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가시적인 성과를 위한 행보였습니다. 과학을 위한 과학기술정책이 필요하다 2009년 당시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취임 연설에서 “과학을 올바른 위치로 복원시키겠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설은 과학의 ‘올바른 위치’가 무엇인지에 관한 논쟁을 불러왔죠. 특히 유럽위원회 내 유럽사회 속 ... ...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모든 콘텐츠에 DOI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학술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DOI DOI는 1996년, 미국출판협회가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제안한 시스템입니다. 출판물의 경우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고유번호 체계인 ‘국제표준도서번호(ISBN)’가 있어 체계적으로 관리하기가 쉽습니다. DOI는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3조 원짜리 공연장, 스피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달리기 대회까지 알차게 영상을 준비했으니 여기 앉아서 같이 보자. 지난해 9월 29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거대한 공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너비 157m, 높이 112m에 달하는 이 건축물의 이름은 바로 스피어! 스피어의 바깥과 안쪽은 모두 LED로 덮여있습니다. 그래서 스피어 바깥은 LED 영상에 따라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AI) 그림도 예술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인간의 것이었던 창의성의 영역을 AI가 침범하고 있다는 걱정 때문입니다. 2023년, 미국 헐리우드작가조합 소속 작가 1만 1500명은 148일간 파업에 돌입했어요. 이들은 챗GPT와 같은 AI 툴을 사용해 각본을 쓰는 것에 대한 반대했어요. 그러면서 산업 관계자들이 작가들에게 AI를 보조 수단으로 사용하도록 ... ...
-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책이 나오는 숫자다. 소수니까 어떤 수학자가 찾았겠거니 싶겠지만, 2018년 12월 7일 미국에 사는 당시 35세의 IT 전문가 패트릭 라오셰가 발견했다. 그런데 최근 가장 큰 소수라고 발견한 수 대부분은 중요한 공통점을 갖고 있다. 모두 ‘메르센 소수’라는 점이다. 메르센 소수는 17세기 프랑스 ... ...
- 소수 찾는 획기적인 방법 뤼카-레머 판정법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메르센 소수를 찾는 데 처음으로 성공한 사람은 미국 수학자 라파엘 로빈슨이다. 그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에서 만든 ‘스왁(SWAC)’이라는 초창기 컴퓨터를 이용해 뤼카-레머 판정법을 토대로 한 알고리듬을 짜서 1952년에만 무려 5개의 메르센 소수를 찾아냈다. 스왁은 10억 자리의 수를 2개 ... ...
- [Chapter3] 궁극의 문제, 소수 공식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그런 내시가 1950년대에 관심을 둔 문제는 수학계 최대 난제 ‘리만 가설’이다. 1959년 미국수학회가 리만 가설 발표 100주년을 기념해 연 강연에서 그는 연구 중인 리만 가설 관련 내용을 발표했다. 그런데 발표 도중 말을 더듬거리더니, 결국 논리에 맞지 않은 말을 하기 시작했다. 그는 자신이 ...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통찰력과 배움의 기회를 얻은 것이다. 대표적으로 그랜빌 교수와 막심 라지윌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교수가 있다. 그해 11월 메이나드 교수는 소수의 간격을 600까지 줄인 논문을 학술지 에 발표했다. 당시 쌍둥이 소수 추측에 접근하는 방식에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면서 1년 ... ...
- 수학자 이름 새긴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현재까지 알려진 피보나치 소수는 36개다. 처남 이름을 넣은 소수, 스미스 수 1984년 미국 수학자 앨버트 윌란스키는 어떤 수의 자릿수를 더한 값과 어떤 수를 소인수분해 했을 때 소인수들의 자릿수를 모두 더한 값이 일치하는 수를 ‘스미스 수’라고 불렀다. 그 이유는 자신의 처남 ... ...
- RSA 암호의 핵심 원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않도록 관리하는 일이 어려워졌고, 사전에 비밀키를 공유하기 어려운 상황도 많았다. 미국 암호학자이자 수학자인 휫필드 디피와 마틴 헬먼은 이를 해결하는 새로운 암호시스템을 1976년 개발했다. 이른바 ‘공개키 암호시스템’이다. 공개키 암호시스템은 암호화키와 복호화키가 서로 다른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