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양성"(으)로 총 4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과학동아 l201301
- 발견할 수 있다. 여기에 토양 곰팡이까지 더하면 ‘숟가락 크기 생태계’의 생물 종 다양성은 훨씬 커진다.그런데 우리가 100년 이상 탐사해 알고 있는 전체 세균의 종류가 1만 종밖에 안 되며, 관악산 흙 한줌에 사는 세균 중 우리가 알아볼 수 있는 종은 5%에 불과하다. 나머지 95%의 세균은 인류가 한 ... ...
- 전설 속 여우가 돌아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22
- "이번 여우 복원사업은 장기적으로 백두대간 생태축의 건강 회복과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증진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정철운 (국립공원 종복원기술원 여우복원팀장) 먹이사슬의 중간다리여우는 쥐나 메추리 같은 작은 동물들을 잡아먹어 개체수를 조절한다. 또 반대로 ... ...
- 새로운 가족을 발견한 보물섬, 독도어린이과학동아 l201221
- 천연기념물 336호로 지정되어 있어요.이번에 새 가족이 발견되었다고?최근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은 독도에 살고 있는 새로운 동식물을 확인했어요. 식물 5종과 곤충 2종,버섯 1종이지요. 식물은 가는금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좀돌피, 물피, 큰방가지똥을, 곤충은 큰횡줄가는잎말이나방과 ... ...
- 귀뚜라미의 사랑고백 엿듣기어린이과학동아 l201219
- 들어 보면 종마다 조금씩 소리가 달라요. 귀뚜라미 소리를 분석해 보면 지역의 생태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답니다.귀뚜라미가 부르는 사랑의 세레나데를 듣고 우리 동네 생태지도를 그려 볼까요? 날개만 있으면 바이올린도 저리가라~수컷 귀뚜라미는 번식기인 가을이 되면 암컷을 ...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13
- 해롭거나 위험하더라도 어떤 생물도 멸종되지 않기를 바랐어. 사람이 불편한 것보다 생물다양성과 공존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 거지.해충을 죽이는 것과 멸종은 아주 달라. 모기나 바퀴 때문에 불편해 이들을 없앨 순 있어. 하지만 멸종시켜서는 안 돼. 이들도 생태계에서 나름 중요한 역할을 하며, ... ...
- [knowledge] 하늘에서 땅끝까지, 식물과 달리다과학동아 l201212
- 정도로 뜨거운 햇빛이지만 식물에게는 무엇보다 좋은 성장 원료가 아닐까. 윈난 식물 다양성의 비밀은 지형말고도 햇빛에 있을지도 모르겠다.한국에서 막 단풍이 들고 낙엽이 지는 것을 보다가 한여름 숲 같은 녹색을 보니 기분이 묘해졌다. 한참을 달려 도착한 첫 번째 목적지인 위엔지앙(元江). ... ...
- Part 4. 우리 함께 살 수 있어요과학동아 l201211
- 나아가 지역 브랜드 개발 및 생태 관광을 통한 경제 활성화도 이룰 수 있다.생물종의 다양성은 인간의 생존과 건강, 경제적인 자원을 떠받치는 잠재적인 자원이다. 과학자들은 지구의 생물종 수가 3000만~5000만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이 중 우리에게 알려진 종은 약 170만에 불과하다 ... ...
- Intro. 여우야 여우야 같이 살자과학동아 l201211
- 일은 미래를 찾는 일이다. 한반도 멸종위기 동물 복원과정에 담긴 과학, 복원을 넘어 종 다양성을 확보하고 함께 사는 모습을 그려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여우야 여우야 같이 살자Part 1. 응답하라 백두여우Part 2. 우리 이렇게 살고 있어요Bridge. 달갑지 않은 늑대가 되돌아와야 하는 ... ...
- 바다에 살고 죽는 제주의 어머니, 해녀과학동아 l201211
- 각각의 노력을 하나로 융합하기 위해 유네스코가 만든 말이다. 제주도는 생물문화 다양성의 아주 좋은 사례다. 유네스코가 인증한 생물권보전지역(2002년), 세계자연유산(2007), 세계지질공원(2010)이자, 람사르 협약에 등재된 습지 네 곳이 있는 곳이다. 최근 제주도는 해녀를 유네스코 무형유산에 ... ...
- 농사는 인류를 부자로 만들었을까?과학동아 l201211
- 세계에서 볼 수 있는 무궁무진한 다양성은 결국 농경 덕분입니다. 농경의 발달과 유전자 다양성은, 사람의 문명이 오히려 인류의 진화에 직접 영향을 미친 예입니다. 오랫동안 사람들은 문명과 문화가 발달하면 진화는 멈춘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문명과 문화의 발달, 그리고 인구 증가의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