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d라이브러리
"
과정
"(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논문탐독] 단백체 연구의 시작은 정확한 질량분석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충남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박사
과정
에 재학 중이다. 환자 맞춤형 치료법과 전임상 모델의 개발 및 이 분야에서의 정량분석법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2018010908@korea.ac ... ...
[이달의 책] 재난에 맞서는 과학: 오늘의 과학 탐구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맞서는 과학’을 위해 저자는 과학적 사실이 “신뢰를 얻기 위해 합의하고 소통하는
과정
”과 그 사실을 “사실로 받아들이는 사회”를 강조한다. 나아가 재난 피해자들을 구제하고 새로운 재난을 막는, ‘누구나 손 드는 과학’을 제안한다. 피해자들, 피해자들과 연대하는 전문가 및 활동가가 ... ...
[킹앤카] 가까이 가까이 더 가까이, 극한의 세계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
수치예보모델 방정식 풀어 날씨를 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있어요. 기상청 수치모델개발과 하종철 과장은 “구름이 만들어지는 것처럼 복잡한 물리
과정
은 아직 현대 과학으로는 완벽한 재현이 어려워 경험적으로 만든 근사식을 사용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경우 자료동화를 거쳐 만든 초기값이 각 격자점에서 약 25초마다 ... ...
[특별기획] 중요한 일은 표면에서 일어난다 '금속 표면처리'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원자는 자연 환경에서 전하량이 -4에서 +6 사이인 이온 및 금속 상태로 존재한다. 도금
과정
에는 이중 6개의 최외각전자를 잃어 전하량이 +6인 6가 크롬이 쓰인다. 문제는 6가 크롬과 그 화합물이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Group 1)’이라는 점이다. 6가 크롬은 주로 호흡기를 통해 ... ...
[과학동아 X 서울시립과학관] 공간과 콘텐츠의 연결 과학동아를 과학관에서 만나세요!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이야기도 나눠보면 좋겠습니다. 위대한 법칙들은 책상 위가 아니라 산책하고 사유하는
과정
을 통해 시작됐거든요. 서울시립과학관이 과학을 사랑하는 마음 하나만 가지고 편하게 드나들 수 있는 공간이길 바랍니다 ... ...
[커리어] 매일 전기 1kWh를 아끼면 무슨 일이? 지역 청소년 에너지 교육 '2023 신바람 에너지 스쿨 '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한 번 강조했다. 지구의 온도가 상승하는 원인은 이산화탄소 같은 온실가스다. 인간 활동
과정
에서 발생한 온실가스는 지구에 따뜻한 열을 잡아둬 지구 기온을 상승시킨다. 이산화탄소를 아예 배출하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세계 각국은 탄소 배출량은 줄이면서 탄소를 다시 흡수해 실질적 ... ...
[과학뉴스] AI 화학자, 화성에서 산소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4호
화합물을 활용해 OER 촉매를 합성했어요.한편, AI 로봇은 촉매를 활용해 산소를 만드는
과정
에서 필요한 전압을 측정했어요. 그리고 여러 촉매들 중 가장 적은 전압을 사용한 촉매를 찾았지요. AI 로봇이 만든 촉매는 10mA●의 전류가 있을 때 1시간에 약 59.08g의 산소를 만들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 ...
생물 이름 짓기 달인을 찾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4호
표본을 동정하며 신종임을 확인하기도 해요. 동정이란 표본이 속한 분류군을 찾는
과정
입니다. 낯선 표본이 지금까지 확인된 적 없는 새로운 종이면 신종으로 발표하죠. Q850종이라니! 비결이 있을까요?운이 좋았어요. 식물의 학명에는 처음 그 식물의 학명을 지은 명명자의 이름을 남겨 두는데요. ... ...
[과학영상 읽어줌] 살아 움직이는 돌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4호
Slow Mo Guys’가 1초에 1만 장의 순간을 촬영한 뒤 이를 느리게 재생하며 팝콘이 만들어지는
과정
을 소개했어요. 옥수수를 가열하면 속에 들어 있던 수분이 증발해 수증기가 되며 급격히 부피가 커져 옥수수 내부의 압력을 높입니다. 이때 바깥의 압력을 갑자기 낮추면 옥수수 껍질을 뚫고 수증기가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