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영웅의 아들 제1화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서쪽 벽을 넘어 볼까?’도넛 모양의 우주선 안이라 당연히 동서남북은 없었다. 그냥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정해 놓은 약속일 뿐이었다.담을 넘는 건 쉬웠다. 넘자마자 학교 옆에 있는 공원으로 달려갔다. 하지만 소용 없었다. 100m나 갔을까. 어느새 뒤에 따라붙은 마고가 말을 걸었다.“또 학교에서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해저 퇴적물에 관심을 갖는 이유다. 이곳에 쌓인 두께가 약 1.5km인 퇴적층이 북북동 방향으로 이동해 수백만 년 뒤에 미얀마 지각판 하부로 섭입하면서 큰 지진을 일으킬 것이기 때문이다. 그 전에 해양 퇴적물의 퇴적환경과 암석의 종류 등을 파악하고, 섭입 전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이동과 ... ...
- [핫이슈] 드론 조종부터 우주 비행사 체험까지! 제주항공우주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위로 떠받치는 ‘양력’이 발생하게 되지요.또 2개의 프로펠러가 각각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돌며 힘의 균형을 맞추기 때문에 수평을 유지하며 떠오를 수있어요. 이 때문에 드론의 프로펠러 개수는 4~8개까지 짝수를 이룬답니다.모험 전 토막상식2 우주여권이 필요한 세상이 온다?비행기나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스스로 움직이는 인형 ‘오토마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중 기어는 원판 모양의 회전체에 달린 돌기들이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 운동의 방향이나 속도를 바꿀 수 있는 장치예요. 한 회전체의 돌기들은 모두 같은 간격으로 달려 있어야 하고, 돌기의 수가 많을수록 더 정확하게 기어가 맞물려 돌아간답니다.캠과 크랭크는 회전운동을 상하, 좌우의 ... ...
- 모차르트에 도전장을 내밀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포기하지 않고 슬기롭게 목표를 수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부원들은 토론 끝에 연구 방향을 틀었다. 자신들의 작곡법으로 탄생한 곡이 어떤 확률 분포를 이루는지 알아보기로 한 것이다.부원들은 곡을 아주 많이 만들어 보기로 했다. 주사위를 굴려 100곡을 만들었으니 팔이 꽤 아팠을 테다. 이때 ... ...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여행해 우리에게 도달한 우주배경복사도 이런 우주를 암시한다. 우주배경복사는 어느 방향에서 보더라도 온도가 2.73K으로 동일하다. 즉, 등방하다. 등방한 분포는 곧 균일하다. 따라서 우주는 초기에 상당한 정밀도로 균일했을 것이다.현재 우주는 어떨까. 그동안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 ... ...
- [Photo] 탄자나이트(Tanzanite) 떠오르는 탄자니아의 희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비견되는 아름다움으로 주목받는 보석 탄자나이트의 원석이다. 이 보석은 결정 방향에 따라 푸른색, 자주색, 적포도주빛 붉은색 등 세 가지 색상을 보이고, 광원에 따라 조금씩 다른 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탄자나이트는 킬리만자로 산 가까이에 위치한 탄자니아 북부 미렐라니 광사에서 주만 ... ...
- Part 2. 유선형 덮개로 공기저항을 줄인 초고속 자전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널리 사용되기는 힘들어요. 오로지 직선도로를 빠르게 달리기 위해 디자인됐기 때문에 방향을 바꾸기도 힘들고, 크기가 작아 사고가 났을 때 매우 위험하거든요. 그럼에도 개발자인 카메론 로버트슨은 “우리의 목표는 사람들에게 인간동력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심어 주는 것”이라며, ... ...
- [가상 인터뷰] 박쥐는 치타보다 빠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중력이 더해진 속도지요. 한편 수평 속도는 오직 바람과 동물의 힘만을 사용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속도랍니다.이전까지 수평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알려진 동물은 시속 110km로 나는 ‘유럽칼새’였어요.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로 수평속도가 가장 빠른 동물이 브라질큰귀 박쥐로 ... ...
- [핫이슈] 제주항공우주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때문이에요. 양력은 날개를 타고 흐르는 공기가 만들어내는 힘이랍니다. 이 힘은 위쪽 방향으로 작용해 비행기 날개를 위로 들어 올리지요.2. 로켓에 날개가 없는 이유는?라이트 형제가 최초로 비행기를 만든 후, 인간은 불과 50년 만에 우주로 로켓을 쏘아 올리는 데 성공했어요. 그리고 지금까지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