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양성"(으)로 총 4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크 DNA, 혹시 정말 쓰레기?과학동아 l201306
- 수 있다는 논문이 ‘네이처’ 5월 12일자에 실렸다.루이스 헤레라-에스트렐라 멕시코 생물다양성유전체학국립연구소 박사팀은 작은 동물을 먹는 식충식물인 열대통발기바(Utricularia gibba)의 유전체를 분석했다. 열대통발기바는 민물습지에 살면서 주머니로 먹이를 잡아먹는 정교하고 복잡한 식물이다 ... ...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과학동아 l201305
- 유전자 몇 개만 조작해도 덩치를 조작할 수 있다. 인간의 의도적인 교배로 개의 유전적 다양성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인간의 경우 키를 결정하는 후보로 알려진 180개의 유전자로도 유전 영향의 10%밖에 설명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70%의 영향력이 유전자의 어디서 나오는지가 ... ...
- 지구사랑 탐사대 1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04
- 계획이에요.이화여대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께 구체적인 탐사방법과 종 특이성, 생물 다양성에 대한교육을 받을 거예요. 실제 과학자들처럼 탐구보고서를 작성하는 요령도 덤으로 얻어갈 수있고요. 전체 과정에 열심히 참여한 친구들에게 탐사대 수료증을 드립니다!나도 탐사대원이 됐어요 ... ...
- 겉 다르고 속 다른 최강 포식자 ‘담비’어린이과학동아 l201303
- 생태계 우산종은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 중에서도 행동권이 아주 넓은 종으로,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오히려 귀히 여겨야 한답니다. 게다가 농작물을 파헤치는 고라니나 민가를 습격하는 멧돼지를 잡아먹어 개체수를 조절하는 저희의 힘은 오히려 사람 친화적이지요. 지구에 ...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수학동아 l201302
- 가진 치타나 띠 무늬를 가진 얼룩말, 무늬가 없는 코끼리 같이 얼핏 혼란스러워 보이는 다양성을 하나의 이론으로 설명하고자 했던 것이다.다윈의 자연선택이라는 개념이 거대원칙의 역할을 할 순 있겠지만, 튜링은 털 색깔을 결정하는 화학물질과 억제하는 물질이 있을 거라는 가정 하에서 이 두 ... ...
- 호주, 고립되지 않은 대륙?과학동아 l201302
- 호주 원주민들과 파푸아 뉴기니, 동남아시아, 인도인 등을 포함한 344명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호주 북부 지방 원주민 중 11%가 약 4000년 전에 인도에서 호주로 들어온 이주민의 유전자를 갖고 있었다. 연구진은 호주와 뉴기니, 필리핀 마만와족 유전체의 연관성도 확인했다. 이들은 약 ... ...
- 개코보다 더 개코 같은 돼지코의 비밀과학동아 l201302
- 형태 및 생리학적 특성을 보유한 수많은 돼지과(Sus family )에 속하는 동물의 생물학적 다양성을 이해하거나 산업적인 활용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게다가 진화적 관점에서 고래소목(Cetartiodactyla )에 속하는 소, 돼지, 하마, 고래 등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최근 돼지가 특히 ... ...
- 해외 식물 자원 대전에 다 모였다과학동아 l201302
- 얼마나 많은 유용한 물질이 나올지 모르는 일이다.그러나 우리나라는 땅이 좁고 생물종 다양성이 낮다. 식물은 고작 4000여 종 뿐이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생명연은 생물자원이 풍부하지만 기술이 부족한 나라와 협력을 맺고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 중심에 해외생물소재허브센터가 ...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01
- 정보로 20개의 부호로 된 아미노산을 합성한다.만약 21, 22번째 아미노산을 더 도입한다면 다양성은 더 커질 것이다.어떻게 하면 될까.원래 DNA에는 전사(단백질 합성)를 끝내도록 하는 종료 코돈이 3개 있다.만약 이 가운데 1개만 전사를 끝내는 원래 용도로 쓰고 나머지 두 개를 새로운 아미노산을 ... ...
- 동서남북 모인 데서 신약 개발 꿈꾼다과학동아 l201301
- 식물자원 채집부터 추출까지한국-코스타리카 생물소재연구센터는 코스타리카의 생물다양성 연구기관인 ‘인비오(INBio)’와 함께 연구하고 있다. 인비오는 1989년 코스타리카의 생물자원을 보존함과 동시에 사람에게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 생겼다. 생태공원을 지어 시민과 관광객에게 동식물을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