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상"(으)로 총 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꽃, 세상의 은밀한 지배자과학동아 l201404
- 빠른 속도로 생태계를 바꿔나갔다. 현생하는 모든 곤충과 초식동물, 영장류, 인류의 조상은 꽃과 함께 공진화를 거듭하면서 현재의 모습이 됐다. 향기 좋은 꽃은 꺾여지고 달콤한 열매는 요리됐지만, ‘인간꿀벌’들은 지구 곳곳에 씨앗을 뿌려 더 많은 꽃이 자라게 했다. 꽃의 탄생과 진화에 얽힌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04
- 나무가 드문 초원 지대를 만들었습니다. 포식자를 피하고 먹이를 찾기 위해 인류의 조상은 두 발로 일어서야 했을 겁니다. 두 손이 자유로워지면서 도구를 사용하고, 손짓도 하게 됐을 거예요. 나는 그 결과 언어를 사용하는 지금의 인류가 탄생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인류의 진화는 논쟁이 매우 ...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1403
- 또 눈이 커서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뛰어났다.마침내 이들의 후손은 인간의 조상인 유인원정도의 진사회성을 이룩했다. 동료에게 원하는 바를 얻기 위해 각종 시나리오를 구상하고 가장 합당한 행동을 택할 수 있었다. 다 같이 먹이를 구하고, 집을 가꾸며 새끼를 키웠다. 세대에 걸쳐 경험이 ... ...
- PART1. 백악기 마지막 날과학동아 l201403
- 육상 포식자는 아니었다. 티라노사우루스는 중생대의 마지막 2500만 년 동안 번성했는데(조상인 티라노사우루스상과는 1억6500만 년전부터 존재), 종은 다양했지만 대부분은 크기가 1~2t 정도로 작았다. 작은 티라노라니, 매력 없지 않은가?하지만 백악기 마지막 수백만 년 동안은 이야기가 다르다. ... ...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과학동아 l201403
- 고고학과 엠마 넬슨 교수팀은 2011년 왕립학회보B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 연구를 인류의 조상에 응용했다.그에 따르면, ‘루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는 1부1처일 가능성이 높고 아르디피테쿠스, 네안데르탈인은 모두 1부다처의 가능성이 높았다. 초기의 현생인류도 다뤘는데, 오늘날의 ... ...
- 외계인도 잘 생겨야 하는 더러운 세상...과학동아 l201403
- 식물만 해도 사람과 수십%의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지구의 생명체가 모두 똑같은 조상에게서 나왔다는 데는 이제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또, B급 SF나 판타지에서는 외계인-인간 혼혈을 등장시키기도 하고 그럽니다. 재미있자고 만든 설정이겠지만, 이제는 식상하죠. 말도 안 되고요. ... ...
- 말 타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402
- 불리고 있고, 아직 공식 이름은 없다.그런데 이쯤에서 의문이 든다. 기마민족이었던 우리 조상들은 어떤 말을 타고 다녔을까? 서양에서 건너 온 서러브레드는 분명 아닐 테고, 그렇다고 조랑말을 타고 전쟁에 나갔다는 것도 이상하다. 고려 말의 문신 이색이 남긴 기록을 보면 한국에는 두 종류의 ... ...
- PART2 서로 돕고, 교역하고, 견제하라과학동아 l201402
- 덜 느끼며, 부족 내에서 지도자 자리를 차지하는 일도 많았다. 박 교수는 “인류의 조상은 현재보다 훨씬 잔인했다”고 말했다.이러한 호전성과 잔인성이 현대 들어 꽤 줄어든 것으로 학자들은 보고 있다. 핑커 교수는 ‘우리 본성의 더 나은 천사들: 왜 폭력은 감소했는가’라는 저서에서 “고대 ... ...
-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과학동아 l201401
- 배리 러브그루브 교수는 겨울잠을 자는 포유류를 분석한 결과 겨울잠 능력이 공통조상에서 비롯됐을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2012년 ‘기후에 적응하는 삶(Living in a Seasonal World)’이라는 책을 통해 발표했다. 비버부터 주머니쥐까지 72개 과(科)에 속한 먼 친척 포유류 사이에 겨울잠과 관련된 생물학적 ... ...
- 2014 말의 해 멸종 대신 사람을 선택한 말어린이과학동아 l201401
- 기록이 잘 돼 있어서 어떻게 변해왔는지 설명하기 좋거든. 친구들은 몰랐을 거야. 말의 조상이 개만큼 작았다가 초원에 살면서 지금처럼 커진걸. 위 그림을 보면 알 수 있어.과학자들은 우리가 초원에서 살아남으려고 노력하다가 덩치가 커지고 빨라진 거라고 생각해. 코뿔소나 코끼리처럼 크면 포식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