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벼랑
낭떠러지
급경사면
고대
절애
급사면
가파른 비탈
d라이브러리
"
절벽
"(으)로 총 222건 검색되었습니다.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07
마라도는 역시 3백60여개의 기생화산 중 하나다.지삿개현무암 주상절리로 유명한 곳. 해식
절벽
에는 기둥모양으로 쪼개진 현무암이 분포하며, 주상절리가 수직을 깎인 단면에는 육각형 모양의 절리의 단면이 잘 나타난다. 주상절리가 수백m 길이로 펼쳐진 이곳은 필자가 권하는 제주도 제1경이다 ... ...
3. 백두산에서 만나는 우리꽃 기행
과학동아
l
200101
그렇게 천지는 자신의 속내를 보여준다. 반대편 북한쪽의 천지안쪽 병풍처럼 둘러선 기암
절벽
, 기슭에 난 파란 풀들 그리고 쪽빛으로 빛나는 천지의 호숫물.차안에서 하늘이 걷히기만 기다리던 많은 사람들이 환성을 듣고 달음박질로 올라올 때쯤 다시 폭포가 있는 곳과 그 반대편으로부터 하얀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11
대부분 동향 또는 남향이어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햇볕을 받는다. 또 대체로 강가의 바위
절벽
에 위치한다. 암각화가 태양과 물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음을 직잠케 해주는 대목이다. 비슷한 예로 중국의 내이멍꾸나 신장성 알타이 지구에서는 샘이 솟는 장소에 암각화가 새겨졌다. 혹시 산과 들, 강을 ... ...
라마와의 랑데부(Rendezvous with Rama)
과학동아
l
200010
지구에서도 여러 사람들이 지혜를 짜내는데, 결국 라마의 중력가속도가 적기 때문에
절벽
에서 바다로 뛰어내리는 방법이 최선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그는 배를 타고 온 탐사대원들과 무사히 합류한 뒤 다시 탐사캠프로 돌아간다.라마가 태양에 점점 다가가면서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수성인 ... ...
갈릴레이 뛰어넘기
과학동아
l
200010
같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크레이터가 많다.이외에도 여러 모양의 줄무늬나 산맥,계곡,
절벽
등도 관찰할 수 있다.달의 크레이터는 대부분 운석의 충돌로 생긴것이다.큰 크레이터 안쪽에는 충돌의 흔적으로 생긴 중앙 산봉우리도 볼수있다.뒤늦게 생긴 크레이터 주위로는 '광조'라 불리는 빛줄기가 ... ...
태평양 표류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08
실제로 큰 위험이 바다 한가운데 보다 해변가에서 닥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우선 높은
절벽
쪽을 피해 노를 저어햐 한다.거센 파도와 산호초에 부딪힐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하지만 기진맥진한 상태에서 그럴 여력이 없기 쉽다.따라서 구명정이 뒤집혀 물에 빠졌을 때를 대비해 신발이나 구명복 ... ...
중력의 임무(Mission Of Gravity)
과학동아
l
200008
괴물이나 다른 적대적인 종족과의 충돌로 험난한 고생을 겪는다. 특히 깎아지른 듯한
절벽
은 이들에겐 금단의 영역이나 다름없는 공포의 대상이지만, 지구인의 조언으로 도르래를 만들고 밧줄을 연결해 건너간다. 그러면서 발리넌은 과학의 효용성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결국 과학이 ... ...
한국의 공룡
과학동아
l
200007
많이 발견된다. 특히 경남 고성군 덕명리 상족유원지(지방 기념물 71호)의 6km에 걸친 해안
절벽
에는 공룡 발자국이 발견된 지층면이 총 3백29개에 달했는데, 여기서 최소한 5백12개의 공룡발자국 보행열들이 산출됐다. 이 가운데 조각류의 보행열은 2백52개의 지층면에서 확인됐다.이렇듯 한 지역에서 ... ...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002
말엽(1374년) 최영 장군이 탐라국을 평정할 때 군사를 연에 매달아 병선(兵船)에서 띄워
절벽
위에 상륙시켰으며,불덩이를 매단 연을 적의 성안으로 날려보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또 조선조에는 세종대왕(1455년)때 남이 장군이 강화도에서 연을 즐겨 날렸다는 기록과 임진왜란 당시 충무공 이순신 ... ...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02
이루며 6백km가 넘게 뻗어있다. 가장 높은 봉우리는 5천5백m에 이른다. 하현 때에 이
절벽
에 햇살이 비치면 산맥이 온통 은빛으로 하얗게 빛난다. 산맥 남쪽 끝 부분에 보이는 중간 크기의 멋진 크레이터는 에라토스테네스(지름 55km)이다.■ 월령 9-10일명암 경계선은 서쪽으로 물러나면서 ‘비의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