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결"(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밀당 로봇’으로 맞춤형 운동한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팔을 붙잡고 밀거나 당기면, 이 힘의 크기에 비례해 스프링의 길이가 변한다. 로봇에 연결된 컴퓨터가 이 값을 측정하면 사람이 낸 힘의 크기를 역으로 알아낼 수 있다. 로봇 팔에는 각도기도 달려 있다. 같은 힘을 내더라도 팔을 얼마나 빠르게 움직이는지에 따라 근육을 쓰는 정도(근육 활성도)가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고찰한다. 서로 돕는 공동체 문화가 심장병 사망률을 낮췄던 로세토 마을의 사례, 사회적 연결망이 기대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 사례 등을 소개한다. 그는 “지금이 아니면 언제?”라고 묻는다. 과거 사회적 약자들의 아픔이 미래의 사회적 약자들이 살아갈 길이 되게 하려면, 지금 바꿔야 ... ...
- 한글의 美, 기하학 만나 추상미술로 피어나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점에도 자연스럽게 관심이 갔어요. 나무에 못을 박아 점을 나타내고 못 사이를 낚싯줄로 연결해 보니, 선이 시간적, 공간적 이동도 상징하더라고요. 여행을 하면서 거치는 장소를 점, 그 사이의 이동 경로를 선으로 표현할 수 있듯이, 제게 선은 정적인 점이나 면과는 다르게 움직임과 흐름을 ... ...
- Part 1. 여성화장실 줄만 너무 길어요!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분배법을 계산했어. 대기행렬이론은 20세기 초, 전화선이 부족해 전화교환원이 선을 연결할 때까지 기다려야 통화를 할 수 있던 때 전화선을 몇 개 설치해야 효율적인지 알기 위해 수학자 아그너 에어랑이 만든 이론이야. 교수팀은 에어랑이 구한 평균 대기 시간 공식을 이용하기로 했어. 그러려면 ... ...
- [과학뉴스] 습관 좌우하는 중간뉴런 첫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주목했다. FSI는 선조체 뉴런 중 단 1%만을 차지하는 드문 뉴런이지만, 95%의 뉴런을 연결하는 지휘자 뉴런이다. 연구팀은 FSI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해 습관이 형성된 쥐에게 FSI의 활성을 막는 약을 주입했고, 그 결과 뇌의 신호 전달 과정이 습관을 형성하기 전으로 돌아간 사실을 확인했다. 레버를 ... ...
- [Career] “사람도, 연구도 융복합에서는 최고가 되겠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세계를 매개로 빈틈없이 연결돼 정보 생성이나 수집, 공유, 활용이 수시로 이뤄지는 ‘초연결사회’로의 진화가 가속화될수록 사이버물리시스템은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Q. DGIST의 강점은 뭔가.앞으로는 ‘대학 타이틀’이 중요하지 않다. ‘블라인드 채용’이 대세가 되는 것만 봐도 그렇다. ... ...
- [Origin] 국제이론물리센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풍경을 만끽할 수 있죠. 또 트리에스테의 명물인 미라마레 성(城)과 연구소가 산책로로 연결돼 있어 점심시간 연구원들이 즐겨 찾습니다. 트리에스테는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일리(illy) 커피의 본고장이기도 합니다. 가신다면 그 지역에서만 파는 ‘카포인비’라는 커피가 있다고 하니 꼭 드셔보시길 ... ...
- [Career] 마음먹은 대로 전기 제어하는 마법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교수는 “전력을 제어하고 변환해 서로 다른 시스템의 전기에너지를 연결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며 “가전제품은 물론, 하이퍼루프(진공 터널에서 시속 1200km로 달리는 캡슐형 열차), 스마트그리드, 태양광단지 등 우리가 해결해야 할 숙제가 잔뜩 있다”고 말했다. TV 얇아지면 전원 공급 ... ...
- [수학공감] 수학 교육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이날 수업에서는 대나무를 이용해 입체도형을 만들었다. 대나무를 고무줄로 묶어 연결하며 꼭짓점과 모서리 같은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마지막으로 정이십면체 같은 입체도형을 만드는 게 목표였다. 관교여중 1학년 김세령양은 “무언가를 만드는 수업이라 다른 수업보다 재미있어요”라고 ... ...
- [과학뉴스] 스스로 고장 수리하는 ‘모듈러 로봇’ 등장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신경계를 모방한 시스템이다. 이를 이용해 외부에서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스스로 연결 모듈을 끊거나, 새로운 모듈과 결합할 수 있다. 연구팀은 로봇이 발광다이오드(LED) 불빛을 외부 자극으로 인식하도록 설계했다. 그 결과 LED자극에 따라 모듈을 끊거나 이으면서, 하나로 합치거나 두 개로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