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스스로 움직이는 인형 ‘오토마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중 기어는 원판 모양의 회전체에 달린 돌기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 운동의 방향이나 속도를 바꿀 수 있는 장치예요. 한 회전체의 돌기들은 모두 같은 간격으로 달려 있어야 하고, 돌기의 수가 많을수록 더 정확하게 기어가 맞물려 돌아간답니다.캠과 크랭크는 회전운동을 상하, 좌우의 ... ...
- [페르미 추정] 잘 쓰면 과학자 못 쓰면 사기꾼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대표적인 사례로 레이놀즈 수를 들었다. 레이놀즈 수는 흐르는 물질(유체)이 이동하던 방향으로 계속 가려는 힘(관성)과 유체의 점성에 의한 힘 사이의 비율이다. 만약 유체가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안에서 흐르고 있다면 레이놀즈 수는 다음과 같다.레이놀즈 수가 1보다 작으면 유체는 질서있게 ... ...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여행해 우리에게 도달한 우주배경복사도 이런 우주를 암시한다. 우주배경복사는 어느 방향에서 보더라도 온도가 2.73K으로 동일하다. 즉, 등방하다. 등방한 분포는 곧 균일하다. 따라서 우주는 초기에 상당한 정밀도로 균일했을 것이다.현재 우주는 어떨까. 그동안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 ...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물은 3차원 공간에서 어느 방향으로나 대칭성을 띤다. 그러나 온도가 내려가면 특정 방향으로 얼음 결정이 만들어지면서 대칭성이 깨진다. 우주도 마찬가지다. 뜨거웠던 초기 우주가 식으면서 물질들의 대칭성이 깨졌고, ‘위상학적 결함’들이 생겨났다(차원에 따라 이를 자기홀극, 우주 끈,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주변 사람들의 행동입니다. 광화문 광장에서 갑자기 한 사람이 소리를 지르면서 한쪽 방향으로 뛰어간다고 생각해봅시다. 평소의 이성적인 나라면 뛰어온 곳을 쳐다보며 원인을 파악하고 가장 가까운 출구를 찾겠죠. 하지만 뛰어가는 사람이 둘이 되고, 셋이 되면서 하나의 장(field)을 이루게 되면, ... ...
- [Photo] 탄자나이트(Tanzanite) 떠오르는 탄자니아의 희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비견되는 아름다움으로 주목받는 보석 탄자나이트의 원석이다. 이 보석은 결정 방향에 따라 푸른색, 자주색, 적포도주빛 붉은색 등 세 가지 색상을 보이고, 광원에 따라 조금씩 다른 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탄자나이트는 킬리만자로 산 가까이에 위치한 탄자니아 북부 미렐라니 광사에서 주만 ...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올리거나 자기장을 가하면 쿠퍼쌍 일부가 다시 분리되는 현상이 생긴다. 이는 마치 한 방향으로 흐르는 시냇물 중간에 소용돌이가 생긴것과 비슷한 상황으로, 위상학적 결함이라고도 부른다(2016년 11월호 노벨 물리학상 해설기사 참고).이렇게 분리된 쿠퍼쌍에서 나온 전자들은 짝을 이루기 전의 ... ...
- [핫이슈] 제주항공우주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때문이에요. 양력은 날개를 타고 흐르는 공기가 만들어내는 힘이랍니다. 이 힘은 위쪽 방향으로 작용해 비행기 날개를 위로 들어 올리지요.2. 로켓에 날개가 없는 이유는?라이트 형제가 최초로 비행기를 만든 후, 인간은 불과 50년 만에 우주로 로켓을 쏘아 올리는 데 성공했어요. 그리고 지금까지 ... ...
- Part 2. 유선형 덮개로 공기저항을 줄인 초고속 자전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널리 사용되기는 힘들어요. 오로지 직선도로를 빠르게 달리기 위해 디자인됐기 때문에 방향을 바꾸기도 힘들고, 크기가 작아 사고가 났을 때 매우 위험하거든요. 그럼에도 개발자인 카메론 로버트슨은 “우리의 목표는 사람들에게 인간동력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심어 주는 것”이라며, ... ...
- [가상 인터뷰] 박쥐는 치타보다 빠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중력이 더해진 속도지요. 한편 수평 속도는 오직 바람과 동물의 힘만을 사용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속도랍니다.이전까지 수평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알려진 동물은 시속 110km로 나는 ‘유럽칼새’였어요.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로 수평속도가 가장 빠른 동물이 브라질큰귀 박쥐로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