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양화
다채성
복합성
d라이브러리
"
다양성
"(으)로 총 49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도시의 녹지는 섬처럼 조각조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1
이곳에 사는 생물들은 마치 섬처럼 갇힌 생태계를 이뤄. 이때 가장 큰 문제는 유전자
다양성
★이 사라진다는 점이야. 넓은 지역에서는 한 종이 여러 곳에 퍼져 살며 서로 교류할 수 있지만, 좁은 지역에는 아주 적은 수의 무리만 갇혀 살게 돼. 자기들끼리 계속 짝짓기를 하며 새끼를 낳다 보면 ... ...
[Fun] 당신이 필요하다, 몹시 절박하게
과학동아
l
201501
등 과학과 인문학을 엮는 개념을 고안했다. 온라인 생명 백과사전으로 생물
다양성
연구에 필요한 기술 발전에도 공헌했다. 20권이 넘는 과학 명저를 저술해 퓰리처상도 두 번이나 받았다.그런 대가가, 당신에게 말을 건다. ‘젊은 과학도에게 보내는 편지’라는 책을 통해. 올해로 86세인 윌슨은 지난 ...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
다양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20
섭섭박사님! 지구에는 1000만 종에서 1억 종까지 엄청난 생물이 살고 있대요. 그럼 0.1%인 1만 종 정도가 사라져도 괜찮지 않을까요? 티도 안 날 거 같 ... 화학제품을 덜 써야겠어요. 그리고 내년에는 꼭 지구사랑탐사대 3기 탐사대원이 돼서 생물
다양성
을 높이는 데 한몫 하는 어린이가 될래요~ ... ...
자연이 주는 교훈 “Let it be!”(내버려 두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5
일심동체가 되어 순천만을 잘 보존해 지금은 세계에서 알아주는 관광지로, 또 생물
다양성
이 풍부한 습지로 이름을 날리고 있답니다. 자연은 내버려둘 때 더 가치가 커진다는 사실을 순천만에서 확인해 보세요 ... ...
2014 생물
다양성
탐사대작전 서울 숲의 진짜 주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3
기자단 어린이들이 신원섭 산림청장을 만났다. 산림청은 지난 2010년부터 생물
다양성
탐사 행사인 바이오블리츠를 주관하고 있다. 어떤 이유로 도시 한복판에서 생태 탐사 행사가 열리게 된 것일까?“많은 사람들이 사는 대도시에 생물종이 얼마나 되는지, 또 그 생물이 건강하게 살고 있는지 관심을 ...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
과학동아
l
201412
강조했다. 땅에서 생산성이 가장 높은 곳으로 밭을 꼽듯, 바다에서 산호초를 빼면 생물
다양성
을 말할 수 없다는 뜻이다.산호와 공생하는 식물플랑크톤이 내뿜는 산소를 마시러, 그 곁의 동물플랑크톤을 먹으러 온갖 물고기와 해양생물이 산호초 주변으로 몰려든다. 산호를 만난 물고기처럼 가장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
과학동아
l
201410
땅 위 로 올라왔다. 조 연구관은 더 넓은 유럽이나 호주보다도 우리 나라가 훨씬 종
다양성
이 높다고 말한다.정작 문제는 연구다. 신종을 발견한다고 다 논문을 쓸 수 있 는 것은 아니다. 생김새와 특징을 파악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 린다. 조 연구관은 후학이 없음을 안타까워했다. "신종이야 엄청 ... ...
INTRO. 신종헌터
과학동아
l
201410
숨어있는 걸까. 우리는 왜 신종을 찾아야하는 걸까. 10월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첫 생물
다양성
총회를 맞아 신종헌터 특집을 준비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종헌터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Bridge. 신종 핫스팟은?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10
가정이 늘어나면서
다양성
은 점점 늘어가고 있다. 미국에서는 방송 등에서 이러한
다양성
을 의무적으로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아마 오래지 않 아 한국에서도 비슷한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진화, 천의 얼굴을 빚다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PART 2.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
과학동아
l
201410
통해 더 많은 감정을 드러낸다는 속설은 사실인 걸까). 진화가 빚은 얼굴과 표정의
다양성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여기에도 진화가 개입했을 가능성이 크다. 뇌는 분명히 얼굴을 통해 사람을 구분하고 파악하는 쪽으로 ‘똑똑하게’ 진화했다. 하지만 그 동안 얼굴이 놀고만 있던 것은 아니다.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