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으)로 총 8,483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과 별 사이 거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거리는 어떻게 나타낼까요? 지구와 달은 약 38만 4400km만큼 떨어져 있어요. 지구 지름의 30배가 넘는 거리이니 우리에게는 까마득히 멀게 느껴지지만, 사실 우주에서는 그리 먼 거리가 아니에요. 지구와 달 사이보다 먼 거리는 ‘AU’라는 단위를 주로 써요. 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로, 1AU는 약 ... ...
- [꿀꺽! 생활 속 수학 두 입] 어느 날 자가 모두 사라졌다?! 도와줘, 별별 단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정했지. 예를 들어 불닭 맛 라면은 4404SHU인데, 이는 라면 속 매운맛을 내는 물질에 4404배 많은 양의 설탕물을 섞어야 매운맛이 안 느껴지는 것과 같아! 오늘날에는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직접 설탕물을 마시지 않고 기계로 분석해. 용어 설명당도★ 음식에서 단맛을 내는 물질의 양을 ... ...
- 국경부터 차단! 인천공항본부세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건너는 물품은 모두 세관을 거칩니다. 8월 2일, 인천공항본부세관 특송화물 통관장에선 배송 전 확인 절차가 한창이었습니다. 1층 컨베이어 벨트 위 모든 물품은 X선 검색대를 통과했어요. 관세청 직원들은 판독실에서 상자에 붙은 바코드로 읽은 신고 내역과, 실제 X선 영상에서 보이는 물품을 ... ...
- [어수티콘 사전] 단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m(미터), 무게를 잴 때는 kg(킬로그램), 들이를 잴 때는 L(리터)를 많이 써요. 이 단위들을 10배씩 늘리거나 1/10 씩 쪼개어서 더 정확한 값을 나타내기도 하지요. 예를 들어 1m의 1/100은 1cm(센티미터)예요. 또, 1kg의 1/1000은 1g(그램)이지요 ... ...
- [수학체험실] 쭉~쭉 늘어나! 우리만의 자유로운 길이 재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정한 이후, 더 작은 단위와 더 큰 단위도 만들었지요. 1m의 이 1cm, 1m의 이 1mm예요. 1m의 1000배는 1km라고 해요. 용어 설명표준★ 사물의 정도를 알기 위한 기준을 말해요. 북극점★ 지구의 가장 북쪽 지점을 말해요.적도★ 지구의 남극과 북극 사이를 가로로 가로지르는 선이에요. 지구의 북극에서 ... ...
- [과학뉴스] 간지러워 웃는 쥐, 웃음 조절 뇌 영역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손길에 익숙해지도록 하루에 한 번 이상 쥐를 만졌죠. 그런 다음 연구팀은 쥐의 등과 배를 부드럽게 간지럽혔어요. 또 손으로 쥐를 뒤쫓아 쥐가 자발적으로 손을 향해 달려오게 하는 술래잡기 놀이를 했습니다. 연구팀은 쥐가 간지럼을 타고 노는 동안 사전에 쥐의 뇌에 이식한 전극을 통해 쥐의 뇌 ... ...
- [가상 인터뷰] 해열제, 얼리면 독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성분들이 얼음 결정 사이의 아직 얼어붙지 않은 영역으로 모이면서 농도가 수천~수십만 배로 증가해 반응 속도가 빨라지는 현상을 말해. 연구팀은 북극 호수에서 채취한 물로 실험했을 때도 같은 현상이 발생했다고 설명했어. 아세트아미노펜이 북극에서도 발견돼? 아세트아미노펜은 북극에서 ... ...
- [어수티콘 사전] 소수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자리’를 나타내요. 소수점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한 자리씩 이동할 때마다 자릿값이 0.1배씩 작아지지요. 점 뒤에서 나란히 손을 잡은 숫자들은 256처럼 보이지만, 숫자들 앞에 소수점이 있으므로 사실은 0.256인 셈이에요. Q. ‘1.256’은 ‘일점이백오십육’이라고 읽어야 하나요? A. 아니에요. ... ...
- [우주탐험대] 알파 센타우리 / 프록시마 센타우리와 프록시마 b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세 번째 항성인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비교적 어두운 편인데, 밝기가 태양의 0.001배에 불과하답니다. 프록시마 센타우리와 프록시마 b프록시마 센타우리는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이에요. 프록시마는 ‘가깝다’는 뜻의 라틴어 단어예요. 과학자들은 프록시마 센타우리의 주변을 도는 ... ...
- [질문하면 답해ZOOM] 눈뜨고 재채기를 할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석유 원료로 만든 물질로, 물을 잘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요. 자기 무게의 300배가 넘는 물까지 흡수할 수 있어,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해야 하는 기저귀나 생리대에도 활용되지요. 고흡수성 수지가 이처럼 물을 잘 흡수하는 원인은 ‘삼투 현상’ 때문이에요. 삼투 현상은 농도가 다른 두 용액 사이에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