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
전문대학
대학교
유니버시티
단과대학
college
d라이브러리
"
칼리지
"(으)로 총 188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세포의 줄기를 잡다
과학동아
l
200511
한다. 은행에 있는 줄기세포주를 이용할 때도 마찬가지다. 현재 이 은행은 런던 킹스
칼리지
와 뉴캐슬 생명센터 연구팀이 만든 줄기세포주를 보관하고 있다.은행 설립 자금을 댄 생명기술과 생물학 연구회(BBSRC)의 줄리아 굿펠로우 교수는 “줄기세포 치료는 줄기세포가 뇌나 췌장 같은 특정한 세포로 ... ...
모기 잡는 곰팡이
과학동아
l
200507
모기약을 만드는데 성공했다.런던임페리얼
칼리지
매트 토마스 교수팀은 보베리아 바시아나라는 곰팡이의 살충 효과를 이용해 모기를 죽이는 유성 스프레이를 개발했다.연구팀이 스프레이를 뿌린 표면에 모기를 풀어놓자 많은 모기가 죽었으며 살아남은 모기도 말라리아를 전염시키는 능력이 ... ...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06
상인으로 성공했는데 하비만 학문의 길로 들어섰다. 16세에 케임브리지의 곤빌앤키스
칼리지
에 입학해 교양과 의학을 공부했고, 이후 이탈리아의 파도바대로 유학을 가 학업을 이어갔다. 그곳에서 유명한 해부학자 파브리치우스의 가르침을 받아 1602년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왕실 주치의의 ... ...
갈릴레오의 경사면 실험
과학동아
l
200504
학자들이 개발하고 발전시킨 역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집대성한 것이다.1328년 머튼
칼리지
의 토마스 브래드와딘은 ‘비례에 관한 정리’를 출판했다. 그는 윌리엄 헤이츠베리, 리처드 스와인스헤드 그리고 존 덤블턴 등 자신의 책에 자극을 받은 재능있는 젊은이들과 함께 운동의 원인과 운동의 ... ...
숫자에 숨겨진 저글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503
그렇다면 자리 바꿈 기호로 만들 수 있는 저글링의 수는 얼마나 될까? 1994년 미국 리드
칼리지
의 조 불러 박사는 공의 개수가 b, 공의 주기가 n (단 n<b)일 때 가능한 저글링의 유형은 모두 ${b}^{n}$가지라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했다. 저글러가 할 수만 있다면 이론적으로 가능한 주기적인 저글링의 ... ...
5. 예술과 철학을 뒤흔든 상대성 이론
과학동아
l
200501
‘과학과 가설’의 독일어 번역판을 읽었다. ‘아인슈타인, 피카소’라는 책을 쓴 런던
칼리지
대 과학철학과 아서 밀러 교수에 따르면 ‘눈에 보이는 것은 거짓’이라는 사실을 아인슈타인은 물리학에서 깨달았고 피카소는 화폭 위에서 깨달은 것이다.당시 화가들은 4차원을 3차원에서 표현하려고 ... ...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01
하며 이 원소의 집합이 도형이다1890~1972 미국의 전자공학자·물리학자 그로브시티
칼리지
를 졸업하고 1923년 예일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양극과 음극 사이에 그리드를 하나 또는 둘 가진 열음극방전관(熱陰極放電管 ; 음극을 가열하여 열전자방출을 이용하는 방전관) 그리드 제어 방전관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11
아예 거짓말 할 때 나오는 뇌파에 대한 연구도 주목받고 있다. 미 뉴욕시립대 퀸스
칼리지
레이존슨 주니어 존스 박사팀은 거짓말 할 때 뇌의 어떤 부위가 반응하는지 대해 2001년부터 연구해왔다. 브라질 도르병원 호르헤 몰 박사 연구팀도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를 이용해 도덕적 판단을 할 때 뇌의 ... ...
여성이어서 지워지고, 다시 기억되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0410
결심한 후 끊임없는 노력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과학자가 되기까지의 과정과, 킹스
칼리지
에서 윌킨스와의 만남과 이중나선을 향한 경쟁, 그리고 난소암으로 죽기 전까지 ‘죽기에는 너무 바쁘다’ 고 했던 삶을 담담히 그리고 있다.여러 사람들의 지적처럼 프랭클린이 조금 더 오래 살았다고 ... ...
남의 떡이 커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405
마찬가지로 상자를 든다면 늘 그 사람의 상자가 더 가볍게 보인다. 영국 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
의 인지신경과학연구소의 안토니아 해밀튼 박사는 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해 ‘커런트 바이올로지’ 3월 22일자에 발표했다.연구진은 실험대상자에게 1백50kg과 7백50kg의 상자를 들게 하면서 다른 사람이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