핵을 중심으로 먼지와 운석이 뭉쳐지며 ... ...
- [핫이슈] 드론 조종부터 우주 비행사 체험까지! 제주항공우주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위로 떠받치는 ‘양력’이 발생하게 되지요.또 2개의 프로펠러가 각각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돌며 힘의 균형을 맞추기 때문에 수평을 유지하며 떠오를 수있어요. 이 때문에 드론의 프로펠러 개수는 4~8개까지 짝수를 이룬답니다.모험 전 토막상식2 우주여권이 필요한 세상이 온다?비행기나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영웅의 아들 제1화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서쪽 벽을 넘어 볼까?’도넛 모양의 우주선 안이라 당연히 동서남북은 없었다. 그냥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정해 놓은 약속일 뿐이었다.담을 넘는 건 쉬웠다. 넘자마자 학교 옆에 있는 공원으로 달려갔다. 하지만 소용 없었다. 100m나 갔을까. 어느새 뒤에 따라붙은 마고가 말을 걸었다.“또 학교에서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해저 퇴적물에 관심을 갖는 이유다. 이곳에 쌓인 두께가 약 1.5km인 퇴적층이 북북동 방향으로 이동해 수백만 년 뒤에 미얀마 지각판 하부로 섭입하면서 큰 지진을 일으킬 것이기 때문이다. 그 전에 해양 퇴적물의 퇴적환경과 암석의 종류 등을 파악하고, 섭입 전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이동과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스스로 움직이는 인형 ‘오토마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중 기어는 원판 모양의 회전체에 달린 돌기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 운동의 방향이나 속도를 바꿀 수 있는 장치예요. 한 회전체의 돌기들은 모두 같은 간격으로 달려 있어야 하고, 돌기의 수가 많을수록 더 정확하게 기어가 맞물려 돌아간답니다.캠과 크랭크는 회전운동을 상하, 좌우의 ... ...
- [페르미 추정] 잘 쓰면 과학자 못 쓰면 사기꾼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대표적인 사례로 레이놀즈 수를 들었다. 레이놀즈 수는 흐르는 물질(유체)이 이동하던 방향으로 계속 가려는 힘(관성)과 유체의 점성에 의한 힘 사이의 비율이다. 만약 유체가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안에서 흐르고 있다면 레이놀즈 수는 다음과 같다.레이놀즈 수가 1보다 작으면 유체는 질서있게 ... ...
- 모차르트에 도전장을 내밀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포기하지 않고 슬기롭게 목표를 수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부원들은 토론 끝에 연구 방향을 틀었다. 자신들의 작곡법으로 탄생한 곡이 어떤 확률 분포를 이루는지 알아보기로 한 것이다.부원들은 곡을 아주 많이 만들어 보기로 했다. 주사위를 굴려 100곡을 만들었으니 팔이 꽤 아팠을 테다. 이때 ...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물은 3차원 공간에서 어느 방향으로나 대칭성을 띤다. 그러나 온도가 내려가면 특정 방향으로 얼음 결정이 만들어지면서 대칭성이 깨진다. 우주도 마찬가지다. 뜨거웠던 초기 우주가 식으면서 물질들의 대칭성이 깨졌고, ‘위상학적 결함’들이 생겨났다(차원에 따라 이를 자기홀극, 우주 끈,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주변 사람들의 행동입니다. 광화문 광장에서 갑자기 한 사람이 소리를 지르면서 한쪽 방향으로 뛰어간다고 생각해봅시다. 평소의 이성적인 나라면 뛰어온 곳을 쳐다보며 원인을 파악하고 가장 가까운 출구를 찾겠죠. 하지만 뛰어가는 사람이 둘이 되고, 셋이 되면서 하나의 장(field)을 이루게 되면,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