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방
문안
구경
심방
관광
왕방
인터뷰
d라이브러리
"
방문
"(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조합론과 만나다] “수학자에게 공동연구는 필수예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때인 2009년 번드 스텀펠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교수가 한국 고등과학원에
방문
해서 강의한 적이 있어요. 스텀펠스 교수님은 생긴 지 얼마 안 된 한 수학 분야의 교과서를 만들고 있었고, 그 내용으로 강의하셨지요. 저는 그 분야를 더 배우고 싶기도 하고, 달변가인 스텀펠스 교수님과 ... ...
[친구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①] 고래가 크릴을 먹어치우듯 지식 먹방러 허준이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정말 좋은 아버지입니다. 요즘은 아들과 노는 일에 가장 큰 열의를 보입니다. 얼마 전
방문
했을 때는 일곱 살 난 아들 ‘단’이 뮤직비디오를 찍겠다고 감독을 자처했습니다. 단이 자작랩을 하고 저와 허준이 교수 부부 전원이 그 뒤에서 함께 춤을 추는 영상을 찍기도 했었지요. 가족과 시간을 ... ...
“모든 해안이 그 지역의 영웅을 가질 수 있도록”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기획한 안재하 내셔널 지오그래픽 소사이어티 아시아 연구원은 “동백동산의 곶자왈에
방문
했는데, 운 좋게 인근 해안에서 해녀들을 만났다”며 “제주의 해녀는 이미 전 세계에 알려져 있어 탐험가들은 제주 해녀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고 했다. 이어 “탐험가들이 해녀가 물질하는 모습을 직접 ... ...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원숭이 아닌 인간이 주범?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바이러스가 유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2018년 영국에서도 3건이 발생했다. 나이지리아를
방문
한 사람을 통해 감염된 것이다. 같은 해 이스라엘에서 1건의 사례가 나왔으나 더 이상 전파되지 않았다. 2019년 싱가포르에서도 원숭이두창 환자가 최초로 나왔다. 그러나 이제껏 아프리카 외의 지역에서 ... ...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지금은 태양계의 끝자락인 태양권계면을 넘어 더 먼 우주로 나아가고 있다. 천왕성을
방문
한 것은 보이저 2호가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우리가 교과서에서 본 천왕성 근접 사진은 모두 보이저 2호의 작품이다.얼핏 보면 아무런 무늬도 없는 듯하지만, 천왕성의 대기는 보기보다 역동적이다. 보이저 ... ...
[기획] 다시 모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학회온라인 중계는 ‘국제’ 행사를 여는 데도 역할을 톡톡히 했다. 짧은 일정으로 해외
방문
이 힘들 었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해외 석학들도 많이 참여했다. 그런데 외국인 강연자 중 2명이 학술대회 직전에 코로나19에 감염돼 입국하지 못하는 일이 있었다. 정 조직위원장은 “원래라면 세션을 ... ...
Z세대의 사진, 쇼핑 소셜앱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그래서 새로운 장소를 가게 되면 마치 안개가 사라지듯 그 지도가 선명해지지.내가
방문
했던 장소에 알림을 받을 수 있어. 또 젠리를 사용하는 친구끼리 같은 장소에서 만나면 범프(Bump)라고 알람이 뜨기도 해! 젠리 앱에 들어가서 휴대폰을 두드려보면 된다고. 이렇게 범프를 받으면 젠리를 ... ...
안드로메다행 음식배달비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km 떨어진 음식점에서 배달하는 것치고는 배달비가 꽤나 비쌉니다. 배달비를 아끼기 위해
방문
포장을 나섭니다. 5000원을 절약했으니 튀김도 추가했습니다. 튀김은 6000원입니다. 그나저나 기술이 발전하면서 우주 택배 비용도 저렴해진다는데, 음식 배달비는 왜 자꾸만 오를까요. 기술이 해결해줄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와 함께하는 독서 활동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5호
+본책 56쪽과 함께 보세요! 처음
방문
한 프로보의 고향은 무척 인상적이었어. 프로보와 똑같이 생긴 로봇이 수십 대나 있는 게 신기했지. 그런데 뭔가 이상해. 프로보는 분명 수리를 받으러 간다고 했는데, 갑자기 모든 로봇이 프로보인 것처럼 굴잖아! 어서 미션을 해결하고 진짜 프로보를 찾아보자! ...
[기획] 백분율로 살펴보는 우리나라 꿀벌 실종 이유
수학동아
l
2022년 05호
올해 꿀벌이 사라진 가장 큰 이유는 ‘기생충’ 때문이에요. 농촌진흥청이
방문
조사한 피해 양봉장 중 약 90%에서 기생충이 발견됐대요. 그중 ‘바로아응애’가 꿀벌을 가장 괴롭혔어요. 갈색 티끌 같은 이 기생충은 꿀벌과 꿀벌 유충의 몸에 딱 붙어서 체액을 빨아 먹어요. 개체 수를 통제하지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