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정"(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일기를 써 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생각, 느낌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어요. 또 일기는 목표를 기록하고 목표를 이루는 과정을 살피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일기를 쓰다 보면 큰 목표도 꾸준히 실천할 수 있지요. 마지막으로, 오래된 일기를 읽으면 그때의 추억과 감정이 새록새록 떠오릅니다. 일기는 나의 역사를 보관하는 박물관인 ... ...
- [과학뉴스] 초은하 평면에는 왜 주로 타원은하만 있을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모델 ‘SIBELIUS(시벨리우스)’를 활용해 빅뱅 이후 오늘날까지 우주 거대구조의 진화과정을 구현했다. 그 결과,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한 오늘날 초은하 평면 속 은하의 분포 양상과 실제 관측을 통해 밝힌 분포 양상이 동일함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해 초은하 평면 속은 물질의 ... ...
- 보행자가 된 로봇 같이 걸으실래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시험 운행을 반복하면서 로봇이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AI 딥러닝 과정을 추가로 거칩니다. 이 프로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로봇도 태어나서 적어도 한 계절, 1년 정도는 경험을 통해 학습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만약 로봇이 횡단보도를 건널 때 예상치 못한 사고로 제한 시간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의과학대학원에 입학했다. 창업이 김 대표에게 또 하나의 선택지가 된 것은 그가 박사과정 중에 지도교수를 따라 미국 하버드대 부속 병원인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 약 4개월간 공부하면서였다. 그곳은 정말 많은 의사가 연구하는 현장이었고, 그중에는 연구 결과로 창업하려는 이들도 많았다. ... ...
- [과학사 극장]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모리스 윌킨스가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수상 후인 1968년, 왓슨은 발견 과정을 회고하는 ‘이중나선’이라는 책을 출판했다. 왓슨은 책에서 물리화학자 로잘린드 프랭클린이 촬영한 DNA 분자의 X선 회절 사진, 소위 ‘51번 사진’을 그녀의 상관 윌킨스를 통해 몰래 봤고, 이를 보자마자 DNA의 ... ...
- [이달의 책] 재난에 맞서는 과학: 오늘의 과학 탐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맞서는 과학’을 위해 저자는 과학적 사실이 “신뢰를 얻기 위해 합의하고 소통하는 과정”과 그 사실을 “사실로 받아들이는 사회”를 강조한다. 나아가 재난 피해자들을 구제하고 새로운 재난을 막는, ‘누구나 손 드는 과학’을 제안한다. 피해자들, 피해자들과 연대하는 전문가 및 활동가가 ... ...
- 원숭이가 책을 쓴다고? 무한 원숭이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무한 원숭이 정리, 실험 결과는? 2002년에는 영국 플리머스 대학 미디어랩 예술과정에서 실제 원숭이 6마리를 대상으로 무한 원숭이 정리를 실험해 화제가 됐다. 당시 영국의 웹사이트와 라디오에서는 이 연구를 실시간 중계했다. 그런데 한 달 동안 원숭이가 만들어 낸 결과물은 알파벳 S가 ... ...
- [SF 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1호
- 2020년 코로나19가 터지면서 하던 일을 그만두고 글을 쓰기 시작했지요. Q. 글을 쓰는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쓰고 싶은 장면이 생기면 그에 맞는 캐릭터를 설정하고 이야기를 전개해요. 중간중간 고쳐 나가면서 제가 쓰려던 장면이 나오는 부분까지 수사가 이어지도록 써나가요. 그러면 ... ...
- [출동! 어린이 기자단] '신비아파트 제작 스튜디오에 가다' 신비한 애니메이션 속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PD는 ‘producer(프로듀서)’의 줄임말로 연극이나 영화, 방송 등을 만드는 모든 과정을 책임지는 사람이에요. 이종혁 PD는 신비아파트의 줄거리와 캐릭터를 정하는 일부터 애니메이션 방송 전에 마지막으로 확인하는 일까지 맡고 있지요. 스튜디오 곳곳에는 신비아파트 포스터와 인형이 ... ...
- 나무로 만든 인공위성이 온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끌어내려 태워 없앨 계획이지만 완벽한 해결책이라고 말할 순 없다. 태워 없애는 과정에서 대기권이 오염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는 등 예기치 못한 상황이 펼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doi: 10.1073/pnas.2313374120 지속 가능한 우주개발 꿈꾸는 나무 위성 이런 분위기 속에서 일본 연구팀의 나무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