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맥
맥곡
맥류
경지
d라이브러리
"
보리
"(으)로 총 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식물 5백가지를 바르게 안다
과학동아
l
199302
그것."아름다운 화원을 조성해 여러가지 꽃들을 잘 가꾸어 놓은 것이 볼 만하지만 거기에
보리
밀 메밀 등의 곡식과 채소 외에 엉겅퀴 도라지 붓꽃 억새 애기똥풀 민들레 할미꽃 등을 심어 놓아 여간 보기 좋은 게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자생식물인 복수초 처녀치마 은방울꽃 앵초 ... ...
5 문명과 흙
과학동아
l
199301
다윗도 백향목으로 지은 궁전에서 살았다.그러나 삼림이 울창하던 레바논 산지와,
보리
와 올리브 등 농산물이 풍부하던 주변 지역이 오늘날에는 황량한 사막으로 변하고 말았다.레바논의 삼림은 기원전 10세기부터 벌채가 활발해지기 시작해 1세기를 전후하여서는 거의 소멸됐다. 삼림의 파괴는 곧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12
식품가공에 이용했다. 가령 발아하는 겉
보리
에는 전분분해효소가 있다. 이 효소는 겉
보리
가 발아할 때 녹말분해효소(amylase)를 만들고, 다시 전분을 분해해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물질을 제공해 준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해 우리 조상은 엿기름을 만들고, 쌀로부터 당밀을 만들었다. 이는 쌀밥에 있는 ... ...
북극
과학동아
l
199210
해표류 및 북극곰과 북극여우 등이 있다. 고래류에는 수염고래와 이빨고래가 많다.
보리
고래 혹등고래 대왕고래 등이 있으며 말향고래 범고래 돌고래 일각고래가 있다. 길이가 7~8m인 일각고래는 돌고래의 일종으로 길이 5m 정도의 뿔로 유명하다.해표류는 물개와 해표와 월러스가 있다. 물개는 ... ...
PART1 어떤 민족이 무슨 쌀을 먹나
과학동아
l
199209
것으로 보여진다. 일본에서도 옛날에는 쌀이 상당히 귀하여 일반서민은 수수 기장 피
보리
등을 주식으로 하였다. 쌀의 생산이 증가됨에 따라 이들과 혼합하여 먹는 혼식이 한때 성행되었다.현재 일본에서는 정월 설날 축제, 아기가 태어났을 때 또는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에는 반드시 쌀을 올리는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07
입에 해당하는 곳을 동양에서 키별이라고 부른다. 키라는 것은 시골에서 쌀이나
보리
등의 껍질을 벗길 때 쓰는 커다란 쓰레받기 모양을 한 기구인데, 도시의 사람들에게는 약간 낯선 물건일 것이다. 하지만 키별 속에서 그 기구를 상상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다.불명의 켄타우르사수자리는 ... ...
헤라클레스를 시험한 불사의 괴물
과학동아
l
199205
'
보리
이삭'이라는 뜻인데, 로마인들은 이 별이 '수확의 신' 세레스(Ceres)의 손에 쥐어진
보리
이삭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불렀다. 이 별은 황도 바로 옆에 위치한 아주 밝은 별이어서 고대에 황도를 찾는 중요한 지표 역할을 했다. 바빌로니아시대엔 처녀의 허리띠로 알려졌었고, 중국에서는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03
철새도래지로 부각된 것은 우선 인가에서 떨어지고 물이 맑으면서 수초가 많고 주변에
보리
나 채소(시금치와 배추)가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또 철새의 휴식처인 갈대숲이 있는데다 지형적으로는 낙동강 줄기에서 10㎞ 밖에 떨어지지 않았다는 장점이 있지요.심상득 동판저수지에서 넓적부리오리 ... ...
항공사진에 잡힌 「의문의 동그라미」
과학동아
l
199112
소형비행기를 타고서 찍은 것인데
보리
가 뒤집혀진 방향까지는 보이지 않지만, 사람이
보리
를 뒤집고 들어간 자취는 꽤 발 살필 수 있다. 이 불가사의한 흔적을 살펴본 전문가들은 UFO를 타고온 외계인의 짓이 아니라면 조그만 규모의 하강기류가 그 원인일 것으로 추측한다. 그러나 워낙 형상이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10
말을 처음 사용한 사람은 독일의 식물병리학자인 안톤 토 베이리였다(1879). 토 베이리는
보리
부패병균이나 지의류에 관한 연구로 유명한데 그 연구를 하면서 공생현상에 강한 흥미를 갖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봐도 그가 내린 공생에 관한 정의가 가장 광범위하다. 그는 다른 생물과 함께 생활하는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