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상"(으)로 총 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생 몰라요~ 점쟁이도 몰라요~과학동아 l201401
- 10명씩 기록했다고 해도 수십만 권이네요. 컴퓨터도 없던 시절에 이런 일을 했다면 우리 조상님들은 정말 위대한 겁니다.실제로 데이터를 모았다고 해도 의문점은 남습니다. 같은 날 같은 시각에 태어난 두 사람의 운명이 정말 똑같았을까요? 원본 데이터가 남아 있지 않으니 검증은 어렵습니다. 그 ... ...
- 새로운 공룡이 쿵쿵쿵! 다이노소어 어드벤처 3D어린이과학동아 l201323
- 트로오돈과 같은 공룡들의 뼈 구조가 새와 유사하다는 점 등을 미루어 보면 새들의 조상이 공룡이라고 할 수 있단다. 영화 ‘다이노소어 어드벤처 3D’에 등장하는 알렉소르니스는 닭과 비슷한 외모지만 부리에 이빨까지 가진 공룡으로, 공룡이 새로 진화하는 과정을 잘 보여 줘.헐~ ... ...
- 어린이 과학자가 밝혀낸 회암사지 ‘ㅌ’자 구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19
- 바로 칠봉초등학교 학생들이 받았지요.빙글빙글 순환하는 열로 따뜻한 겨울나기우리 조상들이 사용하던 구들은 대부분 아궁이가 하나이고 길이 여러 갈래로 난 ‘다로식’ 구들이었어요. 가운데 아궁이에서 나온 열기가 굴뚝 방향으로 흐르면서 온돌을 따뜻하게 데우는 구조랍니다. 그런데 ... ...
- 조상님도 뵙고 까마득한 후손도 만나고 한가위 타임머신어린이과학동아 l201318
- 아프리카는 잦은 화산활동과 판 이동으로 지형이 평탄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인류 조상이 멀리 이동하기 위해 몸을 똑바로 세운 채 걷거나 기어올라야 했고, 결국 직립보행을 하게 됐다고 밝혔다. 또 사냥을 하거나 주거지를 찾아 헤매면서 골격과 발이 더 오래, 더 빨리 달릴 수 있도록 진화했다고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12
- 먹기 위해서는 적숙기에 이른 김치를 그 상태로 오랫동안 보존하는 기술이 필요했다. 조상들은 땅을 파서 김장독을 묻었고, 현대에는 김치냉장고를 개발했다. 유산균 발효가 온도와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김치는 pH 4.5까지는 빠르게 발효가 진행되다가 이 시기부터 비교적 느린 속도로 발효가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12
- 우리는 진화선(進化線)을 직접 만들어 나아갔다. 따라서 나는 주리의 아버지가 아니라 조상이다. 주리는 아빠라고 부르는 편을 더 좋아하지만.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아직 충분히 발달하지 못한 문명인가보다. 무진 선총제는 진화원리의 필요성을 부정했다. 다양성도 부정했다. 그는 저항도 없고 ... ...
- 과학으로 아기 키웠던 네안데르탈인?어린이과학동아 l201312
- 왔을 때, 저희는 먹을 것이 부족해져서 더 멀리까지 이동해야 했지요. 그래서 현생인류의 조상이라고 알려진 ‘호모 사피엔스’와 수천 년 동안 함께 살았어요. 그러면서 혼혈아가 많이 태어났지요.1500세대 정도가 지나자 낮은 이마, 큰 코, 원뿔 모양을 한 갈비뼈, 거칠고 굵은 손뼈 같은 우리만의 ... ...
- ‘이’는 알고 있다, 과거 당신이 무엇을 했는지…과학동아 l201312
- 이는 약 300만 년 전에 고릴라의 이에서 처음 옮아온 것으로 나타났다. 고릴라와 인류 조상이 가까운 지역에 살았다는 뜻이다.연구팀은 사람의 옷에 기생하는 옷니의 유전자를 분석해, 몸니와 옷니가 약 8만~17만 년 전에 갈라졌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인류가 약 8만~5만 년 전에 아프리카를 벗어나기 ... ...
- 바보야, 문제는 두려움이야!과학동아 l201312
- 바로 면접 날 들었던 휴대전화 벨소리가 그날의 심한 스트레스와 연결된 것이었다.조상 때부터, 아니면 진화적으로 보다 먼저인 초기 영장류 혹은 포유류 시절부터 깊이 각인돼 온 ‘동물적인’ 공포(예를 들어 뱀 그림)는 그 어떤 현대적인 공포(예를 들어 총 그림)보다 우리를 강하게 사로잡는다. ...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과학동아 l201311
- 먹다물속에서 유악어류가 번성하던 어느 날 일부 어류는 땅 위로 진출해 육상동물의 조상이 됐다. 이후 양서류, 파충류, 수궁류, 포유류로 이뤄지는 진화 과정에서 입은 더욱 향상된 기능을 지니게 됐다. 양서류에서 파충류까지는 먹이 전체나 먹이를 크게 잘라 삼키는 방식으로 먹는다. 반면 수궁류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